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djectives

Search Result 43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 Analysis on the Structure of Meaning for Amenities of Sound Environment II -Psychological Evaluation Factors and Attributes of Noise- (음환경의 쾌적성에 관한 의미구조의 분석 II -소음의 심리적 평가요인과 속성-)

  • 한명호;김선우
    • Journal of KSNVE
    • /
    • v.8 no.4
    • /
    • pp.706-71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main factors and attributes of psychological evaluation to noise. For this purpose, a psycho-acustic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sing the method of rating scale. 52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20 stimuli were presented to subjects in random order with 23 adjective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primary factor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oise subjectively are four factors of unpleasantness, intensity, irregularity, and sharpness. And, as a result of MDPREF(multi-dimensional analysis of preference data), it was found that the noise sources including the factors of unpleasantness, intensity, and irregularity are related to the sounds of hammering in construction field, car horn, road traffic, idling of car, and printing by computer printer, and the factor of sharpness are the sounds of car siren, claps of thunder, car horn, and snowstorm etc.

  • PDF

Are there 'Action' and 'Learning' in Action Learning? -Prolog to Critical Analysis of Action Learning without 'Action' and 'Learning'- (실천학습(Action Learning)에 '실천(Action)'과 '학습(Learning)'이 존재하는가? -'실천'과 '학습'없는 실천학습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서곡-)

  • You, Yeong-Mah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4 no.2
    • /
    • pp.55-77
    • /
    • 2003
  • In this study, some issues that are related to embody the original conception and ideal of action learning are explored in terms of misunderstanding and misuse of action learning in Korean corporate context. The conception of action learning is deconstructed through the lens of 'action' and 'learning' concept, followed by conceptual analysis to the nature of 'action' and 'learning'. Based upon this conceptual deconstruction of 'action' and 'learning', this study i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concept of 'action' and 'learning' into several representative attributes. Categorization of 'action' and 'learning' leads to draw some adjectives, for examples, reflective, dynamic, complex, nonlinear, that are critical for characterizing action learning. That is, the nature and ideal of action learning are critically reviewed with the reconceptualization of 'action' and learning, which are deconstructed. The Discussion of final thoughts is on what kinds of knowledge perspectives action learning hold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on how to facilitate knowledge construction and sharing with action learning.

  • PDF

A Comparison of Two Research Methods on Human Sensibility Using Adjectives (형용사를 이용한 주관적 감성 연구의 두 방법 비교)

  • 신미경;민병찬;정순철;박미경;민병운;남경돈;김수진;김준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7-12
    • /
    • 2000
  • 본 연구는 형용사를 이용한 향의 이미지 구조 연구에서 자극을 사용한 경우와 향을 제시하지 알은 두 경우를 비교하였다. 자극을 제시한 실험에서는 피험자에게 5가지의 향 자극을 주고 각 향에 대한 이미지를 25개의 형용사에 대하여 7점 척도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자극을 제시하지 않은 실험은 쌍 비교법을 사용하여 형용사를 두개 씩 쌍을 지워 제시하고 두 형용사가 유사한 정도를 7점 척도로 나타내게 하였다. 두 자료를 다차원 척도 (MDS), 군집분석,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향의 이미지 구조는 자극 제시여부에 따라 구조적이며 근본적인 차이가 없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자료 분포의 밀집정도에 따른 지엽적인 차이는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두 경우에 적용되는 기억이,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다르다는 점에서 기인되는 것이 라고 판단되었다.

  • PDF

Measuring meaning of korean adjectives and colors (감성 측정을 위한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

  • 박미자;신수길;한광희;황상민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2
    • /
    • pp.1-11
    • /
    • 1998
  • 최근 감성연구의 한 측정 방법으로 의미변별 기법을 이용해 형용사를 제시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미변별 기법을 사용하는 감성 연구의 기초적인 연구로서 우리말 형용사의 전체적인 의미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우리말 형용사의 의미구조는 기존의 다른 언어권에서 얻은 연구결과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형용사의 의미구조는 다섯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세 요인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이러한 의미구조가 색채라는 특정 자극과 관련해서 나타나는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NCS단색과 형용사 쌍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색채 이미지와 관련된 형용사의 의미구조도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첫 연구에서 발견된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감성의 표현수단으로서 어휘를 고려할 때, 이 결과는 사용하는 어휘가 다를지라도 기저에 있는 의미구조는 문화에 상관없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 어휘로 표현되는 감성의 기본구조가 공통적일 수 있음을 제시한다.

  • PDF

A lexical structure of adjectives for the sensibility of visual design elements in Textile (직물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어휘 모형)

  • 박수진;조경자;장준익;김길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63-6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 모형을 제안하고, 아울러 감성 모형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ㅅ는 대안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와 관련 잡지, 신문, 사전 등을 통한 광범위한 어휘 수집이 이뤄졌으며 수집된 어휘는 1,000여 개였다. 수집된 어휘에 대해 이해도 및 적절성 평가를 실시하여 직물 제품과 관련된 감성을 표현하기에 부적절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들을 제거하여 360개의 감성 어휘로 정리하였다.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 108개를 이용하여 자유 연상과제를 실시하였으며 그결과 어휘들 간 관계에 대한 연결망을 그려낼 수 있었다. 어휘망에서 중심적인 대표어 역할을 하는 18개 어휘를 추출하여 1차로 유사성평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차원 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어휘들 간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차원은 네 개였다. 1차로 구성된 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로 각각 20개씩의 어휘를 새로이 추출하여 2회에 걸쳐 유사성 평정을 실시한 결과, 직물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와 관련된 감성을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세 개차원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 PDF

Study on Domain-dependent Keywords Co-occurring with the Adjectives of Non-deterministic Opinion (휴먼 오피니언 자동 분류 시스템 구현을 위한 비결정 오피니언 형용사 구문에 대한 연구)

  • Ahn, Ae-Lim;Han, Yong-Jin;Park, Se-Young;Nam, Jee-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48-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로부터 특정 상품에 대한 의견 문장을 분석하는 오피니언 마이닝(Opinion Mining) 연구의 일환으로, 특히 함께 공기하는 자질 명사에 따라 그 극성 값이 달라지는 '비결정 오피니언어휘'의 처리를 위해서 도메인을 '맛집'으로 한정하여 공기하는 도메인 키워드의 목록을 결정하고, 이를 부분문법그래프(Local Grammar Graphs) 방법론을 통해서 이들 간의 어휘 통사적 관계를 결정해 주었다.

Interaction Effects of Two Salient Cues on Males Fashion Images: Hair Lengths & Hair Colors (헤어 길이와 헤어 컬러가 남성의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

  • 김재숙;류지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8 no.910
    • /
    • pp.1320-1328
    • /
    • 2004
  •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out the joint effects of two salient appearance cues-hair colors and hair lengths on males fashion images, using 729 university students in Daejon city and a Chungnam province. The study was a quasi experiment;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hair lengths(4 levels) and hair colors(4 levels)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a set of semantic different of scales which was consisted of 40 hi-polar adjectives, The data were analyzed by a factor analysis, 3-way ANOV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Hair lengths effected on the image of five dimensions, salient, social, potency, evaluate and dynamics while hair colors effected on salients, social and potency dimensions. The mos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hair color and lengths were existed on the salient image: For the longer haired males, the color effects became less evident then normal to shorten haired males and it can be concluded that when two salient cues were combined one cue's effect became discounted.

Visual Effects of Design Variations in Tailored Jackets Length of Collar, Number of Buttons and Single/Double Variation (테일러드 자켓 디자인 변화에 따른 시각적 효과 -칼라길이, 단추 수, Single/Double변화를 중심으로-)

  • 한정숙;류숙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1 no.8
    • /
    • pp.1376-138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one's visual evaluations are affected by variations in internal designs of tailored jackets. Major findings are: 1. Of the 35 pairs of adjectives, the factor analysis singled out the following five major factors (total variance of 55.62%): elegance, maturity, neatness, hard/softness, and evaluation. 2. The image of tailored jacke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ength of its collar: jackets with long collar were perceived elegant, graceful, neat, mature and slim. 3. The number of buttons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tailored jackets: A one-button jacket, single or double, was perceived graceful, mature, formal, neat, natural, brisk, slim and so on. Its image deteriorated as the number of buttons increased. 4. Single jacke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Double jacket in their images. The former were perceived elegant, neat, and natural.

  • PDF

A Study on the Image of Show Window Display - Based on Apparel Stores in Pusan - (쇼 윈도우 디스플레이 이미지에 관한 연구 -부산지 역 의류매장을 중심으로-)

  • 노경혜;이경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1 no.7
    • /
    • pp.1109-1116
    • /
    • 199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mage of show window display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nstruct a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evaluate the images of show window displays; 2)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how window displays; 3) Cluster the brands according to the images of show window displays; 4) Examine how the images of show window displays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brand clusters; and 5) Identify by brand clusters, how the different show window display images affect the purchasing desi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rom this study; 1.25 pairs of adjectives for show window displays were found to include five factor dimensions (total variance 67.7%) such as evaluation, interest, hardness and softness, maturity, and modernity. 2. The brands were divided into six clusters according to the show window display image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brand clusters in the show window display image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how window display images that affect the Purchasing desires among the brand clusters.

  • PDF

Analysis of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Life Environmental Noise I: Structural Analysis of Noise Adjectives (생활공간음의 감성 특성 분석 : 소음 형용사에 대한 차원분석)

  • 민윤기;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69-75
    • /
    • 1999
  • 본 연구는 우리말 형용사를 이용하여 각종 생활공간음에 대해 느끼는 사람들이 감성적 반응의 차원을 밝히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형용사 사전에서 추출된 어휘들에 대한 적합성 및 유사성 평가를 통해 14개의 형용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이 형용사들의 유사성 점수에 대해 요인분석, 다차원 척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공간음에 대한 사람들의 감성적 반응은 크게 3가지 차원, 즉 쾌-불쾌, 민감-둔감 및 지각된 크기가 추출되었고, 소음에 대해 느끼는 감성은 이들 차원 상에서 측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차원들은 서로 직선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은 그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증을 일으키기 쉽지만 소음에 대해 불쾌하거나 짜즈을 일으킨 사람이 소음에 대해 민감한 사람이라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차원간에 구체적인 통로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속연구에서 밝혀질 것이다. 또한 실제 소음을 제시하여 각각의 소음을 평가하는 경험적 연구도 수행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