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ebril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17초

Alteration of $CD4^+CD25^+Foxp3^+$ T cell level In Kawasaki disease

  • Sohn, Su-Ye;Song, Young-Wooh;Yeo, Yun-Ku;Kim, Yun-Kyung;Jang, Gi-Young;Woo, Chan-Wook;Lee, Jung-Hwa;Lee, Kwang-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4호
    • /
    • pp.157-162
    • /
    • 2011
  • Purpose: Exaggerated pro-inflammatory reactions during the acute phase of Kawasaki disease (KD) suggest the role of immune dysregulation in the pathogenesis of KD. We investigated the profiles of T regulatory cells and their correlation with the clinical course of KD. Methods: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ere collected from 17 KD patients during acute febrile and subacute afebrile phases. T cells expressing CD4, CD25, and Foxp3 were analyzed using flow cytometry, and the results were correlated with the clinical course of KD. Results: The percentage of circulating $CD4^+CD25^{high}Foxp3^+$ T cells among $CD4^+$ T cells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the subacute afebrile phase than during the acute febrile phase ($1.10%{\pm}1.22%$ vs. $0.55%{\pm}0.53%$, P=0.049). Although levels of $CD4^+CD25^{low}Foxp3^+$ T cells and $CD4^+CD25^-Foxp3^+$ T cells were only slightly altered, the percentage of $CD4^+CD25^+Foxp3^-$ T cells among $CD4^+$ T cells was significantly lower during the subacute afebrile phase than during the acute febrile phase ($2.96%{\pm}1.95%$ vs. $5.64%{\pm}5.69%$, P=0.036). Consequently, the ratio of $CD25^{high}Foxp3^+$ T cells to $CD25^+Foxp3^-$ T cells was higher during the subacute afebrile phase than during the acute febrile phase ($0.45%{\pm}0.57%$ vs. $0.13%{\pm}0.13%$, P=0.038). Conclusion: Decreased $CD4^+CD25^{high}Foxp3^+$ T cells and/or an imbalanced ratio of $CD4^+CD25^{high}Foxp3^+$ T cells to $CD4^+CD25^+Foxp3^-$ T cells might playa role in KD development. Considering that all KD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 recovery of $CD4^+CD25^{high}Foxp3^+$ T cells during the subacute afebrile phase could be a mechanism of IVIG.

Visceral Leishmaniasis without Fever in an 11-Month-Old Infant: a Rare Clinical Feature of Kala-azar

  • Sayyahfar, Shirin;Ansari, Shahla;Mohebali, Mehdi;Behnam, Baba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2호
    • /
    • pp.189-191
    • /
    • 2014
  • Visceral leishmaniasis or kala-azar is an endemic parasitic disease in some parts of the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by fever, splenomegaly, and pancytopenia in most of the cases. Herein we report an 11 month-old male infant with diagnosis of kala-azar who presented with pallor, hepatosplenomegaly, failure to gain weight, and no history of fever. Surprisingly, fever started after beginning of meglumine antimoniate treatment in this patient. As far as we are aware of, this is a rare presentation of visceral leishmaniasis. Therefore, clinicians especially in endemic areas are highly recommended to include kala-azar among differential diagnosis of unexplained anemia without fever to prevent misdiagnosis of this potentially fatal, but treatable condition.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 Kang, Ben;Kwon, Young S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7호
    • /
    • pp.304-309
    • /
    • 2014
  • Benign convulsion with mild gastroenteritis (CwG) is a type of afebrile seizure that occurs in children. CwG is defined as a convulsion in a previously healthy child with no known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 or encephalopathy, accompanying mild diarrhea without fever, electrolyte imbalance, or moderate to severe dehydration. Convulsions in CwG are characterized by multiple brief episodes of generalized or focal seizures. Although the etiology and pathophysiology have yet to be fully explained, many pathogenic mechanism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direct invas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by a gastrointestinal virus such as rotavirus or the possibility of indirect influence by the production and effects of certain mediators. The electroencephalogram findings are benign and long-term antiepileptic treatment is typically not required. Long-term prognosis has been favorable with normal psychomotor development. This review provides a general overview of CwG with the goal of allowing physicians practicing in the field of pediatrics to better recognize this unique entity and, ultimately, to minimize unnecessary evaluation and treatment.

카사이 수술 후 발생한 간내 담관 낭종 (The Development of a Intrahepatic Biliary Cyst after Kasai Operation for Biliary Atresia)

  • 박우현;최순옥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5권2호
    • /
    • pp.126-129
    • /
    • 1999
  • A 6 and a half year-old girl developed recurrent cholangitis following hepatic portoenterostomy for biliary atresia. Computed tomogram showed an ovoid cyst ($4.5{\times}4.0$ cm in size) in the left hepatic lobe and another tubular dilatation ($2.0{\times}0.8$ cm in size) in the right hepatic lobe.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drainage(PTCD) and cystogram showed an ovoid cyst in the left hepatic lobe (Tsuchida type A), measuring $6.6{\times}5.0$ cm in size. Following drainage and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antibiotics she became afebrile and anicteric. However she continued to drain 45-150 cc of bile per day via the tube over the next 2 weeks. The patient successfully underwent intrahepatic cystojejunostomy with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ic guidance. This case illustrates relapsing cholangitis caused by Tsuchida type A intrahepatic cyst, successfully managed with PTCD followed by an internal drainage procedure.

  • PDF

Paroxysmal kinesigenic dyskinesia in a patient with a PRRT2 mutation and centrotemporal spike discharges on electroencephalogram: case report of a 10-year-old girl

  • Seo, Sun Young;You, Su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157-160
    • /
    • 2016
  • Coexistence of paroxysmal kinesigenic dyskinesia (PKD) with benign infantile convulsion (BIC) and centrotemporal spikes (CTS) is very rare. A 10-year-old girl presented with a 3-year history of frequent attacks of staggering while laughing and of suddenly collapsing while walking. Interictal electroencephalogram (EEG) revealed bilateral CTS, but no changes in EEG were observed during movement.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showed afebrile seizures 6 months after birth, while the family history showed that the patient's mother and relatives on the mother's side had similar dyskinesia. Genetic testing demonstrated that the patient had a heterozygous mutation, c.649_650insC, in the PRRT2 gene. To our knowledge, this constitutes only the second report of a patient with PKD, BIC, CTS, and a PRRT2 mutation.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영아 경련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Benign Infantile Convulsions with Gastroenteritis)

  • 이정선;권혜옥;지영미;채규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7호
    • /
    • pp.753-759
    • /
    • 2005
  • 목 적 : 소아에서 위장관염에 동반된 경련의 발생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임상보고가 최근에 추가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저자들은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을 보였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의 임상적 특징 고찰과 발작간기 뇌파를 통해 이 질환의 전기 생리학적인 특징을 규명함으로서 향후 이 질환의 간질 증후군 분류와 진단, 치료 및 예후 예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6월 30일까지 3년 6개월 동안 급성 위장관염으로 분당차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아 중 과거 신경질환이나 발달 이상의 병력이 없으면서 전해질 이상 및 저혈당에 의하지 않는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던 67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급성 위장관염 입원 환아 2,887례 중 67례(2.3%)에서 무열성 경련이 관찰되었고 대상 환아의 연령은 1개월에서 42개월 사이($18.5{\pm}6.1$)이며 남아가 32례, 여아가 35례이었다. 경련 양상은 전신 강직-간대 발작은 51례(76.1%), 전신 강직 발작은 16례(23.9%) 형태였고 평균 경련시간은 2.8분(20초-40분), 입원 기간동안 평균 경련 횟수는 3.1회(1-13회)이었으나 경련 전후의 신경학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항경련제는 42례(62.7%)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23례에서는 2가지 이상의 항경련제 사용 후에 경련이 조절되었다. 뇌척수액 검사는 5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모두 정상이었고, 15례에서 시행된 뇌영상 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49례에서 시행한 대변 배양 검사 상 세균은 자라지 않았으며, 로타바이러스는 62례 중 51례(82.3%), 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2례, 아스트로바이러스는 18례 중 1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대상 환아에서 시행한 총 73례의 발작간기 뇌파에서 49례(67.1%)는 정상 소견을 보였으나 24례(32.9%)에서는 두정위 일과성 예파(vertex sharp transient)와 구분되는 극파 또는 예파가 수면 I-II기에 중심부에서 관찰되었고 이 중 추적뇌파가 가능했던 6례에서 3례는 정상화가 되었으나 3례에서는 저진폭의 비정형적인 극파나 예파가 지속되었다. 퇴원 후 추적조사는 58례(86.6%)에서 시행되었고 최대 36개월까지 모두 신경학적 후유증없이 정상적인 발달을 보였다. 결 론 : 급성 위장관염과 동반된 양성 무열성 경련은 정상발달을 보이며 건강하던 영유아에서 일회성 또는 다발성으로 발생하며 전해질, 혈당, 뇌척수액 등의 검사가 정상이고, 일부에서는 일시적으로 중심부에서 극파 또는 예파를 보이지만 추적 검사 시에는 정상 또는 호전되는 소견을 나타내며 양성 경과를 취한다. 따라서 이 질환군은 간질 증후군 중 특별 증후군으로 분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정상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에서 급성 위장관염과 함께 무열성 경련이 발생하는 경우 반드시 이 질환군을 고려하여야 하며 보호자를 안심시키고, 장기간의 과다한 항경련제 투여와 불필요한 방사선 검사를 피하는 등 그 진단과 치료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된 바이러스 및 유전자형 분석 연구 (Detection and Genotyping of Viruses Detected in Children with Benign Afebrile Seizures Associated with Acute Gastroenteritis)

  • 양혜란;지영미;고재성;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83-193
    • /
    • 2009
  • 목 적: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는 소아에서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다. 일부 소아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경과 중에 무열성 경련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위장관염 및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BIS-MG)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검출한 바이러스와 바이러스 유전자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4년 8월에서 2005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311명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대변에서 로타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장염 원인 바이러스를 검출하였고, 217명의 소아에서 분자유전학적 검사에 의하여 각 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위장관염 소아 환아 217명(남아 121명, 여아 96명, 평균 연령 20.6${\pm}$15.4개월) 중에서 로타바이러스가 109명(50.2%), 노로바이러스가 28명(12.9%), 아데노바이러스가 13명(6.0%), 아스트로바이러스가 2명 (0.9%)에서 검출되었다. 로타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결과 P[8]G3가 36명, P[4]G2 21명, P[6]G4 10명, P[4]G4 9명, P[8]G9과 P[8]G1 6명, P[4]G3 4명, P[4]G93명, P[6]G2 2명이었다. 노로바이러스의 유전자형은 GII-4가 27명, GII-6 1명이었다. 16명의 소아가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으로 진단되었으며, 로타바이러스가 13명, 노로바이러스가 2명에서 검출되었고, 나머지 1명은 아무런 바이러스도 발견되지 않았다. BIS-MG군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유전자형은 P[8]G3 6명, P[4]G2 2명, P[4]G9 1명이었으며, 노로바이러스 유전자형은 2명 모두 GII-4였다. 결 론: 급성 위장관염에 병발하는 양성 무열성 경련을 보인 소아 환자의 대변에서 시행한 바이러스 분석결과 로타바이러스와 노로바이러스가 중요한 원인 바이러스였으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경련 발작으로 발현된 지발형 제II형 글루타르산혈증 (Late Onset Glutaric Acidemia Type II Manifested as Afebrile Seizure)

  • 남상정;이건준;박원일;배은주;이경화;이홍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8
    • /
    • 2005
  • 제II형 글루타르산혈증은 발생 시기와 정도에 따라서 질병의 경과를 달리한다. 지발형의 경우 평상시에는 증상이 없고, 검사 소견도 정상 소견을 보이나 대사가 증가되는 hypercatabolic status에서는 저혈당, 대사성 산혈증, 고암모니아혈증 등이 나타나며, 다양한 신경학적인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신경학적인 증상들이 있는 경우 기본적인 검사들을 시행해 보고, 위와 같은 소견들이 보이는 경우에는 소변의 유기산 분석을 통한 진단이 필요하다. 정맥내로 포도당이 투여되면 유기산 분석의 양상이 매우 빠른 속도로 정상화될 수 있으므로 정맥내로 포도당을 투여하기 전에 소변 검체를 채취하여 냉동 보관하는 것은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하여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Infliximab으로 치료한 난치성 가와사끼병 1례 (Infliximab treatment for a patient with refractory Kawasaki disease)

  • 유효정;이수진;손세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87-990
    • /
    • 2006
  • 정맥내 면역글로블린은 급성 가와사끼병의 치료에 효과적이나 약 10-20%의 환자에서 치료 실패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면역글로블린의 재투여 또는 스테로이드나 다른 약제의 사용 등 다양한 치료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확립된 치료 가이드라인은 없다. $TNF-{\alpha}$는 가와사끼병의 급성기, 특히 관상동맥류를 가진 환자에서 혈중농도가 크게 증가한다. 저자들은 2번의 면역글로블린 투여와 3번의 pulse methylprednisolone 치료에 반응이 없던 10개월 된 난치성 가와사끼병 환아에게 항 $TNF-{\alpha}$인 infliximab (5 mg/kg, 1회)을 투여하여 임상 호전과 더불어 항염증지표가 정상이 되고 관상동맥류 진행이 억제됨을 경험하였다.

Early postictal electroencephalography and correlation with clinical findings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 Jeong, Kyung A;Han, Myung Hee;Lee, Eun Hye;Chung, Saj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2호
    • /
    • pp.534-539
    • /
    • 2013
  • Purpose: Electroencephalography (EEG) is frequently ordered for patients with febrile seizures despite its unclear diagnostic value. We evaluat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EEGs,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findings and abnormal EEGs, and the predictive value of EEG for the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on 230 children who were treated for febrile seizures at Kyung Hee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2005 to 2009. EEGs were recorded after 1-2 days of hospitalization when children became afebrile. EEG patterns were categorized as normal, epileptiform, or nonspecific relative to abnormalities.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families of the children were conducted to inquire about seizure recurrence.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seizure recurrence, and EEG abnormalities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131 children included, 103 had simple and 28 had complex febrile seizures. EEG abnormalities were found in 41 children (31%). EEG abnormalities were more common in children with complex than simple febrile seizures (43% vs. 28%),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ogist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aving multiple seizures in a 24-hour period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of abnormal EEG (odds ratio, 2.98; 95% confidence interval, 1.0 to 88; P =0.048). The frequency of recurre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 normal (31%) and abnormal (23%) EEG groups. Conclusion: Multiple seizures within 24 hours were predictive of abnormal EEG in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Abnormal EEG was not predictive of febrile seizure recur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