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b no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어휘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어 '상징부사+용언'을 중심으로 (A Vocabulary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Korean "symbol adverb+predicate")

  • 종예
    • 한국교육논총
    • /
    • 제42권1호
    • /
    • pp.35-72
    • /
    • 2021
  •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세밀한 느낌과 다양한 감정을 표현할 때 보다 정확하게 말할 수 있도록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교재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수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휘를 습득할 때 개별 단어를 암기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어휘간의 결합을 중시하지 않으므로 한국어 어휘를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징부사는 고립되어 사용하지 않으며 특정 어휘와 자주 공기하기 때문에 개별 어휘가 아닌 '상징부사+용언' 형태로 가르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고는 상징부사 뒤에 오는 특정 어휘 또는 공통적인 의미자질을 가진 어휘 군과 자주 공기할 수 있는 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에 상징부사 뒤에 서술어가 함께 사용되는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하여 국내·외 대학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7종 교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상징부사+용언'형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영어 that 전/후의 구설정 패턴: 보문절과 관계대명사절을 중심으로 (Phras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that in English: The Cases of Complement and Relative Clauses)

  • 한혜승;이주경
    • 음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3-64
    • /
    • 2007
  • This paper attempts to verify the theoretical claims in Syntax ($Bo{\check{s}}kovi{\acute{c}}$ & Lasnik, 2003; Kim, 1999, 2004) about the phrasing in English that-clauses, presenting an acoustic experiment conducted to observe the patterns of edge tones at the boundaries of that. In the experiment, two different that clauses, complement and relative clauses, were varied in forms (that-retention, that-deletion, adverb insertion before that) and length. Results showed that edge tones, if occurred, mostly showed up before the complement clauses in that-deletion sentences (67%), and that their positions polarized in adverb insertion sentences (56% before toot and 44% after toot). In the relative clauses, phrasing mostly occurred before toot as opposed to after toot in that-retention (73%) and adverb insertion sentences (87%). Additionally, phrasing tends to occur more frequently as the sentences get long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vious claims based on syntax are not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current phonetic experiment. This may be interpreted as stating that syntactic boundaries do not always indicate phonetic phrasing, and that there may be some other factors to determine phrasing patterns, for example, rhythmic phrasing operating at the surface level of speech.

  • PDF

영어 부정 스트리핑 구문의 중의성 해소에 관한 연구: 직접 해석 접근법을 중심으로 (Resolving the Ambiguities of Negative Stripping Construction in English : A Direct Interpretation Approach)

  • 김소지;조세연
    • 비교문화연구
    • /
    • 제52권
    • /
    • pp.393-416
    • /
    • 2018
  • 영어의 부정 스트리핑 구문은 접속사 but, 부사 not, 그리고 하나의 구성성분 NP로 구성되어있다. 해당 구문은 통사적으로는 불완전한 문장처럼 보이지만 의미적으로는 완전한 해석을 전달하며 특히, 이 구문은 중의적인 해석을 가질 수도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접근방법으로 의미부를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부정 스트리핑 구문의 통사적 구문생성과 중의성 해소를 위해 직접 해석 접근법(Direct Interpretation Approach)을 기반으로 한 구문 규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규칙은 이전의 연구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으며, 통사, 의미, 화용론 등 다양한 특성을 설명해준다.

Information Articulation and Truth Conditions of Existential Sentences

  • Kim, Yoo-Kyung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권
    • /
    • pp.67-105
    • /
    • 199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mantics of English there existential sentences. By examining discourse functions and pragmatic facts, it accounts for semantic fact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elsewhere. Further, it is a new attempt to incorporate information-theoretic notions into formal semantics. I propose that existential statements as expressing Austinian propositions. The proposed meanings account for the fact that post-copular NPs cannot constitute the restruction of an adverb of quantification nor admit a partitive reading.

  • PDF

'Now' 와 '지금' : '지금' 에 대한 화용적 접근 (Now and Cikum: A Pragmatic Account to Cikum)

  • 윤재학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9권1호
    • /
    • pp.103-117
    • /
    • 2015
  • Not fully satisfied with the treatment of the so-called two nows in Korean by Lee & Choi (2009), this article seeks to furnish the issue with a firmer ground to base on in the relevant conversation. A close comparison between now and cikum appearing in the present perfect and present tense results in the two findings that (i) a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adverbs is that Korean cikum lacks English now's ability to be identified with the reference time and (ii) further, seeming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not real but in fact due to tense and aspectual discrepancies between English and Korean. Thus, it claims, contra Lee (1976) and Park (2004), that cikum is a temporal locating adverb which invariably locates the event time of a given eventuality at the utterance time. In particular, it motivates that a past-tensed sentence with cikum should be understood as holding in the recent past mainly from pragmatic inferences rather than semantic entailments.

  • PDF

A Collocational Analysis of Kore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Suggestions for Collocation Instruction

  • Kim, Nahk-Bohk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3호
    • /
    • pp.41-66
    • /
    • 2004
  • Under the textbook-driven approach to English education in the Korean selling, the importance of the English textbook can not be overemphasized as the main source of learning material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language corpora,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ollocations and the availability of computerized databases of words have caused a resurgence and facilitation in the instruction of collo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exical collocation and the extent of its use in high school 10th-grade textbooks. From all the analyses, it is revealed that the language materials reflect various constructed collocation in the case of adjective+noun and noun+noun collocations in a natural context. However, verb+noun and adverb+verb collocations are not fully reflected. This is true for delexicalized verbs, and verb and adjective intensifiers. Also the language materials do not provide sufficient support for the lexical syllabus, even though all textbooks may be somewhat adequate in terms of vocabulary size. Finally,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texts, the suggestions for English collocation instruction are made in the lexical approach.

  • PDF

분리성 통사원자의 유형별 검토 (A Study on Some Types of Separable Syntactic Atoms in Korean)

  • 이호승
    • 비교문화연구
    • /
    • 제38권
    • /
    • pp.433-459
    • /
    • 2015
  • This paper aims a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korean separable syntactic atom, of which inner parts is separable in syntax, and at examining whether or not this concept can apply to derivatives, functional complex constructions,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I defined a syntactic atom as a minimum unit which is drawn directly from lexicon and then is applied to syntactic rules. And I insist that so-called 'lexical island constraint' has some problems and that the syntactic rules can be applied to inner parts of syntactic atom, if the syntactic rules is irrelevant to new syntactic atom formation. The greater part of derivatives is non-separable syntactic atoms. But the likes of '반짝거리다', '죄송스럽다', '칭얼대다' are the separable syntactic atoms. The degree of separability of them is different in the insertion of korean particles or negative adverbs and the omission of root of sytactic atom. The derivatives of 'X-적', of which roots is regular nominal roots, permit the syntactic link between roots and the syntactic combination of the root and its argument. These kinds of derivatives is separable syntactic atoms. Also the derivatives of 'bracket paradox' and 'X-답-' derivatives is separable syntactic atoms. All functional complex constructions are not separable syntactic atoms.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inner parts of some are separable, some is non-separable. Separable functional complex constructions only permit the switching of endings or Josas but not application of other syntactic rules. All idiomatic expressions which are composed of two or more syntactic atoms are separable syntactic atoms. Some of them have so strong separability to allow the insertion of syntactic atom, adverb or adnominal modification and the noun in idiomatic expression to become the head of the relative clause. And some idiomatic expressions which have weak separability only permit interrogative's substitution or form change in fraction of idiomatic expressions.

국민청원 주제 분석 및 딥러닝 기반 답변 가능 청원 예측 (Topic Analysis of the National Petition Site and Prediction of Answerable Petitions Based on Deep Learning)

  • 우윤희;김현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2호
    • /
    • pp.45-52
    • /
    • 2020
  • 청와대 국민 청원 사이트가 개설된 이래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민 청원의 주제를 분석하고 딥러닝을 활용하여 답변 가능한 청원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추천순으로 1,500개의 청원글을 수집하였고, K-means 클러스터링을 적용하여 청원글을 군집하여 대주제를 정의하고, 보다 구체적인 세부 주제를 정의하기 위히여 토픽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는 LSTM을 활용한 답변 가능한 청원 예측 모델을 생성하여, 20만의 청원동의를 얻는 청원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글의 주제와 본문뿐만 아니라 글의 길이, 카테고리, 특정 품사의 비율이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문과 함께 글의 길이, 카테고리, 체언, 용언, 독립언, 수식언의 품사의 비율을 변수로 추가한 모델의 f1-score가 0.9 이상으로 글의 제목과 본문을 변수로 하는 모델보다 예측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부사 '증경(曾經)', '이경(已經)' 시상(時相) 자질 중한 대조분석 (Time Adverb 'Cengjing (曾經)' and 'Yijing (已經) Tense and Aspec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a and South Korea)

  • 한경숙
    • 비교문화연구
    • /
    • 제42권
    • /
    • pp.451-474
    • /
    • 2016
  • 본고는 현대중국어 시간부사 '증경(曾經)'과 '이경(已經)'의 관련 통사구조와 이에 상응하는 한국어 통사구조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관련 구조 의미소 '시상(時相)(tense and aspect)' 특징을 분석하였고 두 부사의 차이점을 찾아보았다. 아울러 중한 두 언어에서 이들이 나타내는 자질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찾아냈고 이를 통하여 분석의 타당성(Descriptive adequacy)을 확보하고 나아가 설명적 타당성(Explanatory adequacy)으로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증경(曾經)'은 상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경험상', '성사상', '과거지속상' 등 자질을 갖고 있고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저시제' '과거경험상' 등 자질을 겸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어의 '_었(았)_', '_었었_', '_적이 있_'과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증경(曾經)'은 하나의 통사구조에서 상과 시제 두 가지 자질을 갖고 있다. '이경(已經)'은 '완료상'과 완료상의 하위 범주인 '과거경험상', 그리고 미완료상의 하위범주인 '과거지속상' 등 자질을 갖고 있고 시제 범주의 하위 범주인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 시제 자질도 갖고 있으며 '상태의 변화' 자질도 갖고 있다. 한국어의 '_었(았)_', '_고_', '_었었_', '곧' 등과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증경(曾經)'과 동태조사 '과(過)'를 비교하자면 '증경(曾經)'은 상 범주와 시제 범주를 겸하고 있다지만 '과(過)'는 그 수식 범위가 술어밖에 없기에 상적 특징만 갖고 있다. 그리고 심층구조에서 '증경(曾經)'은 술어의 앞에서 술어를 포함한 술어 뒤에 출현한 조사, 목적어, 보어 모두와 통어 관계를 갖고 있지만, '과(過)'는 그 앞의 술어만 수식한다. '이경(已經)'이 '진행상' 자질을 가진 부사 '재(在)'를 수식할 수 있지만, '증경(曾經)'은 불가능하다.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는 이렇게 시간 표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어의 '과거경험상', '성사상', '과거지속상' 등 상 자질과 '과거시제' 자질을 갖고 있는 시간부사 '증경(曾經)', 그리고 '과거경험상', '과거지속상' 등 상 자질 그리고 '과거시제', '현재시제', '미래시제' 등 시제 자질을 갖고 있는 시간부사 '이경(已經)' 등이 한국어에서는 '완료상', '지속상' 자질과 '과거시제' 자질로 대응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중국어와 한국어 두 언어의 시간 체계는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한중 두 나라 사람들의 사유 방식의 차이와 문화적인 차이에서 비롯됐을 것으로 사료된다.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한국어 SentiWordNet 개발 방안 연구 : 분노 감정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Developing Korean SentiWordNet for Big Data Analytics : Focusing on Anger Emotion)

  • 최석재;권오병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9
    • /
    • 2014
  • 빅데이터 내에 존재하는 감정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들이 특정 대상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인식이 어떠한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품, 영화, 그리고 사회적 이슈 등에 대한 문장을 분석하여 사람들이 해당 주제에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측정하여 구체적인 선호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문장에서 드러나는 감정 정도를 얻기 위해서는 감정어휘의 목록과 정도값을 제시할 수 있는 감정어휘사전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감정어휘를 발견하는 방법과 이들의 정도값을 결정하는 문제를 다룬다. 기본적인 방법은 기초 감정어휘의 목록 수집과 이들의 정도값은 선행연구 결과와 직접 설문 방식을 이용하고, 확장된 목록의 수집과 정도값은 사전의 표제어 설명부(glosses)를 이용해 추론하는 것이다. 그 결과 발견된 감정어휘는 전형성을 띠고 있는 기본형 감정어휘, 기본형 감정어휘의 gloss에 사용된 확장형 1단계 1층위 감정어휘, 비 감정어휘 중 gloss에 기본형 또는 확장형 감정어휘를 가지고 있는 확장형 2단계 1층위 감정어휘, gloss의 gloss에 기본형 또는 확장형 감정어휘가 사용된 확장형 2단계 2층위 감정어휘의 네 종류로 나뉜다. 그리고 확장형 감정어휘의 정도값은 기본형 감정어휘의 정도값을 기초로 문형의 가중치와 강조승수를 적용하여 얻었다. 실험 결과 AND, OR 문형은 내포된 어휘의 감정 정도값을 평균내는 가중치를, Multiply 문형은 정도 부사어의 종류에 따라 1.2~1.5의 가중치를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NOT 문형은 사용된 어휘의 감정 정도를 일정 정도로 낮추어 역전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확장형 어휘에 적용되는 강조승수는 1층위에서 2, 2층위에서 3을 갖는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