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gricultural ecosystem

검색결과 606건 처리시간 0.023초

Impact of Pesticide Treatment on an Arthropod Community in the Korean Rice Ecosystem

  • Park, Hong-Hyun;Lee, Jo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19-25
    • /
    • 2009
  • An arthropod community in a rice ecosystem was survey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wo insecticides frequently used in Korean rice ecosystems: carbofuran 3GR, which targets the rice water weevil, 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Coleoptera: Curculionidae) in the early season and fenobucarb EC, which targets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a}l$) (Hemiptera: Delphacidae) in the mid- and late seasons, respectively. Overall, the application of the insecticides reduced density of total arthropods by 48.4% compared to the untreated field, but their impact on each functional group were different. Carbofuran GR treatment on 1 June reduced the L. oryzophilus population significantly until mid-season. The population of filterfeeding chironomids was also reduced by 50%, whereas the spider population was less disturbed. Fenobucarb EC treatment on 16 August significantly reduced N. lugens and detrivorous entomobryid populations until the late season. Both web-building and wandering spiders were also significantly disturbed by fenobucarb EC although the impact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ehavioral differences. While the population of web-building spider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that of wandering spiders recovered from the disturbance a few weeks later.

강우에 의한 농약의 토양 표면유출 특성 (Pesticide Runoff from Soil Surface by Rainfall)

  • 김균;김정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4-284
    • /
    • 1997
  • 농경지로부터 농약의 유출은 수생태계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유출될 수 있는 농약의 양에 대한 연구와 수생태계에 유입되어 환경생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평가하는 환경독성학적 연구, 인체위해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유출에 관여하는 요인이 너무 다양하여 단편적인 자료만으로 농약의 유출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명확한 연구지침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국내에서도 연구가 적극적으로 시도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농약의 유출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사례 및 방법등에 대해 자연포장에서의 유출연구, 인공강우 모의포장을 이용한 유출연구, 그리고 computer 모델을 사용한 유출연구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여 보았다.

  • PDF

Cryopreservation of Forest Tree Seeds: A Mini-Review

  • Gantait, Saikat;Kundu, Suprabuddha;Wani, Shabir Hussain;Das, Prakash Kant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311-322
    • /
    • 2016
  • Since forest trees form the basis of forest ecosystem, their prolong subsistence is crucial for various flora and fauna. The foremost challenges to sustain the forest ecosystem comprise of the declining forest tree population accompanied with structural changes due to afforestation and exploitation of forest area, environment changes, pests, pollution, and introgressive hybridization. For ex situ conservation approach, in vitro techniques encompass basic role for conserving tree genetic resources, predominantly where natural propagules like recalcitrant seed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long-term conservation. The practice includes restricted growth techniques, conventional micropropagation, production and storage of synthetic seeds, and cryopreservation. Even though these practices have been applied chiefly to herbaceous species, but recently, woody species were also focused upon. Key conceptions, challenges and techniques for forest tree seed conservation are discussed briefly in this review with special emphasis on some successful cryopreservation approaches for long-term storage.

농업용 저수지의 수질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Irrigation Reservoir)

  • 박병흔;장정렬;권순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500-507
    • /
    • 1998
  • The measure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have been planned to introduce for several reservoirs which were badly polluted among the sites included in the Network of Agricultural Water Quality Survey (NAWQS). Considering conditions of circumstances around reservoirs, self-purification systems such as natural ecosystem, oxidation ponds with plants, grassed waterways, weirs, and manmade plant-islands are taking into account enhancing to trap nutrients in waters running off from agricultural lands. The Pollutant Run off Ratios were analysed to predict the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for self-purification systems. The cos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as evaluated. The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cost and irrigation area showing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rived.

  • PDF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수량 예측을 위한 시스템 요구도 분석 (Requirement Analysis of a System to Predict Crop Yield under Climate Change)

  • 김준환;이충근;김현애;이변우;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4
    • /
    • 2015
  •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기후변화는 농업 생태계에 다양한 경로로 영향을 미쳐 작물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농업 생태계는 생물, 기후, 토양 및 경제 환경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개별 분야에 초점을 맞춘 적응 대책들은 농업 부문 내 다른 영역에 의도하지 않은 파급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기후변화 조건에서 복잡한 농업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면서 최적의 작물 생산성을 유지하기 위해 개별분야별 모델을 연계한 통합 예측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델들은 통합시스템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위한 모델의 재개발이 필요하다. 농업생태계 감시를 위한 수퍼사이트와 위성사이트의 구축을 통해 장기간 작물 생육 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개별 분야 모델의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모델 대상의 추상화와 상속과정을 통해 보다 유연한 형태의 통합 모델의 모듈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농업분야는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농업생산과 경제분야가 연계될 수 있는 통합 시스템 구축이 바람직 할 것 이다.

갑천의 서식지 환경에 따른 야생조류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Wildbirds According to Habitat Environment in Gap Stream)

  • 이준우;이도한;백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0권1호
    • /
    • pp.41-58
    • /
    • 2003
  • 본 연구는 갑천에 서식 분포하는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4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여 2001년 9월부터 2002년 8월까지 1년간 선조사법 및 정점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하천구간인 가수원교-만년교구간에 서는 11목 29과 67종이 관찰되었고, 인공하천구간인 만년교-대덕교구간에서 6목 10과 30종, 대덕교-원촌교구간에서 8목 12과 28종, 원촌교-갑천교구간에서 8목 18과 40종으로 인공하천 전 구간에서 9목 19과 47종이 관찰되었다.자연하천구간은 산림, 경작지, 수변림, 모래톱, 자갈밭, 갈대숲 등의 서식지환경이 다양하고, 인간의 이용과 간섭이 가해지지 않은 결과 다양한 종들이 관찰되었으며, 인공하천구간은 호안블록과 잔디밭 등으로 수생태계와 육지생태계가 단절되어 있으며, 서식지환경도 단순하여 관찰 종 수가 낮게 나타났다. 갑천에 다양한 야생조류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자연형 하천과 같이 수생태계와 육상생태계가 어우러진 서식지 즉 생태계를 고려한 다양한 서식지환경의 조성이 요구되며, 단편화된 서식지들을 연결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Stream corridor를 고려한 하천의 정비 및 조성이 요구된다.

  • PDF

KoFlux 에디 공분산 자료 처리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KoFlux Eddy-Covariance Data Processing)

  • 홍진규;권효정;임종환;변영화;이조한;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6
    • /
    • 2009
  • 연속적인 지표 플럭스 관측으로부터 축적되는 엄청난 양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처리분석하고 종합하여 일관성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내려면 에디 공분산 자료 처리 방법의 표준화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타워 플럭스 관측 네트워크인 KoFlux의 표준화된 자료 처리 방법을 소개하고, 처리 방법이 다른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지표 플럭스의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광릉 활엽수림에서 관측된 탄소 플럭스의 경우, 순생태계교환량(net ecosystem exchange, NEE)과 생태계호흡량(ecosystem respiration, Re)은 각각 자료 처리 방법의 차이에 따라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두 양이 서로 상쇄되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NEE+Re)은 자료 처리 방법이 다른 경우에도 불구하고 오차 범위 내에서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GPP를 산출할 때에 Re를 독립적으로 관측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반면 수증기 플럭스(증발산)의 경우, 야간 토양 증발이 작아서 연 적산증발산량은 자료 처리 방법에 민감하지 않았다. 이렇게 표준화된 자료처리 프로토콜을 아시아 타워 플럭스 네트워크인 AsiaFlux에 적용할 경우, 지역 규모 탄소 순환, 역학 식생 및 지면과정 모형의 검증을 위한 일관성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겨울기온 상승에 따른 복숭아 나무 '장호원 황도' 품종의 결과지에 대한 동상해위험 공간분석: I. 월동기간 중 동해유발온도 결정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 Determination of Freezing Temperatures)

  • 정유란;김진희;김수옥;최미희;황규홍;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06-212
    • /
    • 2009
  • 실제로 동해가 발생한 해의 기온 경과양상에 근거한 저온처리조합을 만들어 복숭아 나무 '장호원황도' 품종의 휴면지에 처리하여 갈변정도와 발아를 관찰함으로써 시기에 따른 휴면지의 부위별 동해양상과 동해유발 온도를 파악하였다. 갈변율의 경우 $-15^{\circ}C$에서 꽃눈은 10%, 잎눈과 형성층은 3% 미만이었으며 $-20^{\circ}C$에서는 꽃눈과 잎눈은 40%, 형성층은 1%이었다. $-25^{\circ}C$에서의 갈변율은 꽃눈과 잎눈이 86%와 68%, 형성층은 40% 이상이었고 $-30^{\circ}C$에서는 모든 부위에서 100% 갈변되었다. 잎눈 발아의 경우 대조구(무처리)의 발아율을 100%로 두었을 때 $-15^{\circ}C$에서는 85%, $-20^{\circ}C$에서는 66%, $-25^{\circ}C$에서는 32%의 상대발아율을 보였으며 $-30^{\circ}C$에서는 전혀 발아하지 못했다. 동일한 저온처리의 경우 휴면심도가 깊은 시기로 알려진 1월 말에 채취한 시료에서 갈변율은 낮고 발아율은 높았다. 2월 이후에는 갈변율이 높고 발아율이 낮아 휴면해제 직후가 동해위험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겨울기온 상승에 따른 복숭아 나무 '장호원황도' 품종의 결과지에 대한 동상해위험 공간분석: III. 고해상도 기후시나리오에 근거한 동해위험의 미래분포 (Geospatial Assessment of Frost and Freeze Risk in 'Ch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Trees as Affected by the Projected Winter Warming in South Korea: III. Identifying Freeze Risk Zones in the Future Using High-Definition Climate Scenarios)

  • 정유란;김진희;김수옥;서희철;윤진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21-232
    • /
    • 2009
  • 본 연구는 겨울철 휴면심도와 동해유발온도를 기반으로 작성된 복숭아 나무 '장호원황도' 품종의 휴면지에 대한 동해위험지수 계산식을 고해상도 전자기후도와 결합하여 현재평년(1971-2000년)의 기후조건에서 동해위험의 지역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두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근거한 미래 3개 평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의 기온자료에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얻은 동해위험지수와 비교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따른 이들 위험지역의 이동을 경관규모에서 추적하였다. 현재평년(1971-2000년) 기후조건에서는 전 국토의 4%가 안전지대, 88%가 동해 위험 경계지대, 8%가 위험지대로 탐색되었다. 시나리오 기후조건에서는 가까운 미래(2011-2040년)와 먼 미래(2041-2100년)에 모두 경계지대가 줄어드는 반면 안전지대와 위험지대가 다같이 증가하였다. 이 방법은 경기도 이천, 경북 청도 등 복숭아 주산지 내의 위험지대를 경관규모에서 탐색하는 데도 이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앞으로 농업분야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취약성 분석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