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ipocyte siz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6초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대한 꽃송이 버섯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Sparassis crispa o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이미라;하지강;샤나즈베검;왕운보;오득실;위안진;윤병선;성창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952-958
    • /
    • 2014
  •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 대한 꽃송이 버섯의 항비만 효과를 관찰하였다. 6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칼로리의 45%를 지방으로 구성한 고지방식이를 이용하여 비만을 유도하였으며, 대조군은 정상식이를 제공하였다. 처리군은 고지방 식이에 꽃송이 버섯 분말을 1%, 3%,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2주간 제공하였다. 체중, 식이섭취, 장기무게, 내장지방, 혈청지질, 변무게 및 변지방, 간지방, 조직병리실험을 실시하였다. 고지방식이 섭취군은 체중, 식이섭취, 피하지방 및 복막하지방, 혈청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 변지방, 간지방, 부고환지방 조직의 지방세포 크기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지방식이에 꽃송이 버섯 분말을 첨가한 실험군에서는 체중증가, 식이섭취 및 식이효율, 간 콜레스테롤 함량, 내장지방 무게가 꽃송이 버섯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였다. 특히, 5% 꽃송이버섯 첨가군은 간세포의 지방축적과 지방간 현상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세포 크기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꽃송이 버섯은 뛰어난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있어, 비만 조절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Exposure to Transgenic Rice Expressing the Spider Silk Protein Fibroin Reduces Blood Glucose Levels in Diabetic Mice: The Potential Role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1 Phosphorylation in Adipocytes

  • Park, Ji-Eun;Jeong, Yeon Jae;Park, Joon Beom;Kim, Hye Young;Yoo, Young Hyun;Lee, Kwang Sik;Yang, Won Tae;Kim, Doh Hoon;Kim, Jong-Mi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3권3호
    • /
    • pp.223-229
    • /
    • 2019
  •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is characterized by insulin resistance (IR). T2DM is correlated with obesity and most T2DM medications have been developed for enhancing insulin sensitivity. Silk protein fibroin (SPF) from spiders has been suggested as an attractive biomaterial for medical purposes. We generated transgenic rice (TR) expressing SPF and fed it to diabetic $BKS.Cg-m+/+Lepr^{db}$ mice to monitor the changes in blood glucose levels and adipose tissue proteins associated with energy metabolism and insulin signaling. In the present study, the adipocyte size in abdominal fat in TR-SPF-fed mice was remarkab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ereas the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activated protein kinase and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RS1) protein levels were increased in abdominal adipose tissues after TR-SPF feeding, levels of six-transmembrane protein of prostate 2 (STAMP2) proteins decreased. Phosphorylation of AMPK at threonine 172 and IRS1 at serine 307 and tyrosine 632 were both increased in adipose tissues from TR-SPF-fed mice. Increased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IRS1 at both serine 307 and tyrosine 632 in adipose tissues indicated that adipocytes obtained from abdominal fat in TR-SPF-fed mice were more susceptible to insulin signaling than that of the control. STAMP2 protein levels decreased in adipose tissues from TR-SPF-fed mice, indicating that STAMP2 proteins were reducing adipocytes that were undergoing lipolysis. Taken together, this study showed that TR-SPF was effective in reducing blood glucose levels in diabetic mice and that concurrent lipolysis in abdominal adipocytes was associated with alterations of AMPK, IRS1, and STAMP2. Increased IRS1 expression and its phosphorylation by TR-SFP were considered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induction of lipolysis in adipocytes, as well as in reducing blood glucose levels in this animal model.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지방전구세포와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의 분화 및 지방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onicera caerulea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cells and mouse adipose-derived stem cells (MADSCs))

  • 박미의;이창호;이해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17-2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3T3-L1과 마우스 지방유래줄기세포의 지방 분화유도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3T3-L1에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의존적으로 지방구의 생성을 줄였고 지방세포 분화에 있어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PPAR{\gamma}$, $C/EBP{\alpha}$, SREBP1의 발현을 억제시켜 지방 합성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 지방에서 분리한 줄기세포의 지방 분화과정에서도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이 $PPAR{\gamma}$, $C/EBP{\alpha}$, SREBP1의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켜 지방 축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댕댕이나무 열매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 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지방식이 동물의 간 조직에서 크리신 투여 또는 중강도 운동이 Inflammasome과 열 발생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Either Chrysin or Moderate Exercise on Inflammasome and Thermogenic Markers in High Fat Fed Mice)

  • 이영란;박희근;이왕록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07-613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고지방식이 동물의 간 조직에서 크리신 투여 또는 중강도운동이 Inflammasome과 thermogenesis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고지방식이+크리신 투여군, 고지방식이+중강도 운동군으로 분류한 후, 크리신 투여군은 16주간 50 mg/kg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운동군은 최대산소섭취량의 60-75%의 중강도 운동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크리신 그리고 중강도운동군은 지방조직, 간조직 무게 그리고 지방세포 크기가 고지방식이 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Inflammasome 유전자 변화는 크리신 투여군 그리고 중강도 운동군에서 NLRP3. ASC, Casepase1 mRNA 발현이 고지방식이 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열발생마커로 알려진 PGC-1a, BMP7 mRNA 발현은 중강도 운동군에서만 고지방식 이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적으로 중강도 운동은 고지방식이 동물에서 지방무게, Inflammasome, 그리고 열발생 유전자들의 발현을 비만을 억제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크리신 투여는 열발생 유전자 발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크리신의 비만억제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투여농도 기간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감비경신환(1)에 의한 고지방식이 비만동물모델에서 체중감량과 지질대사의 조절 (Gambigyeongsinhwan(1) Improves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 Fat Diet-Fed Obese Animal Model)

  • 신순식;윤미정;총배금;이용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3
    • /
    • 2014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ambigyeongsinhwan(GGH)(1) on body weight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examined whether blood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are inhibited by it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Methods : 8 weeks old,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C57BL/6N normal, control, GGH(1)-1, GGH(1)-2 and GGH(1)-3.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GGH(1)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feeding efficiency ratio, fat weight, plasma ALT, leptin and lipid levels. We also did histological analysis for liver and fat on the mice. Results : Compared with controls, GGH(1)-treated mice had lower body weight gain and adipose tissue weight,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GGH(1)-3. Compared with controls, GGH(1)-treated mice had lower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blood leptin level, the magnitudes of which was prominent in GGH(1)-3. Compared with controls, GGH(1)-treated mice had lower blood plasma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with controls, GGH(1)-3 treated mice had lower blood plasma ALT concentration.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the size of adip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GH(1), whereas the adipocyte number per unit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uggesting that GGH(1) decreased the number of large adipocyt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decreased by GGH(1).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GH(1)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through the modulation of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plasma obesity parameters. Moreover, it seems that GGH(1) also contributes to improve NAFLD through the regulation of plasma ALT and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논문철회]고지방식이 마우스 비만모델에서 감비경신환(4)에 의한 체중감량과 간 지방축적의 변화 ([Retracted]Gambigyeongsinhwan(4) Reduces Body Weight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C57BL/6N Mice)

  • 이혜림;안예지;이희영;이형희;김동여;윤미정;이용태;신순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9-106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ambigyeongsinhwan(GGH)(4) on body weight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NAFLD) examined whether blood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are inhibited by it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8 weeks old,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C57BL/6N normal, control, GGH(4)-1, GGH(4)-2 and GGH(4)-3. After mice were treated with GGH(4) for 8 weeks, we measured body weight gain, food intake, feeding efficiency ratio, fat weight, plasma ALT, leptin and lipid levels. We also did histological analysis for liver and fat on the mice. Compared with controls, GGH(4)-treated mice had lower body weight gain and adipose tissue weight, the magnitudes of which were prominent in GGH(4)-2. Compared with controls, GGH(4)-treated mice had lower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blood leptin level, the magnitudes of which was prominent in GGH(4)-2. Compared with controls, GGH(4)-treated mice had lower blood plasma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free fatty acid and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with controls, GGH(4)-2 treated mice had lower blood plasma ALT concentration.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the size of adip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GGH(4), whereas the adipocyte number per unit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uggesting that GGH(4) decreased the number of large adipocyt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was decreased by GGH(4).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GGH(4)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through the modulation of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plasma obesity parameters. Moreover, it seems that GGH(4) also contributes to improve NAFLD through the regulation of plasma ALT and hepatic triglyceride accumulation.

중강도 운동을 실시한 비만 쥐에서 정향 투여가 지질과 근육 대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yzygium aromaticum L. administration on lipid and muscle metabolism in obese rats subjected to moderate-intensity exercise)

  • 김민주;노성수;서성욱;김경;신미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7권1호
    • /
    • pp.27-4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중강도 운동을 한 비만 흰쥐를 대상으로 정향 투여에 따른 염증 관련 단백질, 근육 합성 및 분해 관련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규칙적인 중강도 운동은 혈청 내 산화 스트레스와 leptin 수준을 억제시켰다. 또한, 염증 관련 단백질을 감소시켰으며, 근육 합성 관련 단백질을 활성화 및 근육 분해 관련 단백질 억제를 통해 근육 대사를 조절하였다. 여기에 정향의 투여는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염증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녹차 Catechin이 체지방 조성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techin on Lipid Composition and Adipose Tissue in Obese Rats Fed High Fat Diet)

  • 이순재;김경란;김홍태;홍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0-54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 흰쥐에서 녹차 catechin의 체지방 조성 및 지방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혈중 및 간조직의 지질조성과 지방조직의 세포 수 및 크기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100{\pm}10g$내외의 Sprague-Dawley종 흰쥐를 이용하여 catechin의 공급수준에 따라 각각 10마리씩 총 8군으로 나누어 4주간 자유섭식시킨 후 지질대사를 관찰하였다. 체중증가량을 관찰한 결과 HFCM 및 HFCH군에서 HF군에 비해 체중이 유의적으로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단위 체중당 복부지방 및 부고환지방 무게는 NC군에 비해 HF군에서 각각 103%, 106%씩 증가되었으나, HFCM 및 HFCH군은 HF군에 비해 각각 15%, 23% 및 21%, 33%씩 감소되었다. 혈중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는 HF군에 비해 HFC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HDL-콜레스테롤은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방 함량은 NC군에 비해 HF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HFCH군은 정상식이군 수준이었다. 중성지방 함량은 고지방식이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은 NC군에 비해 HF군은 29% 증가되었으나, HFCM 및 HFCH군은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부고환지방의 세포수 및 세포크기도 HFCM 및 HFCH군이 HF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녹차 catechin은 혈청에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동맥경화지수를 감소시키고 부고환지방의 세포수 및 크기의 감소를 유도하여 비만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규명되었다.

세포배양 모델을 통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탐색 (Antiadipogenic Effect of Korean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Water Extract on 3T3-L1 Adipocytes)

  • 김미정;전현영;김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814-82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한국산 함초(Salicornia herbacea L.) 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3T3-L1 adipocytes 세포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함초 물 추출물을 농도별(125, 250, $500{\mu}g/mL$), 처리시기별(전처리, 후처리)로 처리한 결과, 함초 물 추출물을 후처리 하였을 때 지방세포의 크기와 지방축적 정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함초물 추출물 후 처리 시 $125{\mu}g/mL$ 농도에서 세포로부터의 TNF-${\alpha}$의 생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세포로부터 분비된 glycerol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물 추출물이 지방분화 유도 후 지방이 축적되는 과정에서 지방분해보다는 지방합성 과정에 관련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함초 물 추출물 후처리 시 지방축적 감소로 인해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된 leptin 및 resistin 생성은 감소하였고, 인슐린 민감성을 증가시키고 지방세포로의 에너지원 유입을 증가시키는 PPAR-${\gamma}$ 및 이로부터 발현이 유도되어 심혈관계 질환 예방에 관련된 adiponectin 생성을 증가시켜 인슐린 민감성과 관련된 당뇨병 및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가질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확한 관련 기전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함초 물 추출물의 기능성 성분을 밝히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고지방식이 비만마우스 모델에서 파키스탄산 및 중국산 마황으로 조성된 강지환(降脂丸)의 체중감량 효과 비교 (Comparison of Pakistani Ephedra Herba and Chinese Ephedra Herba Containing Gangjihwan in the Improvement Effects of Weight Loss in a High Fat Diet-Fed Obese Mice)

  • 김병출;석화준;유재상;구자룡;윤기현;조주흠;장두현;정양삼;김종훈;안예지;우상이;윤미소;신순식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3-76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s of Pakistani (DF-a) and Chinese Ephedra herba-containing Gangjihwan (DF-b) on obesity in a high fat diet-fed obese mouse model. Methods : Eight-week-old C57BL/6N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lean group given a standard diet, an obese control group given a high fat diet, and DF-a and DF-b groups given a high fat diet with DF-a (80 mg/kg), and DF-b (80 mg/kg), respectively. After 8 weeks of treatment, body weight gain, feeding efficiency ratio, blood lipid markers, fat weight and histology were examined. Results : 1. Body weight gain and fat mas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F-a and DF-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The extent of decreases was eminent in DF-a group. 2. Feeding efficiency ratio and circulating lepti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F-a and DF-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circulating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DF-a and DF-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3.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and fat mass, circulating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glucose and insulin were decreased in DF-a and DF-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4. The size of adipocytes were decreased by DF-a and DF-b compared with control, whereas the adipocyte number per unit area was increased by them, suggesting that DF-a and DF-b decreased the number of large adipocytes. 5. Consistent with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gain, liver fibrosis was reduced in DF-a and DF-b groups compared with control. Conclusions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F-a and DF-b not only decrease feeding efficiency ratio, plasma leptin concentration, and blood anti-obesity biomarkers, but also reduce fat mas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obesity. DF-a and DF-b also inhibit liver fibrosis. In addition, these effects were similar between Pakistani Ephedra herba and Chinese Ephedra herba-containing Gangji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