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response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Social Media Advertising Effectiveness: A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Validation

  • Liguo Lou;Joon Koh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8권3호
    • /
    • pp.183-203
    • /
    • 2018
  • In the era of Web 2.0, social media advertising can simultaneously stimulate consumers' brand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information sharing intention. Product sales and brand information diffusion are equally important for a company that conducts advertising.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eatures of brand content influence social media advertising effectiveness by integrating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and classic advertising effectiveness models. An analysis of 267 survey questionnaires shows that brand content-related cues, including perceived uniqueness, perceived vividness, and perceived interactivit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affective and cognitive involvement, which then affect their attitude toward brand content. As a result,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the brand and their brand purchase intention, as well as their brand content sharing intention, are positively affected by attitude toward brand cont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social advertising works, which suggests that managers should effectively use social media to conduct advertising.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행동연구 (College Students' Cognitive and Behavioral Attitude toward Digital Behavioral Advertising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

  • 엄남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73-82
    • /
    • 2022
  • 디지털 광고 시장의 성장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맞춤형 광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행동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개인, 기업, 그리고 정부 모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 되었다. 대학생들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행동들의 수준은 크게 무대응 단계, 소극적 대응단계, 그리고 적극적 대응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디지털 맞춤형 광고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는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기업들의 디지털 맞춤형광고 집행 등과 같은 마케팅 활동을 위해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보다는 오히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토의를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업들에게 개인정보 수집 및 절차에 대한 실무적인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광고효과모형에 관한 문헌연구: 모형의 검토와 제언 (Discussion on'How Advertising Works': Review and Suggestions)

  • 소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986-994
    • /
    • 2013
  • 본 연구는 주요 광고효과모형을 검토하여 광고효과의 발생과정에 대한 광고계의 주류적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광고효과 연구의 한계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연구 결과, 기존의 광고효과 연구는 설득커뮤니케이션의 패러다임 안에서 브랜드태도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광고효과의 다른 측면은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는 점을 밝혔다. 저자는 급변하는 광고매체환경 속에서 브랜드태도 변화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광고효과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특히 저관여모형에서 강조하는 브랜드 인식의 틀 제공, 브랜드친숙성, 브랜드현저성의 제고와 같은 보다 다양한 변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패션 상품 쇼핑백 유형에 대한 소비자반응,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on Customer Response,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 채희주;이수연;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4-579
    • /
    • 2014
  • Packaging of shopping bag is a 'silent salesma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communication due to the increase of self-service outlets and changing lifestyles of customers. Retail shopping bags, which are defined as bags provided by retailers to customer as a means of transporting merchandise, are a type of secondary packag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in sense of shopping value, customers' respons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sumers' responses about shopping bag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who have either hedonic or utilitarian shopping value. Hedonic shopping value influences on consumers' response as unique, interesting, and attention; however utilitarian value affects prestige in addition to those four signific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consumer response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shopping value. Thus, using the various types of shopping bags can be influenced on effective advertising. It will also great effect on marketing activity with lower cost. The significant result from this study has proven that the shopping bag is correlates to the definition of pop art today because it can offer an opportunity to look at, play with and buy sophisticated visual stimulus. Therefore, retail and brands have to concern about shopping bag considering their decisive role in the apparel market.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 반응 연구 (A Study on the Viewers' Reponses to In-Program Advertising According to TV Program Genre)

  • 이현선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3권
    • /
    • pp.282-31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에 관해 고찰하였다. 지상파 TV의 중간광고 재도입 논쟁과 관련된 문제의 핵심을 시청자들에 맞추어 시청자들의 입장에서 중간광고에 관한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중간광고에 대한 반응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경우 프로그램 전, 후 광고만을 집행하는 경우보다 시청자 반응, 방송사에 대한 태도, 그리고 중간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간광고의 도입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제안된 뉴스와 교양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중간광고를 도입하여 그 반응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들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반응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광고를 실시하는 경우 실시하지 않는 경우보다 프로그램에 대한 반응이 전체적으로 모두 낮게 나타났다.

  • PDF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모바일 광고플랫폼의 광고효과 연구: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bile Advertising Platform through Big Data Analytics: Focusing on Advertising, and Media Characteristics)

  • 배성덕;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2호
    • /
    • pp.37-57
    • /
    • 2018
  • 최근 스마트폰의 확산에 힘입어 유용한 광고 매체로서 모바일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모바일 미디어는 소비자들에게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광고매체들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 동안 모바일 광고 연구들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만족도, 수용도 등을 서베이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와 모바일 광고 메시지 수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점적으로 탐구한 연구, 실험연구를 통해서 모바일 광고가 브랜드 회상,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실증데이터를 통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서비스 중인 모바일 광고플랫폼을 기반으로 광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광고주, 광고플랫폼, 퍼블리셔 관점에서 광고특성, 매체특성을 정의하고 각 특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각 특성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모바일 광고의 광고특성인 광고규격과 쾌락적, 실용적으로 구별한 매체 특성이 광고효과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서로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바일 광고 업무 시 광고상품에 맞는 광고소재 제작 및 매체계획 등 광고효과에 최적화된 광고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온라인 광고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The Interaction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Types and Self-Monitoring)

  • 한상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07-211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의 효과에 조절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검색도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1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times}2$ 요인설계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면에,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은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텔레비전과 신문과 같은 전통광고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광고에서도 가설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모바일 광고가치와 접속의도에 유희성과 경제성 변수가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Entertainment and Economical Efficiency on the Mobile Advertising Value and Intention)

  • 이봉규;김기연;이혜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1호
    • /
    • pp.43-5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광고가치 인식과 실제 응답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탐색하고,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종속변수인 사용자 응답의도와 독립변수 간의 관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Ducoffe(1996)의 광고효과 모형을 기저모형으로 채택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주요 독립변수는 유희성, 조작편리성, 정보유용성, 경제성이며, 매개변수로 사용자 광고가치를 개념화 하였다. 특히, 구조모형 경로분석과 조절집단 차이검증 분석을 통해 최적의 연구모형을 도출하였고, 연령별 집단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령을 조절변수로 선정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모바일 광고의 고유한 특성에 대해, 지금까지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던 광고가치라는 매개변수의 역할과 연령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그리고 실용적 가치가 있다. 345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작편리성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유의성이 판명되었고, 연령별 집단 간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브랜드위계수준에 따른 광고스타일이 광고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n Consumer's Response to Advertising Styles According to Brand Hierarchy)

  • 김춘옥;류시천;이진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57-166
    • /
    • 200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광고반응에 있어서 자원-부합이론(resource-matching theory)을 근거로 하여 광고정보제공 형태 와 광고레이아웃에 따른 광고효과를 검증하였다. 기존연구에서는 사실적인 정보제공과 통합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쉽게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거나 또는 설명적인 정보제공과 분리적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어렵게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상반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광고설계스타일에 따른 효과가 정보처리동기수준이나 브랜드위계수준과 같은 변수들에 의해 상황적으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에서 명성브랜드인 경우에는 사실적인 정보제공과 통합적인 레이아웃을 통해 광고를 쉽게 설계함으로써 소비자들이 스스로의 잉여자원으로 브랜드에 대한 우호적 추론을 광고반응에 결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비 명성브랜드의 경우에는 설명적인 정보제공과 분리적 레이아웃을 통해 이해하는데 상당한 인지적 노력을 투여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잉여자원을 통한 추론을 억제하고 광고자체에 몰두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제시하고 있다.

  • PDF

Moderated Mediation of Anticipatory Hope between Green Fashion Advertising Appeals and Word of Mouth -The Role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 Choi, Dooyoung;Lee, Ha Ky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13-529
    • /
    • 2022
  •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green performance appeals (i.e., before-, after-, and before/after-appeals) on consumer word of mouth (WOM) mediated by anticipatory hope. As the degree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advertising varies by individual, individual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PCE) was examined as a moderated mediating variable. A total of 191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for analysis of variance and PROCESS procedure. Results showed the mediating role of anticipatory hope between advertising appeals and WOM: participants reported greater anticipatory hope when they viewed the advertisement with after- and before/after-appeals. This mediation was moderated by participants' PCE. The effect of green performance appeals on WOM was mediated by participants' anticipatory hope when their PCE was low; however, when participants' PCE was high, the medi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 appeals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green performance can attract consumers who do not believe that product consumption affects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spread WOM.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to fashion brands by suggesting effective green advertis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consumers' voluntary information-shar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