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gel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1초

Alterations in the Properties of Agar by ionizing Radiation

  • Lee, Su-Rae;Park, Sang-Ki;Cho, Han-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145-150
    • /
    • 1976
  • 한천 원조인 꼬시레기를 여러 가지 선량의 코발트 60 감마선으로 조사하고 이에서 추출한 한천의 수율 및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방사선조사한 한천분말의 품질과 비교하였다. 방사선조사한 원조에서의 한천의 수율은 조사선량이 2 Mrad 까지 상승됨에 따라 증가하였고 그 이상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한천의 젤화능력, 젤화점, 젤견고성 및 비점도는 1 Mrad까지 증가하였고 그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융점, 전질소, 조회분, 전유황 함량은 1 Mrad 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상에서는 변화가 완만하였다. 시판용 한천분말의 방사선조사는 젤화능력, 비점도, 젤견고성의 급격한 감소와 젤화점, 융점의 완만한 감소를 가져왔다. 한천시료의 특성의 변화패던의 한천을 유리상태 또는 결합상태(해조중 존재형태)에서 조사하는가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 PDF

산처리(酸處理) 조건(條件)이 한천(寒天)의 수율(收率) 및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cid Treatment on Extractability and Properties of Agar)

  • 박영이;이철;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19-325
    • /
    • 1985
  • 참우뭇가사리 (Gelidium amansii sp.)를 원예(原藻)로 하여 추출조건( 抽出條件)(산(酸)의 종류(種類)와 농도(濃度) 및 추출시간(抽出時間) 등)에 따른 한천(寒天)의 수율(收率)과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을 분석(分析)하였으며, 조건별(條件別)로 추출(抽出)된 한천(寒天)에 대하여 agarose와 agaropectin의 비율(比率)을 측정(測定) 검토(檢討)하였다. 자숙중(煮熟中)에 염산(鹽酸), 황산(黃酸) 및 초산(酢酸)을 가했을 때, 추출(抽出)된 한천(寒天)의 수률(收率)과 젤리강도를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염산(鹽酸)을 가하여 추출(抽出)한 것이 가장 우수(優秀)하였으며 산(酸)의 알맞은농도(濃度)는 0.005-0.01N HCI의 범위임을 알았다. 산(酸)을 첨가하지 않고 추출(抽出)한 대조구(對照區)의 수율(收率)과 젤리강도는 13.3%, $306g/cm^2$였다. 산(酸)의 종류(種類)와 농도별(濃度別)로 가장 높은 수율(收率)을 보인 추출조건(抽出條件)은 0.007N HCI의 38.7%, 0.007N $H_2SO_4$의 40.5%. 0.05N $CH_2 COOH의 42.4%였다. 그리고 가장 높은 젤리강도를 보인 추출조건(抽出條件)은 0.005N HCI일 때의 $511g/cm^2$, $0.005N\;CH_2 COOH일 때의 $463g/cm^2$, 0.01M $CH_2COOH$ 일때의 $436g/cm^2$였다. 그리고 구(對照區)와 젤리강도 및 수율(收率)이 가장 높게 나타난 산처리추출(酸處理抽出)된 한천중(寒天中) agarose의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젤리강도가 가장 높은 0.005N HCI 처리구한천(處理區寒天)이었으며, 이때 성분(成分)과 황산기(黃酸基)의 함량은 가장 적었다.

  • PDF

건조 방법이 한천의 물리${\cdot}$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ying Method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gar)

  • 김옥도;김육용;이남걸;조영제;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81-688
    • /
    • 1996
  • 생리적 기능을 가지며 식품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한천을 시료로, 용융점을 인위적으로 낮추어 상변화에 필요한 열전이를 감소시킴으로서 이용을 간편화하기 위하여, 분무 건조 (spray dry) 및 압출 성형 (extrusion)과 같은 건조 방법이 한천의 물리 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압출성형 건조한천이 다른 건조 방법의 한천보다 겔 강도가 낮았고, 점도는 열풍건조 한천이 $45^{\circ}C$에서 400.000ps로 가장 높았으며 다른 건조방법의 한천은 변화가 거의 없었다. 용융점과 응고점 그리고 흡열최대 온도 및 엔탈값은 압출성형 건조 한천이 다른 건조방법의 한천보다 낮았으며, 그 값은 각각 $80.01^{\circ}C,\;36.05^{\circ}C,\;61.72^{\circ}C$ 그리고 0.73cal/g이었다. 그러나, 겔화후에 재가열한 경우는 건조방법에 따른 이들 값의 차이는 없었다. 주사 전자현미경 (SEM)으로 한천의 표면 구조를 관찰한 결과는 압출 성형 건조 한천이 수분침투가 용이한, 가장 불안정한 구조를 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한천을 완전히 용해한 졸 상태에서 분무 건조나 압출 성형 건조로 수분을 급속히 제거하여 건조시키면, 한천 본래의 물리 화학적 및 물성적 특성이 변화하여 용해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되며, 이 특성을 이용하면 식품의 특성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한천의 제조가 가능하리라고 생각된다.

  • PDF

겔 식품의 물질전달공정 중 확산량 예측모델 및 확산계수 (Diffused Quantity Prediction Model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Gel Food in the Mass Transfer Process)

  • 이원영;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7-223
    • /
    • 1991
  • Gel식품의 구조적 특성을 밝히는 일은 특수한 장치나 분석방법이 요구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조작이 간편하고 확산식에 잘 맞는 농도의 해를 구할 수 있는 capillary method를 통해 확산량과 확산계수를 예측하였다. 확산량은 거리, 시간, agar%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도시하고 추정된 몇 가지 함수식으로부터 SPSS 통계 package 중 regression program을 이용해 단순회귀시켜 R-square가 가장 높은 식을 채택하고 다시 각 독립변수에 대한 함수식을 이용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최종 model식을 수립하였다. 기존의 확산계수 예측방법은 Fick의 제 2법칙의 해식으로부터 예측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그 식이 난해하고 시간이 많이 걸려 본 연구에서는 좀 더 간편한 방법으로 확산계수를 구하고자 수치해석적 방법에 따라 확산계수를 예측하였으며 그 산술평균을 확산계수 D값으로 나타내었다.

  • PDF

해양 미생물Algibacter lectus AS-3으로부터 agarase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garase from Marine Bacterium, Algibacter lectus AS-3)

  • 정일선;최영주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42-148
    • /
    • 2007
  • Agar로부터 oligosaccharides를 제조하기 위하여 효소 (agarase)를 이용한 분해법이 시도되면서 agarase의 균주의 분리 및 유전자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으로부터 agarase를 생성하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고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AS-3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Algibacter lectus AS-3로 동정되었다. 정제된 효소의 최적 활성 조건 및 agar 분해산물의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최적배양조건은 marine broth 2216에서 온도 $27^{\circ}C$, pH 7일 때 가장 균주의 생육이 높았다. Agarase 효소는 salt 침전, ion exchange와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 의해 9.6 units/mg으로 6.9배 정제되었다. 최적 효소활성은 온도 $40{\sim}50^{\circ}C$, pH 7일 때 나타났다. Agar 첨가한 배지에 agar 분해균을 접종한 후 분해산물의 시간에 따른 항산화활성은 12시간 배양 후 62%의 가장 높은 전자소거능 (EDA)을 나타내었다.

  • PDF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추출 및 정제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gar from Gelidium amansii)

  • 도정룡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3-427
    • /
    • 1997
  • 국내 연안산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의 수율, 추출조건 그리고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한천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제하고 정제한 한천의 수율, 황산기, 회분 그리고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우뭇가사리로부터 한천을 제조 할 때에는 $120^{\circ}C$에서 $2\~3$시간 추출하는 것이 좋았다. 여러지역에서 채취한 우뭇가사리로부터 추출한 한천의 수율은 $31.6\~46.8\%$로 산지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매우컸고, 울릉도산 및 제주도산 우뭇가사리의 수율이 $46.8\%$$43.6\%$로 좋았다. 겔강도는 $496\~887g/cm^2$로 산지에 따른 차가 매우컸고, 동해안의 대변 및 일광산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의 겔강도가 887 및 $854g/cm^2$로 매우 강하였다. 추출한 한천중의 회분함량은 $2.63\~2.92\%$였고, 황산기의 함량은 $1.38\~1.78\%$였다. 염산으로 전처리하여 추출하면 전처리하지 않은 시료에 비하여 오히려 수율이 감소되었고, 겔강도도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비례하여 감소하였다. 증류수로 한천을 수세한 후에 아세톤으로 탈수하면 황산기 및 회분함량이 감소될 뿐만아니라 겔강도도 618에서 $895g/cm^2$로 증가되었다. EDTA처리법은 한천을 용해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처리하여 황산기 및 회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키토산 처리에 의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효과가 가장 좋았다. PEG처리에 의한 한천 정제법은 황산기와 회분의 제거 효과는 상당히 좋았으나, 수율이 $55.6\%$로 매우 낮았다. CPC처리에 의한 정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의 함량이 감소하였고, 겔강도가 618에서 $1180g/cm^2$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에탄올, 아세톤 그리고 프로판을 침전법으로 정제한 한천은 황산기와 회분함량이 감소하고 겔강도는 증가되었으며, 아세톤에 의한 정제 효과가 가장 좋았다. 우뭇가사리에서 추출한 한천에는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그리고 칼륨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인, 철, 알루미늄, 아연 그리고 납은 100ppm이하로 미량이었다. 나트륨을 제거하는데는 CPC처리, 칼슘의 제거는 EDTA처리, 칼륨, 인, 철 그리고 아연의 제거는 키토산 처리시에 가장 효과가 좋았다.

  • PDF

쑥뜸과 1064 nm 파장의 근적외선 레이저로 가열된 아가젤 조직 팬텀 심부의 온도분포 가시화 (Visualiza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Deep Inside the Agar Gel Tissue Phantom Heated Using Moxibustion and 1064 nm Infrared Laser)

  • 조지용;김중경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4-59
    • /
    • 2010
  • A laser moxibustion therapy device having effect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moxibustion is being developed using 1064 nm infrared laser. The therapy device allows direct interaction of laser light with the tissue rendering temperature distribution both on the skin surface and deep under the skin. We made a device that could measure temperature of deep under the surface of agar gel tissue phantom using thermocouples. A thermal imaging camera was used to verify results from the temperature measurement device. W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inside the tissue phantom during moxibustion and laser irradiati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rmocouples was found to be similar to that of distribution given by thermal imaging camera.

개다시마 Kiellmaniella crassifolia Miyabe (Phaeophyta)의 암.수배우체 분리 및 보존 (Separ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Miyabe (Phaeophyta))

  • 김진희;김영대;송홍인;공용근;이상범;진형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7-393
    • /
    • 2007
  • We examined the conditions for separating and preserving the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of Kjellmaniella crassifolia. The highest percentage of zygote germination (85%) was on semi-solid medium composed of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20\;{\mu}mol/m^2/s$ after a 4-week culture. Zygote germination in PESI liquid medium was 93.5% at $20\;^{\circ}C$ and $20\;{\mu}mol/m^2/s$. The maximum zygote growth was $252{\pm}19.7\;{\mu}m$ on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40\;{\mu}mol/m^2/s$ after 5-week culture, and was $76.7{\pm}2.8\;{\mu}m$ in PESI liquid medium at $20\;^{\circ}C$ and $40\;{\mu}mol/m^2/s$. The respective numbers of separated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from germinated zygotes were 157 and 93 on 1.0% transfer gel agar and 14 and 28 in PESI liquid medium. The maximum growth of separated male and female gametophytes was $575{\pm}28.3\;{\mu}m$ at $5\;^{\circ}C$ and $60\;{\mu}mol/m^2/s$ and $686{\pm}35.4\;{\mu}m$ at $20\;^{\circ}C$ and $20\;{\mu}mol/m^2/s$ in PESI liquid medium after 3 weeks, respectively. The highest percentage fertilized was $93.3{\pm}5.8%$ at $15\;^{\circ}C$ and $20\;{\mu}mol/m^2/s$ in PESI liquid medium. These results show that the best conditions for the separation and preservation of gametophytes (male and female) consisted of culturing on 1.0% transfer gel agar at $15\;^{\circ}C$ and $20\;{\mu}mol/m^2/s$.

Pseudomonas elodea에 의해서 생산된 Gellan gum과 Agar의 rheology 특성 비교연구 (Study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ellan gum Produced by Pseudomonas elodea -Comparative Studies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Gellan gum and Agar-)

  • 권혜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6
    • /
    • 1988
  • The polysaccharide produced by pseudomonas elodea, Gellan gum, was rheologically characterized, compared with agar. Rheolog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from the change in the value of intrinsic viscosity with the pH and salt concentration. At the range of pH 2∼ll and salt 0∼0.16M KC1, the intrinsic viscosity of Gellan gum ranged from 8.8 to 21.2dl/g and agar ranged from 1.97 to 11.46d1/g. In the absence of salt, the intrinsic viscosity of Gellan gum increased as the pH of solution increased up to neutral pH then decreased slightly at alkaline pH, whearas the intrinsic viscosity of agar increased as the pH of solution increased up to pH 9 then decreased slightly. Intrinsic viscosity of Gellan gum and agar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salt concentration. The chain stiffness parameter for the Gellan gum was 0.033. The overlap parameter of Gellan gum and agar were 0.047g/dl and 0.087g/dl, respectively. Gellan gum and agar were shear rate dependent or pseudoplastic. The yield stress and proportionality constant of Gellan gum increased slightly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shear index of Gellan gum showed a maximum at 0.75g/dl and graduall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increase. The apparent viscosity of Gellan gum and agar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increase. A lower concentration of the divalent cations calcium and magnesium is required to obtain maximum gel strength than for the monovalent cations sodium and potassium.

  • PDF

우리나라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의 혈청학적 분류 및 진단 (Serovars of Xanthomonas campetris pv. oryzae Collected from Korea and Serological Diagnosis of Bacterial leaf Blight)

  • 최재을;이두구;서재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66
    • /
    • 1985
  • 벼 흰빛잎마름병균주 Q7472와 Q7502의 항혈청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수집한 벼 흰빛잎마름병균의 혈청형을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분류한 결과, 71균주중 65균주가 혈정형 A형, 5균주가 B-I, 1균주가 B-II형에 속하였다. 혈청형A에 속하는 균주는 $0.1-1\%$$CaCl_2$용액에서 자기의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혈청형 B-I과 B-II에 속하는 균주는 심한 자기의집이 일어나 혈청형과 자기의집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흰빛잎마름병균은 혈청학적 방법에 의해 쉽게 검색될 뿐만 아니라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벼 세균성줄무늬병균인 X.campestris pv. olyzicola의 부생세균인 E. herbicola와도 쉽게 구별되었다. 흰빛잎마름병균 검출은 병반을 NaCl용액에 넣은 후에 착압하거나 $1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 후 착압한 즙액을 한천gel내 확산법에 의해 항혈청과 반응시킴으로써 가능하였으며, 병반이 적을때는 PSA배지에서 배양한 후 사용하면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