• Title/Summary/Keyword: agricultural reservoirs

Search Result 4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Life Cycle-Based Host Range Analysis for Tomato Spotted Wilt Virus in Korea

  • Kil, Eui-Joon;Chung, Young-Jae;Choi, Hong-Soo;Lee, Sukchan;Kim, Chang-Se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v.36 no.1
    • /
    • pp.67-75
    • /
    • 2020
  • Tomato spotted wilt virus (TSWV) is one of the plant viruses transmitted by thrips and causes severe economic damage to various crops. From 2008 to 2011, to identify natural host species of TSWV in South Korea, weeds and crops were collected from 5 regions (Seosan, Yesan, Yeonggwang, Naju, and Suncheon) where TSWV occurred and were identified as 1,104 samples that belong to 144 species from 40 families. According to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TSWV was detected from 73 samples from 23 crop species, 5 of which belonged to family Solanaceae. Additionally, 42 weed species were confirmed as natural hosts of TSWV with three different life cycles, indicating that these weed specie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as virus reservoirs during no cultivation periods of crops. This study provides up-to-date comprehensive information for TSWV natural hosts in South Korea.

A sero-surveillance of Brucella spp. antibodies and individual risk factors of infection in cattle in Bangladesh

  • Ahasan, Shamim;Rahman, Siddiqur;Song, Hee-Jong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 /
    • v.33 no.2
    • /
    • pp.121-128
    • /
    • 2010
  • Brucellosis is a serious zoonosis, recognized worldwide. It primarily affects animals, which act as reservoirs for human infection as well as being of economic significance to the agri-food industry. Bangladesh has been reported as an endemic area for brucellosis. So a cross 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eroprevalence and potential risk factors of brucellosis in cattle in Dinajpur and Mymensingh districts of Bangladesh. A total of 182 cattle were examined by Rose Bengal Plate Test (RBPT) between September 2008 and October 2009. Then Positive, doubtful, and negative samples were further confirmed with slow agglutination test (SAT) and both indirect and competitive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iELISA and cELISA).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epidemiological information of the animals. The overall animal-level prevalence was 3.30%. Brucellosis seroprevalence was higher (4.76% by cELISA) in cattle above 48 months than those under 48 months. Female showed higher seroprevalence (10.67%) than male (6.25%). Higher seroprevalence was also found in cattle bred naturally (20.0%) than artificially (8.77%) and cattle that aborted or with previous abortion record (22.22%) showed higher seroprevalence than non-aborted (7.69%). The sensitivity of RBT and SAT was found 100% as compared to cELISA standard test, whereas specificity of RBT (95.35%) was higher than that of SAT (94.32%).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f Rehabilitated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둑 높이기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

  • Jun, Sang Min;Kang, Moon Seong;Song, Inhong;Park, Jihoon;Choi, Sol 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00-600
    • /
    • 2015
  • 최근 정부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노쇠화를 해결하기 위해, 이수공간 및 홍수조절공간 추가 확보를 목표로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을 실시하였다. 둑 높이기 사업을 통해 추가로 확보된 저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강도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미래 예측 강우량에 대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하여 둑 높이기 사업에 따른 농업용저수지의 홍수 취약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초자료 구축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RCP 4.5 기반의 미래강수자료를 편의보정 하였으며, 둑 높이기 사업 보고서를 통해 농업용 저수지의 제원들을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업용 저수지 유역의 설계홍수량을 산정하였고, 저수지 모의 운영을 통해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홍수 취약성은 IPCC (2007)에서 제안한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지표들을 선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저수지 모의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홍수조절율 등 둑 높이기 사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들을 추가로 선정하여 홍수 취약성 평가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둑 높이기 사업에 의한 홍수조절효과를 정량화 하고, 둑 높이기 저수지의 최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evaluation of Water Supply Safe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변화에 따른 용수공급능력 재평가)

  • Bang, Na-Kyoung;Nam, Won-Ho;Lee, Ju-Eon;Kwon, Hyung Joong;Choi, Ky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4-184
    • /
    • 2019
  • 농업용 저수지 가운데 약 90 %는 1970년 이전에 축조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 및 홍수 등의 자연 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은 수자원의 확보와 저수지 규모의 결정 등을 포함하는 수자원공급 계획 수립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다목적댐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는데 적용된 평가 기준은 최악의 갈수기 동안에도 용수공급을 보장할 수 있는 최대 공급량을 의미하는 보장공급량과 일정비율로 물 부족을 허용하는 방법을 의미하는 신뢰도, 통계적 지표인 회복도, 취약도 등의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인 이수안전도는 한발빈도와 물수지 분석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주수원공 저수지를 대상으로 농업용 저수지의 설계한발빈도 및 최근 기상 및 유출량, 저수량의 변화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과 시계열 빈도분석을 통해 재산정된 한발빈도를 이용하여 이수안전도를 평가하였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의 이수안전도 변화로부터 설계 당시의 용수공급능력과 현재 용수공급능력을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 사상 및 농업용수 수요 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물공급안전도를 판단할 수 있다.

  • PDF

Seismic risk assessment of intake tower in Korea using updated fragility by Bayesian inference

  • Alam, Jahangir;Kim, Dookie;Choi, Byoungha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v.69 no.3
    • /
    • pp.317-326
    • /
    • 2019
  • This research aims to assess the tight seismic risk curve of the intake tower at Geumgwang reservoir by considering the recorded historical earthquake data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eismic fragility, a significant part of risk assessment, is updated by using Bayesian inference to consider the uncertainties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reservoir is one of the largest reservoirs in Korea for the supply of agricultural water. The intake tower controls the release of water from the reservoir. The seismic risk assessment of the intake tow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isk management of the reservoir. Site-specific seismic hazard is computed based on the four different seismic source maps of Korea.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PSHA) method is used to estimate the annual exceedance rate of hazard for corresponding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Hazard deaggregation is shown at two customary hazard levels. Multiple dynamic analyses and a nonlinear static pushover analysis are performed for deriving fragility parameters. Thereafter, Bayesian inference with Markov Chain Monte Carlo (MCMC) is used to update the fragility parameters by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is study proves to reduce the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fragility and risk curve, and to increase significant statistical and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range of seismic risk curve of the intake tower is extracted for the reservoir site by considering four different source models and updated fragility function,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e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of reservoir.

Probability Theory-based Flood Vulner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nder Climate Change (기후변화 대응 농업용 저수지의 확률론 기반 홍수 취약성 산정)

  • Park, Jihoon;Kang, Moon Seong;Song, Jung-Hun;Jun,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46-34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의 동시다발적인 발현은 농촌 지역의 홍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현재의 기후시스템은 과거의 강우빈도를 기준으로 산정한 설계기준을 벗어나는 강우 사상을 빈번하게 발생시키므로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보다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량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확률론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는 데 있다. 먼저 홍수 취약성 해석에 필요한 과거와 미래 수문 자료를 수집하고 전처리 과정을 통해 해석에 적합한 자료로 구축하였다. 설계변수의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시간별 최대강우량, 유입 설계홍수량에 대해 부트스트랩 (bootstrap) 기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재추출하였다. 부트스트 랩은 표본집단의 확률분포에 대해 가정을 하지 않고 표본집단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통계적 추론을 할 수 있는 비모수적인 리샘플링 기법이다. 부트스트랩 추론은 표본집단의 추정치, 편의, 표준오차를 산정하고 신뢰구간을 추정한다. 부트스트랩 추론을 통해 산정하는 신뢰수준을 이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변수에 내재하는 불확실성을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확률적인 값을 가지는 홍수 취약성으로 산정하여 제시할 수 있다.

  • PDF

Percentile Approach of Water Level Management Criteria for Agricultural Reservoirs (Percentile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 운영기준 산정)

  • Woo, Seung-Beom;Nam, Won-Ho;Lee, Hee-Jin;Choi, Eun-Hyuk;Lee,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9-179
    • /
    • 2021
  • 가뭄은 농작물 수확량 및 농업생산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등 농업분야의 주요 문제이며 이는 피해를 야기하므로 농업가뭄의 대안 마련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현장에서의 용수공급의 경우 기상학적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여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현장에서 체감하는 가뭄은 상이하다. 따라서 농업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농업현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0만톤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 중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2017년의 일별 저수율을 정규화한 후 미국국립가뭄경감센터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에서 가뭄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는 Percentile을 활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Percentile을 활용하여 저수율 기준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수준으로 분류하고 당해 저수율의 단계별 빈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후 표준강수지수(Standra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활용한 2017년 가뭄의 공간분포와 2017년 저수율 관리기준 빈도에 따른 공간분포를 구축하여 비교 분석 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Water Surface and Available Water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ry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수표면 및 가용수량 추정)

  • Lee, Hee-Jin;Nam, Won-Ho;Yoon, Dong-Hyun;Jang, Min-Won;Kim, Dae-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63-163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2017년에는 전국의 봄철 강수량이 평년 대비 60% 수준으로 물 부족 현상을 야기하여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최근 지역적인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국소적인 가뭄 발생 및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농업가뭄은 농업용수의 주요한 용수공급시설인 농업용 저수지 및 용수공급시설의 지역적 편중 등으로 농업용수 부족 상황이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시기별 저수지의 가용용수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러한 판단을 위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한 저수지 수표면적 및 용수능력판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시기의 저수지 수표면적 및 용수능력판단을 위하여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충청남도 서산 지역의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정규수분지수(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을 산정하였다. NDWI는 위성영상의 파장 정보를 활용하여 지표면의 수분함유량과 관계를 나타내며, 하천, 호수, 습지 등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한 지형지물을 탐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NDWI와 수위-내용적 자료와의 관계로부터 저수지 수표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가용수량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Review of Baseflow Analysis Techniques of Watershed-Scale Runoff Models (유역단위 유출 모형 별 기저유출 분석 기법 검토)

  • Han, Jeong Ho;Ryu, Tae Sang;Lim, Kyoung Jae;Jung, Young H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8 no.4
    • /
    • pp.75-83
    • /
    • 2016
  • Streamflow is composed of baseflow and direct runoff. However, most of streamflow during dry seasons depends on baseflow. Thus, baseflow analysis is very important to simulate streamflow of dry seasons. Generally, baseflow analysis is conducted using watershed-scale runoff models due to diffilculty of measuring baseflow. However, it is needed to understand and review how the model simulates baseflow because each model uses inherent baseflow analysis techniques. In this study, SWAT, HSPF, PRMS-IV were reviewed focusing on baseflow and soil water. HSPF and PRMS-IV calculate baseflow using the variables which depends on user, so the baseflow analysis results of HSPF and PRMS-IV are not consistent. Moreover, soil structures which were assumed from HSPF and PRMS-IV, since these two models assume soil structure as two soil zones and three conceptual reservoirs, were not enough to describe real soil structure. On the other hand, baseflow in SWAT is calculated using baseflow recession constant which can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aquifer and also, soil structure in SWAT is similar to real soil structures. Thus, baseflow analysis result from SWAT was concluded as the most suitable and reliable model because SWAT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soil structure which is close to reality.

A Study on Development of Village Wetlands Inventory Using GI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Methods in Asan City, Korea (GIS를 이용한 아산시 마을습지 인벤토리 구축 및 관리 방안 연구)

  • Park, Mi Ok;Yang, Seung Bin;Koo, Bon Ha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8 no.6
    • /
    • pp.167-177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inventory and propose conservation strategies for 'village wetlands' in Asan city, Korea, using GIS. As results, the village wetlands are defined as such places as 'palustrine' wetland, village embankment, agricultural reservoir or small reservoirs located in or near the village and related to everyday life or farming. Firstly 807 provisional village wetlands(draft) were identified in Asan by using Arc-GIS 10.1, then 196 wetlands(final) were defined finally as village wetlands and listed the inventory of Asan Village Wetlands after being validated through office works and field survey. The office works analyzed minimum area(greater than $625m^2$), satellite images, the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 land use map and land coverage map. To evaluate the function and conservation values, the 37 wetlands were selected for detailed surveying and function assessment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 1) doubled code both wetland and reservoir at digital map, 2) located less than 100m from village and 3) ecologically connected to such ecological resources as seaside mudflats, mountains and green area and ecological passages for small size wildlifes. As the result of the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by the RAM method, 7 wetlands were found to have 'high' wetland function (conservation) 18 wetlands were 'medium' (enhancement) and 12 wetlands were 'low' (restoration or enhancement). Enhancing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through ecological management of wetlands in Asan and connecting with the Ecological Natural Degree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