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activity

검색결과 3,912건 처리시간 0.033초

Effect of probiotics and xylo-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health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s

  • Liu, JB;Cao, SC;Liu, J;Xie, YN;Zhang, HF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0호
    • /
    • pp.1660-1669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biotics (Bacillus subtilis and Enterococcus faecium) and xylo-oligosaccharide (XO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serum profiles, intestinal health, fecal microbiota and noxious gas emission in weanling pigs. Methods: A total of 240 weanling pigs ([Yorkshire${\times}$Landrace]${\times}$Duroc) with an average body weight (BW) of $6.3{\pm}0.15kg$ were used in this 28-day trial. Pigs were randomly allocated in 1 of the following 4 dietary treatments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2 levels of probiotics (0 and 500 mg/kg probiotics) and XOS (0 and 200 mg/kg XOS) based on the BW and sex. Results: Administration of probiotics or XOS improved average daily gain (p<0.05) during 0 to 14 d and the overall period, while pigs that were treated with XOS had a greater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p<0.05) compared with unsupplemented treatments throughout 15 to 28 d and the whole experiment. Either probiotics or XOS treatments increase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nutrients (p<0.05) during 0 to 14 d. No effects on serum profile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The XOS increased villus height: crypt depth ratio in jejunum (p<0.05). The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500 mg/kg) or XOS (200 mg/kg) alone improve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nitrogen and gross energy on d 14, the activity of trypsin and decreased fecal NH3 concentration (p<0.05). Administration of XOS decreased fecal Escherichia coli counts (p<0.05), while increased lactobacilli (p<0.05) on d 14.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dietary supplementation of probiotics and XOS. Conclusion: Inclusion of XOS at 200 mg/kg or probiotics (Bacillus subtilis and Enterococcus faecium) at 500 mg/kg in diets containing no antibiotics significantly improved the growth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Once XOS is supplemented, further providing of probiotics is not needed since it exerts little additional effects.

Bacillus subtilis KS1이 생산하는 항진균물질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s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KS1)

  • 류승우;맹학영;맹필재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93-304
    • /
    • 1996
  • 인삼포 토양으로부터 강력한 항진균력을 보이는 KS1 균주를 분리하고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였다. 온상시험에서 B. subtilis KS1의 배양액은 오이잿빛곰팡이병, 밀붉은녹병 등의 진균성 농작물병에 대하여 탁월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B. subtilis KS1 배양액의 butanol 분획은 Botrytis maydis, Chytridium lagenarium, Candida albicans 등 식물 또는 사람의 병원성 진균을 비롯한 몇몇 진균류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균주가 생성하는 항진균물질을 pep-RPC reverse phase column과 ${\mu}$ Bondapak $C_{18}$ reverse phase column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항진균물질의 열안정성 및 pH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 $-20-121^{\circ}C$와 pH 4.0-10.0의 범위에서 안정하였다. 이 물질의 조성 및 구조적 특징을 HPLC와 $^1H-,\;^1H-^1H-$, COSY, NOESY, COSY-NOESY 및 HOHAHA NMR spectroscopy를 통하여 각각 분석한 결과, B. subtilis가 생산하는 고리형 peptide 중 iturin A에 속하는 물질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iturin A계 물질들의 ${\beta}$-아미노산에 붙어 있는 탄화수소 사슬이 곁가지가 없거나 terminus 또는 subterminus에 1개의 $CH_3$ 곁가지를 갖는 것과는 달리, SW1의 ${\beta}$-아미노산은 2개의 $-CH_3$ 곁가지가 붙어 있는 탄화수소 사슬을 가짐이 확인되었다.

  • PDF

토양 Metagenome Library로부터 고추역병 저해 클론 탐색 (Pepper Blight Disease Inhibition Metagenome Clone Screening Using Soil Metagenome Library)

  • 박해철;성소라;김동관;구본성;정병문;김진흥;윤문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28-231
    • /
    • 2009
  • 고추 역병을 야기하는 Phytophthora capsici 는 짧은 시간 내에 많은 면적에 피해를 주는 병으로 한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려운 병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역병 곰팡이의 방제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P. capsici의 염색체 복제 및 세포 골격 유지 등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microtubule의 형성 저해를 유도하는 물질을 탐색하여 궁극적으로 고추역병 방제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P. capsici alpha 및 beta tubulin을 E. coli BL21(DE3)에서 발현시켜 분리 정제하여 in vitro microtubule 형성을 확인하였다. P. capsici microtubule 형성 저해 metagenome clone 스크리닝을 위하여 경기도 수원의 여기산 토양에서 metagenome을 분리하여 library를 제작하여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FRET) 방법을 이용하여 P. capsici microtubule 형성을 저해하는 화합물을 탐색하였다. In vitro 스크리닝에서 약 384개의 metagenome library에서 2종의 clone을 선택하여 고추작물에 직접 방제하여 역병균의 생장 억제를 확인하였다. 이는 차후 고추역병 방제제 개발에 있어 중요한 후보물질뿐만 아니라 metagenome library를 이용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라 사료 된다. 또한 in vitro 스크리닝에서 얻어진 2종의 metagenome clone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항역병 활성에 관련하는 DNA 서열을 확보하고 이를 응용하여 물질을 생산 할 경우, 현장에서 활용 할 수 있는 효과 큰 친환경 천연고추역병 방제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 생각된다.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유적 발굴지의 화분분석: 색생과 퇴적환경 고찰 (Pollen analysis from Osong Archaeological Site, Chungbuk Province: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

  • 이상헌;김주용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3
    • /
    • 2010
  • 충북 청주시 오송지구 원평 II-3 보조단면 (B11칸 서벽)의 홀로세로 판단되는 퇴적물로부터 이 지역의 식생과 기후변화를 추정하였다. 트렌치 단면의 퇴적물들은 주로 조립질의 퇴적물로 구성되어 유기물의 함유량이 대체적으로 낮았다. 비록 화분의 산출량은 높지 않았지만 우점 종과 일부 중요 종으로부터 중부 내륙 산간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식생이 변화가 있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분군집상의 변화를 선행화 분분석 자료들과 대비하여 간접적으로 연대를 추정할 수 있었다. 초기 홀로세의 식생은 최종 빙기 이후 온난화로 전이되는 한랭기동안 번성하였던 주요 수목들이 사라져 단순한 산림형태화가 되었던 것으로 간주된다. 중기 홀로세에는 온난, 습윤의 최적화된 생육조건으로 낙엽활엽수림과 상록수형 활엽수 및 난온대성 소나무 등이 번성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후기 홀로세의 기후는 다시 한랭화가 진행되어 본 연구지역은 침엽수-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천이되었다. 최상부 구간에는 농경활동 지표 종들의 산출로 이 지역에 본격적인 농경활동이 행해졌던 것으로 생각되며, 산림형태는 자연환경변화보다는 인간간섭에 의해 더 영향을 받은 특징을 보여주며 기후조건은 오늘날과 비슷하였다.

  • PDF

식이성 고지혈 및 비만에 대한 산마늘 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eaves on Triton WR-1339-Induced and Poloxamer-407-Induced Hyperlipidemic Rats and on Diet-Induced Obesity Rats)

  • 최종원;이경태;김원배;박광균;정원윤;이진하;임상철;정현주;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109-115
    • /
    • 2005
  • The herb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liaceae) has been used as an edible wild herb and to treat heart failure and gastritis. We have already reported antihyperlipidemic anti-tumor effects of this plant. To enlarge the commercial availability of this food,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 extracts of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reduce hyperlipidemia and obesity or not. The plants tested in this experiment were collected from two eco-types of Is. Ullung and Mt. Odae cultivated at Pyongchang.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the fresh leaves and those dried at $36^{\circ}C$ and $90^{\circ}C$, respectively. Pretreatment with the ethanolic extracts for two weeks(p.o.) reduced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tents in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respectively. Furthermore,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also inhibited the hyperlipidemia induced with oral diet of 30% corn oil. In the other attempt to find to alleviate the obesity, the model rats with obesity were induced by the high fat-diet for six weeks. Post-treatment with the extracts for two weeks significantly reduced the hyperlipidemia. Retroperitoneal-, epidymal- and total abdominal fat pad weights were considerably reduced at 100 mg/kg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Increased feces lipid contents were also found in the rat treated with the extracts. The extract may lead to the higher activity in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obesity than of the dried one.

인간 HepG2 세포에서 더덕 및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 의한 세포보호 효과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 김수현;최현진;오현택;정미자;최승필;함승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6-701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더덕 및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CLEA나 PGEA)이 다양한 항산화 시스템을 가동시켜 sodium nitroprusside(SNP)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세포를 보호해 줄 수 있을지 연구하는 것이다. 0.5 mM의 SNP를 HepG2 세포주에 24시간 동안 노출시켰을 때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나, CLEA와 PGEA 천처리에 의해 SNP 노출에 의한 세포 생존율 감소가 저해되었다. 또한 항산화 시스템들 발현에 미치는 CLEA와 PGEA의 영향을 RT-PCR로 알아보았다. Catal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G6PD) 그리고 metallothionein (MT)-1A mRNA 수준이 CLEA를 세포에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증가하였고, Mn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6PD, MT-1A 와 MT-2A mRNA 수준이 PGEA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우리는 CLEA와 PGEA가 아마 다양한 항산화 시스템들을 증가시키는 간접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들 효과들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해 줄 것이라 추정하였다.

Agrobacterium법에 의한 Panicum속 식물들의 효과적인 형질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fficient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anicum spp.)

  • 서미숙;다카하라 마나부;다카미조 타다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
    • /
    • 2011
  • 난지형 사료작물들의 신품종 개발을 위해서는 형질전환기법에 의한 유용 유전자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기니아그라스를 포함하여 높은 조직배양 능력을 가진 3종의 Panicum속 식물을 대상으로 Agrobacterium법을 통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P. meyerianum의 성숙종자 유래 캘러스를 이용하여 acetosyringone과 betaine이 Agrobacterium의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GUS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통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acetosyringone 10 mg/L와 betaine 60 mg/L를 첨가하였을 때 높은 GUS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최적의 형질전환조건을 이용하여 기니아그라스 2품종의 미성숙 배 유래 캘러스와 P. longijubatum, P. stapfianum의 성숙종자 유래 캘러스에 각각 형질전환을 시도한 결과, 모든 캘러스에서 높은 GUS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저항성을 나타내는 캘러스를 대상으로 GFP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안정적으로 세포 내에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내성을 나타낸 P. meyerianum 캘러스는 유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형질전환체를 대상으로 PC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현벡터 T-DNA 영역의 hpt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의 genome내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잔디 갈색퍼짐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선발 (Isolation and Selection of Antagonistic Microbes for Biological Control of Zoysiagrass Large Patch Disease)

  • 마기윤;곽수년;이긍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657-66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잔디에 발생하는 병해 중 가장 큰 피해를 나타내는 갈색퍼짐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새로운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고 그 방제효과를 기내 및 생물검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갈색퍼짐병에 항균활성을 갖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고자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R. solani AG2-2 (IV)와의 대치배양을 통해 61균주를 1차로 선발하였으며, 선발 균주 중 R. solani AG2-2(IV)의 균사 생육 억제력이 가장 큰 3종의 균주 I-009, FRIN-001-1 및 YPIN-022를 최종 길항미생물로 선발하였다. 이들 세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I-009와 FRIN-001-1은 Bacillus 속에 속하였고, YPIN-022 균주는 Pseudomonas 속의 미생물로 확인되었다. 배양여액을 이용한 R. solani AG2-2 (IV)의 균체량 측정결과 선발 길항미생물 모두 51.7-63.5%의 균체 증식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장성에서 수확한 들잔디의 일종인 장성중지를 생육상에서 활착시킨 후 조사한 생물검정에서 잔디줄기 위에 균체 발생율은 I-009와 YPIN-022 균주 처리구에서 각각 60.3%와 65.0%로 갈색퍼짐병 병원균 단독처리구에 비하여 28.1%와 23.7%의 병 발생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 FRIN-001-1 균주 처리구는 47.8%의 균체발생율을 보여 비교적 높은 43.0%의 병 발생 억제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잔디 갈색퍼짐병에 대한 병 발생 억제율이 가장 우수한 선발 길항미생물 균주는 FRIN-001-1였고, 향후 추가적인 포장검증을 통해 한국잔디 이용지역을 위한 생물농약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섬유소(纖維素) 분해효소(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5보(第5報)) -Trichoderma $(O_2-1)$가 생성(生成)하는 Cellulolytic Complex의 분별(分別)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Cellulase. (V) -Fractionation of Cellulolytic Complex produced by Trichoderma $viride(O_2-1)$)

  • 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2권
    • /
    • pp.99-105
    • /
    • 1969
  • Trichoderma $(O_2-1)$의 조효소(粗酵素)를 Ethanol 및 Acetone 농도별(濃度別)에 따른 회수율(回收率)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 각(各) cellulase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즉(卽) Ethanol을 사용(使用)하였을 경우 ${\beta}-glucosidase$는 60% C.M.C분해효소(分解酵素), 여지붕괴(濾紙崩壞濾) 효소(酵素)는 80% 일때가 좋았고 Acetone을 사용(使用)하였을 경우 ${\beta}-glucosidase$는 60% 여지붕괴(濾紙崩壞濾) 효소(酵素)는 80%, C.M.C분해효소(分解酵索)는 90% 농도(濃度)일때가 좋은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조정제(粗精製)한 Cellulase를 Silicagel, cellulose powder, Gauze를 사용(使用)한 column chromatography에 의(依)하여 분별(分別)란 결과(結果) 수치(數個)의 구분(區分)으로 분별(分別) 할 수 있었다.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Avicel 분해효소(分解酵索), ${\beta}-glucosidase$의 대부분(大部分)은 흡착(吸着)이 되지않고 유출(流出)되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와 일부분(一部分)의 Avicel분해효소(分解酵索)는 흡착(吸着)되었다가 증류수(蒸溜水)로서 유출(流出)함으로씨 용출(溶出)되었다. 따라서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는 상이(相異)한 Cellulase 성분(咸分)임을 알았다. 또 C.M.C 분해효소(分解酵索)와 Avicel 분해효소(分解酵索)는 용출구분(溶出區分)에 있어 peak가 상이(相異)한 다른 구분(區分)에서 상대활성(相對活性)이 다르므로 역시 별개(別個)의 종류(種類)로 구분(區分)되었다. 또 여지붕괴효소(濾紙崩壞濾酵素)와 Cellulose powder (여지분말(濾紙粉沫)) 당화효소(糖化酵素)는 흡착구분(吸着區分)과 비흡착(非吸着) 구분(區分)으로 분별(分別)되니 사이(相異)한 Cellulase 성분(成分)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Trichoderma viride $(O_2-1)$의 Cellulase는 적어도 3종이상(種以上)의 Cellulase 성분(成分)으로 되어 있다고 추찰(推察)된다.

  • PDF

발아중인 벼 품종별 Malathion 가수분해효소에 관한연구 (A Study on Malathion-hydrolyzing Esterases of Germinating Seeds of Some Rice Plant Varieties)

  • 이재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3호
    • /
    • pp.229-235
    • /
    • 197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대표적인 수도 품종 중에서 japonica type으로 관옥, 후지사까 5호, 팔달, 수원 82호의 4품종과 indica type으로 IR-262 CP-slo의 2품종을 선정하여 estel형 인 유기인계 살충제 malathion과 방향족 ester로서 p-nitrophenyl acetate에 대한 esterase의 활성을 비교해 보고 agar-gel electrophoresis에 의하여 ${\alpha}-naphthyl$ acetate를 기질로 하여 esterase의 zymogram을 관찰한 바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조효소액(crude enzyme)의 malathion가수분해 능력을 효소액일정량에 대한 분해된 malathion milligram으로 비교하면 관옥>IR-262>후지사까 5호>CP-slo>팔달>수원 82호의 순으로 관옥이 가장 활성이 강하고 팔달, 수원 82호가 가장 약하다. 2. Esterase zymogram을 보면 품종간에 대차없이 $3{\sim}4$개의 band가 두극으로 움직이며 cathode로 특히 굵고 진한 band가 있고 수원 82호는 다른 품종과 약간 다른 pattern을 보였다. 3. p-Nitrophenyl acetate를 기질로 할 때 매 milligram 단백질당의 흡광도로 활성을 비교하면 CP-slo>IR-262>팔달>관옥>수원 82호>후지사까 5호의 순으로 indica type의 품종이 훨씬 활성이 강하나 malathion 경우와 일치하지는 않는다. 4. 0.2ppm 정도의 malathion으로 벼의 esterase는 별로 저해 되지 않았다. 5. 발아중인 벼종자에는 malathion과 p-nitrophenyl acetate를 가수분해하는 복합 esterase가 존재 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