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ement Image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24초

20세기 후반 한국 여성의 화장 문화와 화장 이미지 연구 (Make-up culture and Image of Korean Women in the late 20th Century)

  • 김민제;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67-86
    • /
    • 2011
  •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overall history of make-up in Korea in an integrated and diachronic context by interpreting women's will and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reflected in the cosmetics culture in each period centering on women's magazine cover, cosmetics advertisement, and articles from 1950 to 1999 and examining women's make-up image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A total of 919 women's magazines (Yeonwon (Women's Garden), Woman Sense, Yeoseong Donga (Women's Donga), Jubusaenghwal (Homemaker's Living), Yeoseong Jungang (Women's Jungang)) issued between 1950 and 1999 were examined for the study. Key words of each period were extracted through fashion and beauty related articles and advertisement titles to examine the make-up culture of Korean women and set the standard for the make-up image of Korean women. A total 1,252 pictures were shot for each perio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standard for the make-up image of Korean women. Then, the changes in the make-up image of Korean women were examined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images along with the change of images in each period. Next, the meaning of each make-up image was examin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values and desire by modern Korean women, especially Korean women in the late 20th century, as well as the consciousness for coping with the changing society.

스포츠 영상 내 자동적인 광고 삽입을 위한 저정보영역 추출 (Less Informative Region Extraction for Automatically Advertisement Insertion in Sports Image)

  • 정재영;김영갑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15-622
    • /
    • 2015
  • 최근 가상광고는 비용의 절감 및 적용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TV시장에서 중요한 관심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방송에 가상광고를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촬영현장에 장비와 기술진을 파견해 방송사의 제작 장비와 연동하여 이미지를 삽입하는 업링크(Uplink)기법과 영상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중계 영상에 자동적으로 가상이미지를 삽입하는 다운스트리밍(Down streaming)기법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적인 가상광고 삽입을 위한 영상 처리 기술이 가상광고 영역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 영상 내에서 자동적으로 가상광고를 삽입하기 위해 영상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저정보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허프(Hough)변환을 이용한 사각형 검출과 검출된 사각형영역에 대한 색 히스토그램 분포의 분석을 통해 저정보영역을 추출한다.

온라인 동영상 시청 플랫폼의 정보구조 탐색 - 웹드라마 사례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tructure of Online Video Platform Focused on Web-Drama Case)

  • 차동민;성정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웹드라마가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들을 대상으로 접근단계 분석과 광고 노출빈도 측정을 통해,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웹드라마 시장의 점유율을 확인하고 접근단계와 광고회피를 바탕으로 채널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신 콘텐츠에 대한 접근단계는 2~3단계이며 접근단계로 인하여 사용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하지만 메인페이지나 검색결과에 노출되지 않아 디렉토리 검색이 필요한 경우 5~6단계의 접근단계가 필요하였다. 광고는 모든 플랫폼에서 2개 이상의 이미지광고가 표시되며, 유튜브와 네이버tv는 동영상 플레이어 내부에서 영상시작 전 프리롤(Pre-roll) 광고를 표시하는 것을 확인했다. 위와 같은 동영상 플랫폼 정보구조 상에서 디렉토리 검색을 하는 경우 높은 접근단계와 많은 광고노출로 사용자의 이탈률이 증가하고, 재방문 빈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드롭다운(Drop-Down) 메뉴를 활용하여 접근단계를 줄이는 정보구조 개선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크리스찬 디올 메이크업의 감성 이미지 분석 - 메이크업과 패션의 감성 이미지 비교 - (Analysis of Sensibility Image of Christian Dior Make-Up - Comparison of Sensibility Image between Make-Up and Fashion -)

  • 이윤정;전혜정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32-48
    • /
    • 2007
  • This study analyzed image components of make-up image between fashion and advertisement of Christian Dior, also, this study examined, compared and analyzed their aesthetic characters. Then, it researched whether brand image was shaped exactly as the same method or not. The study was theoretical and established method; using more than a graduate student-major in clothing and make up, survey$(2004.5{\sim}6.)$ and SPSS 10 program statistics method. As the results, in Dior fashion and make-up,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of shape, color, material and texture, and both of them indicated the aspects of chic, classic, gorgeous and romantic image. Also, consumers understood them as a same image. This demonstrated that Christian Dior fashion and make-up have been shaping toward a same image as a same meaning.

사회적 책임 활동 주제와 광고모델 및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CSR광고 제작전략 (CSR Ad Strategy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me, Model and Message Appeal)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9-168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 광고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광고모델 선정 전략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활동광고 제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관계없이 모델의 가치부합성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 분야의 경우에는 모델의 신뢰성이 중요하며, 반면 환경 분야에서는 모델의 매력성이 더욱 중요하였다. 둘째, CSR 광고 제작자들이 CSR 광고모델을 연예인을 선정할 때는 가치부합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전문가일 경우에는 가치부합성 뿐만 아니라 매력성과 신뢰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감성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신뢰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 반면, 정보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매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광고를 제작할 때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관련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한국 남성복 광고(韓國 男性服 廣告)의 내용분석(內容分析) - 1962년(年)부터 1998년(年)까지의 잡지(雜誌)와 화보(畵報)를 중심(中心)으로 - (The Content Analysis of Advertising in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of Korean Men's Wear - From the 1962 to the 1998 -)

  • 권혜숙;권혜욱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6-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men's wear advertisement from the 1960s to the 1990s by reviewing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types and their units of measurement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Seco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quantitative change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total 857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from Shin Dong-A, Joongang Magazine, and Bokjangwolbo from 1972 to 1998. For analyze the result,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were us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pre-tests, 6 units of measurement were identified. They were product type(formal wear, casual wear, sports wear, dress shirts, accessory, inner wear, fabric and the others), brand type(national brand, licensed brand, imported brand, others), appeal type(image, product, others), representation type(photograph, illustration, others), medium type(man, product, others), and color type of advertisement(black & white picture, color picture). Second, for the types of advertisements, formal wear, national brand, image appeal, figure medium, photograph for presentation and color picture are the most frequently shown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Third, for product, more accessory advertisements were found than the clothing in the 60s and the 70s, and casu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80s and form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90s were dominated. National brand type was dominant through all four period. Product appeal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image appeal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For medium, product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figure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dominated. Black & white picture in the 60s and the 70s and color pictur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Lastly, photograp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presentation type through all periods.

점화효과를 적용한 여성 소비자의 주류 광고 수용 분석 (Reception Analysis of Liquor Advertisement for Female Consumer Based on Priming Effect)

  • 이윤정;전병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0-40
    • /
    • 2007
  • 본 연구는 여성 소비자가 소비에 있어 제품을 선택하고, 구입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시작하였다. 여러 제품 중 아직까지는 여성보다 남성의 소비가 많은 주류를 차지하지만 소주의 "웰빙과 저도화"에 따라 점차 여성의 음주 인구 편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동안 남성 위주로 제작된 주류 광고가 어떻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으며 구매까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 점화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검증하였다. 이 실험을 통해 피실험자들은 실험 영상과 간섭 영상이 의미적으로 연관이 있을 경우 부분적으로 점화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짧은 시간동안 스쳐 지나가는 광고의 한 장면일지라도 그것이 의미적으로 비슷한 환경이나 여건이 되어 노출될 경우 점화효과가 일어나 광고 중에 나타난 행동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주류 외에 자동차와 같은 남성 중심적 제품의 광고가 여성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광고가 점화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상황적 요소가 맞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화효과를 광고 제작과 편성에 이용한다면 보다 쉽게 여성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한국과 라틴 아메리카에서의 여성의 신체 이미지 묘사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ortrayal of Body Image of Women in Advertisement in Korea and Latin America)

  • 프란시쓰카 파스 공고라 아스태태;김보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7호
    • /
    • pp.369-379
    • /
    • 2018
  •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 문화적 배경을 가진 광고 속에서 지속적으로 묘사하는 완벽한 신체를 가진 여성의 초상이 끊임없이 갈등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시작한다. 이는 라틴 아메리카와 한국을 비교하고 분석하는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획일적인 미의 기준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긍정하는 '보디 포지티브'운동이 압도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도브, 빅토리아 시크릿, 아이다의 모델과 같은 영향력 있는 브랜드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보디 포지티브'가 가지는 거대한 움직임의 효과를 테스트하고 기존의 인식을 제고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국과 라틴 아메리카의 3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 여성의 메이크업 광고에 나타난 시각적 기호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sign in Korean women's Make-Up Advertisement)

  • 이주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43-151
    • /
    • 2003
  • As korean women despised to transform their appearance into totally different shape, and they regarded to enhance a inherent beauty ideal beauty, korean traditional make-up culture was natural. But in modern society, make-up has been developing as one of the beauty industry and it means make-up involves more meanings than primitive period and needs to study its multi-dimensional connotation to understand in the cultu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what was represented in make-up ad and how it has been changed.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make-up advertisement printed in 'Hyang Jang' which is a periodical of amole pacific cosmetic industry from 1972-2001, and qualitatively analysed. As a results of content analysi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non-verbal expression in make-up advertisements were different by the time. Generally person-appeal advertisements were more than product-appeal advertisements. And in the 1970s and early 1980s, person-appeal advertisements were appeal to the lifestyle, but after that person itself was appealed. And also after early 1980s, image-appeal advertisements were increased.

  • PDF

상표이미지 선호도와 패션 광고 전략에 관한 연구 - 여대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Fashion Advertising Strategy)

  • 김문진(수경);임숙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6
    • /
    • 1989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rand images of ladies wear and the effects of fashion advertisements, a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brand image preference and the effects of fashion advertising by clothing life style. 421 subjects were gather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distribution, $x^2-test$, Cronbach'$\alpha$,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Dimentional Scaling (M.D.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image formation process, feminine as formal image, manish as casual image, were recognized. 2. Four factors were determined for analysis of clothing life styles and with these factors five different clothing life style groups were classified. 3.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lothing life style and brand image preference, and also between clothing life style and the effects of fashion advertisement. From these findings, general and specific fashion advertising strategies are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