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dvanced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53초

Gemcitabine Plus Paclitaxel as Second-line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Baykara, Meltem;Coskun, Ugur;Berk, Veli;Ozkan, Metin;Kaplan, Muhammet Ali;Benekli, Mustafa;Karaca, Halit;Inanc, Mevlude;Isikdogan, Abdurrahman;Sevinc, Alper;Elkiran, Emin Tamer;Demirci, Umut;Buyukberber, Suleym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119-5124
    • /
    • 2012
  • Purpos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determine response rate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overall survival (OS) and toxicity of gemcitabine and paclitaxel combinations with advanced or metastatic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NSCLC) who have progressive disease after platinum-based first-line chemotherap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file records of patients treated with gemcitabine plus paclitaxel in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cases in a second-line setting. The chemotherapy schedule was as follows: gemcitabine $1500mg/m^2$ and paclitaxel 150 mg/m2 administered every two weeks. Results: Forty-eight patients (45 male, 3 female) were evaluated; stage IIIB/IV 6/42; PS0, 8.3%, PS1, 72.9%, PS2, 18.8%; median age, 56 years old (range 38-76). Six (12.5%) patients showed a partial response (PR), 13 (27.1%) stable disease (SD), and 27 (56.3%) progressive disease (PD). The median OS was 6.63 months (95% CI 4.0-9.2); the median PFS was 2.7 months (95% CI 1.8-3.6). Grade 3 and 4 hematologic toxicities, including neutropenia (n=4, 8.4%), and anemia (n=3, 6.3%) were encountered, but no grade 3 or 4 thrombocytopenia. One patient developed febrile neutropenia. There were no interruption for reasons of toxicity and no exitus related to therapy.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two-weekly gemcitabine plus paclitaxel was an effective and well-tolerated second-line chemotherapy regimen for advanced or metastatic NSCLC patients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um-containing chemotherapy. Although the most common and dose limiting toxicities were neutropenia and neuropathy, this regimen was tolerated well by the patients.

Number of Mediastinal Lymph Nodes as a Prognostic Factor in PN2 Non Small Cell Lung Cancer: A Single Centre Experienc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 Takanen, Silvia;Bangrazi, Caterina;Graziano, Vanessa;Parisi, Alessandro;Resuli, Blerina;Simione, Luca;Caiazzo, Rossella;Raffetto, Nicola;Tombolini, Vincenz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8호
    • /
    • pp.7559-7562
    • /
    • 2014
  • Currently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lung cancer is the stage. In the current lung TNM classification system, N category is defined exclusively by anatomic nodal location though, in other type of tumours, number of lymph nodes is confirmed to be a fundamental prognostic factor. Therefore we evaluated the number of mediastinal lymph nodes as a prognostic factor in locally advanced NSCLC after multimodality treatment, observing a significant effect of the number of lymph nodes in terms of OS (p<0.01) and DFS (p<0.001): patients with a low number of positive mediastinal nodes have a better prognosis.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in Elderly Koreans with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in a Tertiary Referral Hospital

  • Kim, Seo Woo;Kim, Mi Yeon;Lee, Yoon Pyo;Ryu, Yon Ju;Lee, Seok Jeong;Lee, Jin Hwa;Chang, Jung Hyun;Shim, Sung Shine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2호
    • /
    • pp.52-58
    • /
    • 2013
  • Background: More than half of cases for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occur in elderly patients with a median age at diagnosis of 70 year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contributing to mortality in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Methods: Following a retrospective review of clinical data, 122 patients aged 70 years and over with a histopathological diagnosis of locally advanced (stage IIIB, n=32) and metastatic (stage IV, n=90) NSCLC between 2005 and 2011 were enrolled. Results: The median age was 76 years (interquartile range, [IQR], 72-80 years), and 85 (70%) patients were male. Fifty-seven (46%) patients had never smoked, and 17 (19%) were in a malnourished state with a body mass index (BMI) of <$18.5kg/m^2$. The initial treatments included chemotherapy (40%) and radiotherapy (7%), but 57% of the patients received supportive care only. The 1-year survival rate was 32%, and the 3-year survival rate was 4%, with a median survival duration of 6.2 months (IQR, 2.5-15.3 months). Male gender (hazard ratio [HR], 2.2; 95% confidence interval [CI], 1.3-3.9; p=0.005), low BMI (HR, 2.3; 95% CI, 1.3-3.9; p=0.004), and supportive care only (HR, 1.9; 95% CI, 1.2-2.9; p=0.007)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horter survival based on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Conclusion: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NSCLC had a poor prognosis, particularly male patients, those with a low BMI, and those who received supportive care only.

비소세포 폐암의 병기에 있어 통상적인 골 스캔의 역할 (The Role of Bone Scans in Routine Preoperative Evaluation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김영태;홍장미;이재익;이정상;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59-663
    • /
    • 2002
  • 이 논문은 비소세포폐암으로 새로이 진단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병기판정에 통상적으로 골 스캔의 유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병기는 과반수에서(132명) 수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진행된 상태였다. 골 원격전이의 임상 평가 항목으로 증상, alkaline phosphatase, calcium 등을 채택하였고 모든 환자의 골 스캔 결과를 검토하여,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률, 양성 예측률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인 골 전이의 판단은 일반 X-lay나 MRI 또는 골 생검을 기준으로 하였다. 골 전이만 없다면 수술이 가능한 (“potentially operable”)환자 126명의 임상 경과를 따로 분석하여 수술 대상 환자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골 전이에 대한 골 스캔의 민감도는 96%, 특이도는 75% 양성 예측률은 44%, 음성 예측률은 99%였고, 골 스캔에 대한 임상 평가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률, 음성 예측률은 각각 54%, 73%, 54%, 72%였다.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경우는 80%, 70%, 38%, 94%였다. 골 전이만 배제하면 수술이 가능하였던 “potentially operable”군 환자 126명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음성 예측률은 99%였다. 결론: 폐암 진단 당시 병기 결정에 있어서, 골 전이에 대한 철저한 임상 평가가 필수적이다. 특히 골 전이 외에 다른 수술 불가능 요인이 없는 환자군에서 임상 평가 결과 특이사항이 없을 경우 골 전이의 확률이 매우 낮아, 통상적인 골 스캔 없이도 근치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임상 평가 결과 양성인 경우에는 약 30% 이상의 환자에서 골 전이가 발견되므로 골 전이를 발견하기 위한 골 스캔은 물론 다른 여러 가지 진단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다발성 악성종양에 동반된 폐암의 임상 특징과 변이형 p53 발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bnormal p53 Expression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Multiple Primary Cancer)

  • 신창진;박혜정;신경철;심영란;정진홍;이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3호
    • /
    • pp.331-338
    • /
    • 1999
  • 연구배경: 악성종양에 대한 진단 및 치료방법의 발전으로 악성종양 환자의 생존기간이 연장되고, 생존율 또한 과거보다 높아졌다. 또한 수술적 절제술로 악성종양을 제거한 환자 중 약 10% 정도는 약 10년이내 속발성 원발성 종양이 생긴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래서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의 원인과 위험 인자 및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저자들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폐암과 원발성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p53 종양 억제 유전자 변이에 의한 변이형 p53 발현율을 조사하여 두 질환사이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방법: Moertel의 다발성 원발성 악성 종양의 분류에 적합한 환자 중 폐암이 동반된 20례(비소세포암 16례, 소세포암 4례)와 비교군으로 원발성 비소세포암 26례를 대상으로 변이형 p53 발현율을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곁과: 폐암과 동반된 악성종양은 위암이 8례로 가장 많았고, 식도암, 폐암, 대장암이 각각 2례 이었으며, 후두암, 방광암, 간암, 유방암, 부신암, 소장암이 각각 1례 이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과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남녀비는 각각 7:1, 2.7:1 이었고, 흡연력은 각각 16례 중 15례, 26례 중 19례가 있었다.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은 원발성 비소세포암에 비해 임상적 병기가 비교적 균등하였으며(p<0.05), 조직학적 분화도는 나쁜 경우가 많은 경향이었다(p>0.05).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각각 62.5%, 76.7%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의 변이형 p53 단백 발현율은 차이가 없었다. 변이형 p53 단백 염색법은 다발성 원발성 악성종양에 병발한 비소세포암과 원발성 비소세포암을 구별하는데 유용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 PDF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Vinorelbine의 단독요법 (Vinorelbine Monotherapy o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명훈;박희선;이연선;안진영;권선중;정성수;김주옥;김선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475-484
    • /
    • 2002
  • 연구배경 :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된 병기의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의 성적에 대해서 논란이 있어왔다. 이에 저자들은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보고 된 vinorelbine의 항암효과와 비교적 적은 독성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된 병기의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vinorelbine 단독요법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직학적으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 중 치료 당시 III 또는 IV 병기이고 초치로로 다른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고 vinorelbine 단독요법을 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매주 30mg/$m^2$ 용량으로 정주 하였다, 임상기록을 통한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병기 3,4기의 비소세포폐암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받은 16 명중 남녀 비는 14:2이고 중앙연령은 64세였다. 2) 반응평가로 완전 관해는 없었고 부분 관해는 6명(38%), 불변이 4명(24%), 진행이 6명(38%)으로 전체적인 반응률은 38%이었다. 3) 중앙생존기간은 16주 (95% 신뢰구간 : 12주-20주)였고 반응군에서 중앙 반응지속기간은 (95% 신뢰구간 : 6주-47주), 중앙 무진행생존기간은 16주 였다(95% 신뢰구간 : 6주-26주). 4) 생존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은 없었다. 5) 부작용으로 3도 이상의 백혈구 감소증이 총 112회 중 10회(9%)에서 있었으나 호중구감소로 인한 발열로 입원치료를 받은 경우는 1예에서 있었고 vinorelbine 투여와 관련된 정맥염은 16명 중 5명(31%)에서 있었다. 그 외 다른 부작용은 보조적 요법으로 잘 조절되었다. 결 론 : Vinorelbine을 매 주마다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 및 ECOG 활동도가 저하되어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에게 투여하는 것은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암치료법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더 많은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Cai, Yong;Sheng, Zhao-Ying;Chen, Yun;Bai, Cho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711-1714
    • /
    • 2014
  • Objective: To explore the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aterials and Methods: NSCLC cell line A549 was sele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Withaferin A on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poptosis and the PI3K/Akt signal pathway capable of regulating tumor biological behavior by assessment of cellular proliferation, cellular apoptotic rates and cellular cycling as well as by immuno-blotting. Results: Withaferin A could inhibit A549 cellular proliferation and the control rate was dosage-dependent (P<0.05), which also increased time-dependently with the same dosage of Withaferin A (P<0.05). The apoptotic indexes in A549 cells treated with 0, 2.5, 5.0, 10.0 and 20.0 ${\mu}mol{\cdot}L^{-1}$ Withaferin A for 48 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In addition, the apoptotic rates of each group in both early and advanced stages were higher than those in 0 ${\mu}mol{\cdot}L^{-1}$ (P<0.05), which were evidently higher after 48 h than those after 24 h (P<0.05). A549 cells treated by Withaferin A for 48 h were markedly lower in Bcl-2 level and obviously higher in Bax and cleaved caspase-3 levels than those treated by 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5, 10 and 2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The ratios of A549 cells treated by Withaferin A for 48 h in G0/G1 stage were higher than those in 0 ${\mu}mol{\cdot}L^{-1}$, while those in S and G2/M stages were obviously lower than those in G2/M stag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5.0, 10.0 and 20.0 ${\mu}mol{\cdot}L^{-1}$ Withaferin A (P<0.05). Additionally, p-Akt/Akt values were in reverse association with dosage,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P<0.05). Conclusion: Withaferin A can inhibit the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A549 cells by suppressing 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s.

원발성 폐암에서 혈장 과립구 자극인자의 암표지자로서의 역할과 의의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Biomarker for Plasma G-CSF in Patients with Primary Lung Cancer)

  • 송정섭;김소영;조향정;이강규;신정현;신성남;김동;박성훈;이영진;고창보;이미경;최순호;정종훈;박정현;김휘정;김학렬;정은택;양세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6호
    • /
    • pp.444-450
    • /
    • 2009
  • 연구배경: 폐암은 진단 당시에 완치할 수 있는 확률이 적어 예후가 불량한 종양으로 알려져 있어, 폐암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암 표지자(tumor marker)의 발굴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폐암에서 아직까지 특이적인 항원이 없고 현재까지 알려진 많은 종양관련 항원들의 민감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폐암 환자에서 혈장 G-CSF를 측정하고 암의 진행 및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원발성 폐암으로 진단된 100명 환자와 건강 검진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127명 정상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정상인에서 혈장 G-CSF 농도는 12.2$\pm$3.6 pg/mL (mean$\pm$SD), 폐암환자에서는 46.0$\pm$38.0 pg/mL였다(p<0.001). 비소세포폐암에서 G-CSF 농도는 유의하게 소세포폐암보다 높았으며(p<0.05), 비소세포 폐암중 대세포 폐암이 가장 높았고, 편평세포암, 선암, 세기관지폐포암 순이었다. G-CSF 농도는 국소형보다는 진행형 비소 세포폐암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다발성 전이에서는 뇌, 부신, 골 전이 순으로 혈청 G-CSF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결 론: 혈장 G-CSF 농도는 폐암이 진행한 경우, 특히 타 장기로의 전이가 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진행형 폐암의 추적관찰에 이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폐암환자에서 치료에 대한 반응 예측지표로서의 DNA Ploidy (DNA Ploidy as a Predictive Index of Therapeutic Response in Lung Cancer)

  • 최인선;이신석;양재범;박경옥;정상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50-158
    • /
    • 1992
  • 연구배경 : 수술을 시행했던 비소세포폐암에서 유체세포계산법(flow cytometry)으로 DNA ploidy를 측정했을때 aneuploid 종양이 diploid 종양 보다 생존기간이 짧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소세포폐암을 포함한 폐암에서 기관지 솔질에 의한 세포학적 표본을 이용하여 측정한 DNA ploidy가 치료에 대한 반응을 잘 예측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하였다. 방법 : 기관지내시경검사시에 기관지 솔질을 해서 얻은 표본으로 DNA ploidy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학적으로 폐암으로 확진되었던 109예를 대상으로 해부적 생리적 병기와 DNA ploidy와의 관계를 검토하였고, 치료를 시작한지 8주 이상 지나서 반응을 검토할 수 있었던 58예를 대상으로 DNA ploidy에 따른 반응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결과 : 1) 세포 형태에 따라 aneuploid 혹은 고증식력(S+G2M>22%)의 발현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2) DNA ploidy와 해부적 생리적 병기는 유의한 관계에 없었으나 비소세포폐암에서 고증식력군때는 저증식력군에 비해 해부적 병기가 진행된 경우가 많았다(p<0.05). 3) 치료에 대한 반응은 해부적 병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소세포폐암 p=0.10, 비소세포폐암 p<0.005), 생리적 병기에 따라서는 비소세포폐암에서만 차이가 있었다(p<0.05). 4) DNA ploidy와 증식력에 따라서는 치료에 대한 반응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기관지 솔질 표본을 이용하여 시행한 DNA ploidy 검사는 고증식력 유무가 해부적 병기와 관계가 있었으나 치료에 대한 단기 반응을 예측하는 데는 해부적 생리적 병기만큼 유용하지는 않았다.

  • PDF

Clinico-pathological Profile of Lung Cancer at AIIMS: A Changing Paradigm in India

  • Malik, Prabhat Singh;Sharma, Mehar Chand;Mohanti, Bidhu Kalyan;Shukla, N.K.;Deo, S.V.S.;Mohan, Anant;Kumar, Guresh;Raina, Vino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489-494
    • /
    • 2013
  • Background: Lung cancer is one of the commonest and most lethal cancers throughout the world. The epidem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file varies among different ethnicities and geographical regions. At present adenocarcinoma is the commonest histological subtyp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n most of the Western and Asian countries. However, in India squamous cell carcinoma has been reported as the commonest histological type in most of the seri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clinico-pathological profile and survival of lung cancer at our centr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434 pathologically confirmed lung cancer cases registered at our centre over a period of three years. They were evaluated for their clinical and pathological profiles, treatment received and outcome. The available histology slides were reviewed by an independent reviewer. Results: Median age was 55 years with a male:female ratio of 4.6:1. Some 68% of patients were smokers. There were 85.3% NSCLC and 14.7% SCLC cases. Among NSCLCs, adenocarcinoma was the commonest histological subtype after the pathology review. Among NSCLC, 56.8% cases were of stage IV while among SCLC 71.8% cases had extensive stage disease. Some 29% of patients did not receive any anticancer treatment. The median overall and progression free survivals of the patients who received treatment were 12.8 and 7.8 months for NSCLC and 9.1 and 6.8 months for SCLC. Conclusions: This analysis suggests that adenocarcinoma may now be the commonest histological subtype also in India, provided a careful pathological review is done. Most of the patients present at advanced stage and outcome remains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