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 wood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편백(Chamaecyparis obtusa E.) 수간내에서의 결정상태의 변이성 (Variation of Crystalline State in a Stem of Chamaecyparis obtusa E.)

  • 김남훈;이기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4호
    • /
    • pp.20-25
    • /
    • 1998
  • Radial variation of crystalline state in a stem of Chamaecyparis obtusa E. was examined by x-ray diffraction analyses. Relative crystallinity 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venile and adult wood. That is, Relative crystallin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ge from pith to about 20th annual ring, after which it reached a more or less constant value. On the other h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decreased outward from pith to about 10 years and presented almost a constant value thereafter. Crystal width by Scherrer's equ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venile and adult wood.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crystallinity index and degree of crystallite orientation by x-ray diffraction method could be used for evaluating wood quality.

  • PDF

잣나무의 재질(材質)에 관(關)한 연구(硏究)(제6보(第6報)) - 성열재(成熱材)와 미성열재(未成熱材)와의 재질(材質)의 특징(特徵) - (Study on Wood Quality of Pinus koraiensis (6) - Characteristics of Woody Quality of Juvenile and Adult Wood -)

  • 이원용;김수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8-46
    • /
    • 1982
  • 우리나라의 주요(主要)한 조림수종(造林樹種)이고 경제적수종(經濟的樹種)인 잣나무조림목(造林木)에 대(對)하여 여러 재질지표치(材質指標値)의 수간내(樹幹內)에서의 재질변동(材質變動)의 규칙성(規則性)에 의(依)하여 미성열재(未成熟材)와 성숙재(成熟材)와의 구분(區分) 성숙재(成熟材)와 미성숙재(未成熟材)의 범위(範位)의 표현(表現) 및 양재부(兩材部)의 재질(材質)의 특징등(特徵等)을 조사검토(調査檢討)하였으며 그것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각종재질지표치(各種材質指標値) 즉(卽) 연륜폭(年輪幅) 만재율(晩材率) 가도관장 가관세포의 절선방향(切線方向)의 폭(幅) 및 막후(膜厚) micro fibril의 경사각(傾斜角) 용적밀도수(容積密度數)의 수간내변동(樹幹內變動)의 일반경향(一般傾向)을 구명(究明)하고 이 결과(結果)로부터 성숙재(成熟材)와 미성숙재(未成熟材)와의 구분(區分)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였다. 2) 미성숙재(未成熟材)의 범위(範圍)는 잣나무조림목(稠林木)에 있어서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수심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반경(半徑) 6~11cm 정도(程度)의 원통형(圓筒形)으로 표시(表示)할 수 있다. 3) 미성숙재(未成熟材)의 수심으로부터의 연륜수(年輪數)는 12~20 연륜정도(年輪程度)이며 생장환경(生長環境)이 비슷한 임지(林地)의 각(各) 개체내(個體內)에서는 같은 경향(傾向)을 가진다. 4) 성숙재(成熟材)가 출현(出現)하는 한계(限界)의 지상고(地上高)는 5~10m 정도(程度)이다. 5) 미성숙재(未成熟材)의 연륜수(年輪數)는 각(各) 입본(立本)의 생장경과(生長經過)에 따라 차이(差異)가 생기며 일반적(一般的)으로 생장(生長)이 균일(均一)할때는 원통형(圓筒形)을 나타낸다. 6) 미성숙재(未成熟材)의 재질변동(材質變動)은 성숙재(成熟材)의 재질변동(材質變動)보다 일반적(一般的)으로 큰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 PDF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수지구의 출현형태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s in Pinus koraiensis and Larix kaempferi)

  • 김남훈;권성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6
    • /
    • 2006
  • 국내에 가장 많이 조림된 수종이고 중요한 국산 목재자원인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두 수종의 재질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지구와 에피델리얼세포의 수간내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두 수종 간에 수직수지구의 수와 그 수의 방사방향 변이성에 차이가 있었다. 일본잎갈나무의 수평수지구의 직경 및 에피델리얼세포 수도 방사방향으로 변이성을 나타냈다. 즉 미성숙재부와 성숙재부간에 수지구와 에피델리얼 세포의 출현특성이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에 있어서 수지구와 에피델리얼세포의 출현특성을 성숙재부와 미성숙재부로 구분하는 재질지표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약용식물 17종 메탄올 추출물의 유기질문화재 생물학적 열화원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 조사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against Biological Deterioration of Organic Cultural Heritage)

  • 임진아;최윤아;정미화;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9호
    • /
    • pp.125-136
    • /
    • 2008
  • To investigate bioactive materials for development of natural conservative agent on organic cultural heritage, methanol extracts from 17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6 wood rot fungi and adult of Lasioderma serricorne.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s was tested by using paper disc soaking method against wood-rot fungi. Among these extracts,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from the extract of Coptis japonica at 5 mg/disc against all wood rot fungi test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extracts was examined by topical application against L. serricorne adults. The extracts from Asarum sieboldii gave 83.3 % mortality at $25{\mu}g/adult$ for 24hr. From these result, the methanol extract from C. japonica and A. sieboldii described could be useful for conservation of organic cultural heritage against biological deterioration by wood rot fungi and L. serricorne.

  • PDF

국내산 수목 추출물의 항진균 및 살충활성 (Antifungal and Insecticidal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11 Korean Wood Species)

  • 임진아;최윤아;정미화;강소영;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95-102
    • /
    • 2008
  • 유기질 문화재 보존 천연 살생물제 개발을 위한 후보물질 조사를 위해 국내 자생하는 11종 수목을 대상으로 각 수목 메탄올 추출물의 9종 목재오염균과 궐련벌레 성충에 대한 항진균 및 살충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진균 활성은 목재부후균과 표면오염균에 대해 각각 paper disc soaking 방법과 feeder strip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그 결과, 수목 중 황벽(Phellodendron amurense) 메탄올 추출물은 5 mg/disc에서 Coniophora puteana, Lentinus lepideus, Tyromyces palustris 그리고 Aspergillus niger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수목 메탄올 추출물의 살충활성은 topical application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특히 주목(Taxus cuspidata)과 전나무(Abies holophylla) 메탄올 추출물을 궐련벌레 성충에 25 ${\mu}g$/adult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했을 때 56.7%의 치사율을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주목과 전나무 그리고 황벽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충과 목재오염균에 의해 야기되는 생물학적 열화에 대한 유기질 문화재 보존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산 밤나무 수간 내 목섬유 및 도관요소 길이의 방사방향 변이성 (Radial Variations in the Lengths of Wood Fibers and Vessel Elements in the Stem of Chestnut (Castanea crenata) Grown in Korea)

  • 이선화;권성민;이성재;;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6호
    • /
    • pp.490-497
    • /
    • 2010
  • 국내산 밤나무 목재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밤나무 7품종(단택, 이취, 이평, 만성, 은기, 유마, 축파)의 목섬유 및 도관요소 길이를 대상으로 방사방향 변이성을 조사하였다. 목섬유 및 도관요소 길이는 조재와 만재 부위를 구별하여 3연륜 간격으로 광학현미경과 화상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밤나무 수간에 있어 만재 목섬유의 길이가 조재의 것보다 다소 더 길었으며, 조재 및 만재 모두에 있어 연륜 증가에 따라 목섬유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와 유사하게, 만재 도관요소의 길이 역시 조재의 것보다 다소 더 길었으며, 조재 및 만재 모두에 있어 연륜 증가에 따라 도관요소의 길이가 완만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밤나무 수간에 있어서의 목섬유 및 도관요소의 길이는 성숙재와 미성숙재를 판단하는 재질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ungi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and the Nematode-Infected Japanese Black Pine Wood in Korea

  • Hyun, Min-Woo;Kim, Ji-Hye;Suh, Dong-Yeon;Lee, Seung-Kyu;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5권3호
    • /
    • pp.159-161
    • /
    • 2007
  • Pine tree death caused by pine wood nematode(PWN) involves phoretic relationships between PWN and its vector Japanese pine sawyer beetle(JPS).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fungi involved in PWN life cycle, a total of 176 fungal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PWNs, adults and larvae of JPS, PWN-diseased Japanese black pine that was cut down in 2005 at Jinju, Korea. Based on microscopic observation and colony morphology,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ITS rDNA, the fungal isolates were identified at the level of genus. Three genera including Mucor,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identified from PWN. Two genera of Ophiostoma and Penicillium were discovered from JPS larvae. Frpm JPS adult beetles, nine genera of Aspergillus, Gibberalla, Hypocrea, Irpex, Leptosphaeria, Ophiostoma, Penicillium, and Plectosphaerella and unknown basidio-mycetes were found. Ten genera from PWN-infected weed were confirmed as Bionectria, Botrytis, Camarops, Fusarium, Hypocrea, Nectria, Mucor, Ophiostoma, Penicillium, and Trichoderma. Penicillium and Ophiostoma were commonly distributed on PWN and its vector and host. This is first report of the fungi associated with PWN and its vector and host in Korea.

Cryopreservation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 Park, Ju-Yong;Shin, Keum-Chul;Kim, Kyung-Hee;Lee, Seung Kyu;Lee, Jong Kyu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5호통권162호
    • /
    • pp.334-337
    • /
    • 2005
  • Pine wood nematode isolates from Haman, Gyoungsangnam-do were cryopreserved with three different cryoprotectants (glycerol, ethylene glycol and dimethylsulfoxide), Nematode Growth medium (NGM) and M 9 buffer solution, respectively, and then survival rate, reproduction ability, and pathogenicity of stored nematodes were compared. Survival rates of juvenile was excellent in 15% glycerol solution as $72{\pm}5.3%$. The survival ability of nematodes at juvenile stage wa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nematodes at adult stage. Pre-incubation treatment at $4^{\circ}C$ before storing in liquid nitrogen didn't affect the survival ability of pine wood nematode. When the reproduction ability of nematodes was confirmed on Botrytis cinerea agar plates at $28^{\circ}C$ incubato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ryopreserved and non-cryopreserved. Pathogenic ability of cryopreserved nematodes was also evaluated and confirmed by artificially inoculating them on 2-year old red pine seedlings.

국내산 주요 침엽수 3종의 수간 내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의 변이 (Variation of Microfibril Angle Within Stems of Three Commercial Softwoods Grown in Korea)

  • 은동진;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4호
    • /
    • pp.77-83
    • /
    • 2008
  • 국내에서 생장한 주요 침엽수 3종(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의 수간 내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microfibril angle, MFA)의 축방향 및 방사방향 변이를 요오드 침적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MFA의 평균값은 소나무 $16.4^{\circ}$, 잣나무 $14.4^{\circ}$, 리기다소나무 $26.2^{\circ}$로 리기다소나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공시 수종의 MFA는 약 15~20 연륜까지 감소하다가 그 후 거의 안정된 경향을 보여 주었고 만재부의 MFA는 조재부의 MFA보다 다소 작은 경향이 있었다. 공시재료의 수고에 따른 MFA의 차이는 기부 부분에서 다소 크게 나타났으며 수고가 증가함에 따라 MFA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리기다소나무 조재부는 예외였다. 따라서 MFA는 국내산 주요 침엽수재의 미성숙재와 성숙재를 구분하는 지표의 하나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고사목에서 분리된 선충과 곤충의 종류 및 솔수염하늘소 부위별 소나무재선충 밀도조사 (Nematodes and Insects Associated with Dead Trees, and Pine Wood Nematode Detection from the Part of Monochamus alternatus)

  • 이상명;추호렬;박남창;문일성;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4-19
    • /
    • 1990
  • 부산, 경남, 경북, 전남, 전북 22개 지역 19수종 238본의 고사목에서 1989년 4월부터 9월까지 선충류와 곤충류를 조사한 결과, 소나무 재선충은 부산지역에서만 검출되었으며, 어리소나무 재선충은 진주와 진해에서 분포가 확인되었다. 고사목에서 분리.동정된 선충류는 9속 13종이었으며 6속은 미동정되었다. 동정된 선충 중 Diplogasteroides dimidius, Rhabdontolaimus adephagus, R.janae, Mikoletzkya diluta, M. ruminis, m. langcauda, Parasitorhabditis hylurgi, Panagrolaimus concolor, Panagrodontus dentatus, Prothallonema intermedium, Macrolaimus canadensis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이다. 한편, 고산목에서 채집된 곤충은 5목 9과 25속 27종이었는데 딱정벌레목이 3과 19속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그중 나무종이 10속 12종으로 빈번히 채집되었으며, Hypothenemus eruditus가 꽃싸리, 싸리, 조록싸리, 만리화, 닥나무에서 채집되어 새 기주로 추가되었다. 소나무 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는 복부에서의 선충 검출수가 가장 많았으며, 성충 한마리당 선충 보유수는 최대 127,535마리, 최소 2,616마리, 정균 42,817마리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