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22초

가정간호사와 보건간호사의 직업 및 조직헌신도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itment of Home Health Care Nurses and Public Health Nurses)

  • 유숙자;최소은;이상희;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8
    • /
    • 2001
  • In order to confirm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nd the public health nurs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Commitment Inventory developed by Meyer and Allen and modified by Rhee and others. To compare the commitment level between two professiona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the 61 home health care nurses and the 134 public health nurses working in 25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mitment level of' the Home Health Care Nurses ($4.7{\pm}0.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Health Nurses($4.4{\pm}0.7$). The level. of the professional commitment of the home health care nurses($5.0{\pm}0.9$)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Health Nurses($4.5{\pm}0.8$).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of Home Health Care Nurses($4.5{\pm}0.7$)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ublic health nurses($4.3{\pm}0.6$). 2. The higher of affective professional commitment was shown in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nd the higher level of continuance professional commitment was shown in the public health nurses. The higher levels of normative professional commitment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shown in the Home Health Care Nurses, and the higher level of continu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in the home health care nurses. The higher level of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in the home health care nurses. 3. The level of professional commit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in 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level of affective professional commitment of the of home health nurses with higher-educate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ower-educated group.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Home Health Nurses in higher age was higher than that in lower age.

  • PDF

호텔 정규직과 비정규직 종사원의 조직 특성요인이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tel Regular & Non-regular Employees)

  • 김진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8-292
    • /
    • 2007
  •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ow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hotel employees 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type of employment. Samples used for data analysis are 452 workers working for hotel companies including 276 regular employees and 176 non-regular employ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employee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non-regular employees. Second, the degree of affective and continuous commi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employment, but normative commitment did no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how job satisfac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job satisfaction of non-regular employees alone is not affected by the relationship of senior officers and coworkers.

  • PDF

중국 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가부장 리더십이 정서적 조직몰입 및 조직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ternalistic Leadership on Affectiv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vidence from Chinese Employees)

  • 김예진;신찬혁
    • 지역연구
    • /
    • 제40권1호
    • /
    • pp.111-12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사회교환이론을 바탕으로 가부장적 리더십의 하위 차원인 온정주의, 도덕주의, 그리고 권위주의 차원이 정서적 조직몰입과 조직 시민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했다. 또한, 유교주의 관점에서 가부장적 리더십의 효과성이 개인 차원의 권력거리와 근로자 나이에 따라 효과성 차이가 있는지 연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205명의 중국 근로자를 기반으로 가부장적 리더십의 세 하위 차원이 정서적 조직몰입을 매개하여 조직 시민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권력 거리와 부하 직원 연령은 이 관계를 조절하지만, 권위적인 측면은 다른 차원과는 달리 효과성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통해 가부장적 리더십의 하위 차원이 권력 거리와 부하 직원 연령의 이의 효과성을 조절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권혜림;주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9-508
    • /
    • 2018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회복탄력성의 발전과정과 하위 개념들을 정리하고,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의 하위 개념을 자기조절능력(감정조절력,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대인관계능력(자아확장력, 소통능력, 공감능력), 긍정성(감사하기, 생활만족, 낙관성)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감정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생활만족>원인분석력>소통능력>공감능력>감사하기>충동통제력 순으로 모두 감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생활만족>낙관성>감정조절력>소통능력>원인분석력 순으로 지속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확장력>공감능력>낙관성>생활만족>충동통제력>원인분석력 순으로 모두 규범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 조명숙;이성숙;김진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695-701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for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323 dental hygienists from May 2 to June 5,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Results : The dental hygienists had the highest score in relationship(4.09), and had the lowest score in communicative competence(3.29).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y had the highest score in affective commitment(3.20).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regard according to age(p<0.001), marital status(p<0.05) and career(p<0.001).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varied significantly with age(p<0.05) and career(p<0.01), and normative commitment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 number of work days(p<0.05) and career(p<0.0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ental hygienists(p<0.001). Conclusions :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was better when they had a better resilience, and that resilience mad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간호사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Orientation of Nurses)

  • 도은수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9-527
    • /
    • 2012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orientation of nurse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05 nurses who were working in 13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in Feb., 2012,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ANOVA, Scheffe tes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ith PASW (SPSS) 18.0 program. Result: The average score for internal marketing was 3.07 points, for job satisfaction, 3.06 point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3.25 points, and for customer orientation, 3.53 points. Customer orient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ustomer orientation were professionalism, interaction with job satisfaction, affective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ngth of career. These variable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5.2%.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uld be reinforced to improve the customer orientation of nurses.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A Effects of Infant Teachers' Happi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혜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78-5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울산광역시의 영유아교사 16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 간의 인과 관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행복감과 외적 행복감 요인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은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행복감과 외적 행복감 요인은 유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 하위 요인인 자기 조절 행복감 요인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조직 몰입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에 관한 연구: 군 장교를 대상으로 (A study of the career deal model for military officers)

  • 우웅기;이진규;권상순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7-176
    • /
    • 2009
  • 본 논문은 360명의 군 장교들을 대상으로 비영리조직이면서 동시에 전통 관료제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개인의 적극적인 경력관리활동이 조직의 경력관리도움을 유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 경력관리활동, 조직의 경력관리도움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심리적 계약의 틀 안에서 설명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의 경력관리 활동이 조직몰입의 선행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군 조직의 경력관리활동이 장교들의 정서적 몰입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영리조직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경력관리활동의 유형 별 효과가 군 조직에서도 가능함을 밝혔다. 이런 분석결과들로 볼 때, 군은 장교들의 자기 주도적 경력계획을 적극 유도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차별화된 경력관리도움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핵심인력을 확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 및 성별과 직종의 조절효과: 대덕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tention to Leav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Occupation in Dae-deok Venture Enterprises)

  • 김정석;안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77-86
    • /
    • 2012
  • 자발적 이직은 숙련된 인력이 조직을 이탈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용을 초래하며, 잔류 종업원들에게도 조직몰입도를 낮추는 등의 부정적 측면이 있다. 특히 벤처기업의 경우 인력유출은 기술유출은 물론 기술인력의 네트워크를 약화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덕특구에 입지한 벤처기업 종사자들로부터 회수한 458부의 설문을 바탕으로 조직몰과 자발적 이직의 관계 및 성별과 직종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적 몰입, 근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정서적 몰입과 근속적 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규범적 몰입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구성원들이 회사에 대하여 높은 충성심과 애사심이나 귀속감을 갖게 될 때 전직이나 이직에 대한 의도가 낮아짐을 의미한다.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여성에 비하여 남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는 정서적 몰입이 증가할 때 이직의도는 감소하는데 여성에 비하여 남성의 경우에서 이직의도의 감소효과가 큼을 의미한다. 그리고 근속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는 연구개발직에 비하여 사무관리직이 크다는 것이다. 즉 근속적 몰입이 증가할 때 이직의도는 감소하는데 상대적으로 사무관리직에서 이직의도가 크게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영자와 인사담당자는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상당히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제고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외환위기 이후 능력주의 인사제도의 도입과 잦은 구조조정은 구성원들의 단기적 능력과 성과제고에는 효과적이지만, 장기적으로는 조직몰입을 저하시키고 나아가 자발적 이직이 증가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PDF

간호사의 보상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es' Perception of Reward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 이미애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4-443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nurses' perception of reward,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first two variables on turnover intention. Methods: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nurses working at 8 general hospitals in 6 cities from May 28 to July 18, 2008. Result: Nurses perceived that reward was 'importa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middle'. Being under 30 years old the unmarried staf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ly low in statistics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was high. The only financial reward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relationship. The influence variables on turnover intention were affective commitment, period of expected work, financial reward, age, normative commitment, and the explanation power of them was 57.2%.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 manager working at a small-middle sized general hospitals in Korean provinces should develop and apply the strategies that can improv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y also have to make their organizational reward system keep appropriat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