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on characteristic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8초

전기방사공정과 발포제를 이용한 Polycaprolactone 나노섬유 지지체 제작 (Polycaprolactone Nanofiber Mats Fabricated Using an Electrospinning Process Supplemented with a Chemical Blowing Agent)

  • 김근형;윤현;이행남;박길문
    • 폴리머
    • /
    • 제32권5호
    • /
    • pp.458-464
    • /
    • 2008
  • 생체재생용 지지체는 높은 다공구조와 적당한 기계적인 강도를 필요로 한다. 높은 다중성과 적당한 다공크기는 지지체와 주변 환경 사이에 영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셀의 지지체에 대한 초기 집착력과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polycaprolactone(PCL) 나노섬유를 화학 발포제와 전기방사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건하에서 제조하였다. PCL 용액의 농도가 8wt%, 발포제의 함량 0.5wt%, 발포온도 $100^{\circ}C$ 및 체류시간 2-3초에서 가공성 측면과 다공성 측면에서 우수한 발포된 나노섬유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세포의 성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인체피부세포를 셀 켤츄어링하여, 발포되지 않은 나노섬유와 비교하였다.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casei Strains and Their Alleviation Effects against Inflammatory Bowel Disease

  • Liu, Yang;Li, Yifeng;Yu, Xinjie;Yu, Leilei;Tian, Fengwei;Zhao, Jianxin;Zhang, Hao;Zhai, Qixiao;Chen, W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92-103
    • /
    • 2021
  • Lactobacillus casei, one of the most widely used probiotics, has been reported to alleviate multiple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this species on intestinal diseases are strain-specific. Here, we aimed to screen L. casei strain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alleviating effects based on in vitro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9 L. casei strains were determined, including gastrointestinal transit tolerance, oligosaccharide fermentation, HT-29 cell adhesion, generation time,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acetic acid production, and conjugated linoleic acid synthesis. The effects of five candidate strains on mice with induced colitis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all tested L. casei strains, only Lactobacillus casei M2S01 effectively relieved colitis. This strain recovered body weight, restored disease activity index score, and promoted anti-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Gut microbiota sequencing showed that L. casei M2S01 restored a healthy gut microbiome composition. The western blotting showed that the alleviating effects of L. casei M2S01 on IBD wer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he NF-κB pathway. A good gastrointestinal tolerance ability may be one of the prerequisites for the IBD-alleviating effects of L. casei. Our results verified the efficacy of L. casei in alleviating IBD and lay the foundation for the rapid screening of L. casei strain with IBD-alleviating effects.

자기-아핀 표면 특성을 고려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 마찰 이론 및 타이어 트레드/노면 마찰 응용 (Sliding Friction of Elastomer Composites in Contact with Rough Self-affine Surfaces: Theory and Application)

  • 윤범용;장윤진;김백환;서종환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41-153
    • /
    • 2023
  • 본 리뷰 논문에서는 일반 접촉 역학 이론과 더불어 유기탄성체 마찰에 관한 이론 및 배경을 소개한다. 특히 Greenwood & Williamson 접촉 역학 이론을 확장하여 거친 표면을 자기-아핀(self-affine) 특성으로 고려한 접촉 역학 및 마찰의 수학적 모델을 제시한 Klüppel & Heinrich 이론을 중심으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의 마찰 거동에 대해 살펴본다. 자기-아핀 특성에 의한 노면의 멀티스케일 거칠기로 인해 미끄러짐 마찰 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는 다양한 주파수에 따른 동적 변형이 가해지며 이때 재료가 나타내는 점탄성이 마찰 거동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의 비선형 점탄성을 고려하여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에서의 점탄성 거동인 마스터커브를 구축하는 원리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기탄성체 복합재료 마찰 이론을 타이어 트레드 컴파운드와 노면 간의 마찰에 응용한 실험적 결과와 그 물리적 의미를 이론과 접목하여 설명하였다.

지하 콘크리트구조물의 열화 억제에 의한 내구성 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urability Improvement by Controlling the Deterioration of Underground Concrete Structures)

  • 천병식;최춘식;정원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3-31
    • /
    • 2004
  • 일반적으로 코팅은 철근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코팅에는 무기계 뿐만 아니라 유기계 코팅이 있다. 무기계 코팅의 장점은 자외선 흡수성이 적고 불연성이라는 것이며, 반면 유기계 코형의 장점은 $CO_2, SO_2$투과성 및 물의 투수성이 낮으며, 철근 콘크리트의 보호능력은 유기계 코팅이 더 우수하다. 그러나 에폭시, 우레탄 및 아크릴과 같은 유기계 코팅은 콘크리트와의 열팽창계수와 탄성계수 차이로 인해 장기 접착강도가 저하되고, 통기성이 부족하여 형성된 막에 들뜸이 발생된다. 또한 유기계 코팅이 콘크러트의 습윤면에 적용될 경우에는 접착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해 폴리머와 세라믹을 합성시켜 개발된 코팅제의 물리 성능과 내구 성능 및 용출 안전성에 대한 시험을 하였다. 개발된 코팅계에 대하여 유기계 코팅재 및 에폭시와 비교하였으며, 시험결과 개발된 코팅재는 콘크리트를 보호하기 위한 유기계 코팅재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지 않았고, 반면 용출 안전성 측면에서는 에폭시보다 더 우수함을 보였다. 특히 물과 접해 있는 지하 콘크리트구조물을 보호하는 데에 적합하며, 무기계와 유기계 코팅재의 장점을 갖은 콘크리트 보호용 코팅재라고 판단된다.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된 지지세포의 분석 (Analysis of Stromal Cells Developed from Cord Blood CD34+ Cells)

  • 유경하;박세진;김경효;서주영;;신희영;안효섭
    • IMMUNE NETWORK
    • /
    • 제1권1호
    • /
    • pp.87-94
    • /
    • 2001
  • 목적 : 제대혈의 조혈모세포 체외확장 시 조혈세포 증폭과 더불어 조혈미세환경의 변화가 일어난다. 이때 제대혈 $CD34^+$ 세포에서 유래되는 지지세포의 계열 분석조혈성장인자 분비능력을 알아보고 지지세포 증식 조건을 확립하여 효과적인 제대혈의 체외증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대혈부터 $CD34^+$ 세포를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무혈청배지에서 각종 조혈성장인자를 다양한 조합으로 첨가하여 배양하였고 증식정도는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배양용기를 점유한 면적 비율로 계산하였다. 세포외간질 단백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ollagen S, fibronectin, laminin 및 poly-L-ly sine를 미리 coating한 용기에 배양하여 분석하였다. 제대혈 $CD34^+$ 세포를 조혈성장인자의 첨가 없이 3주간 액체배양하였다. 배양 시, 1주, 2주 및 3주에 상층액을 얻어 $-80^{\circ}C$에 보관하였다가 한꺼번에 IL-3, IL-6, GM-CSF, IL-$1{\beta}$ 및 TNF-$\alpha$등을 ELISA 방법으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량을 측정하였다. 분화된 지지세포의 계열을 분석하기 위해 E-selectin, VCAM-1, ICAM-1, PECAM-1, vWF, vimentin 및 CD 14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화학염색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제대혈 $CD34^+$ 세포 체외증폭시키는 과정에서 배양 4일에 지지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여 7-10일이 지나면서 증식하기 시작하였고 14-2 1일 경에 서로 뭉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제대혈 $CD34^+$ 세포 배양하면서 내부적으로 분비되는 GM-CSF, IL-6의 측정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제대혈 $CD34^+$ 세포 체외확장 시 지지세포의 증식 정도는 TPO+FL+SCF+LIF의 조합의 조혈성장인자가 첨가되었을 때 그리고 세포외간질 단백 성분 중 1% poly-L-lysine으로 처리한 경우 가장 효과적이었다. 결론 : 체외 증폭시 제대혈 $CD34^+$ 세포로부터 지지세포가 나타났으며 적절한 조혈성장인자의 첨가나 세포외간질 단백의 첨가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 PDF

나노베시클 표면처리 분체의 개발연구 (The Study of Nano-vesicle Coated Powder)

  • 손홍하;곽택종;김경섭;이상민;이천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51
    • /
    • 2006
  • 화장품에서 색조 화장품 분야에서 분체의 함유율이 높은 투웨이케익, 팩트, 페이스파우더와 같은 파우더류 제품은 함유되는 분체의 물성이 품질에 큰 영향 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분체의 복합화, 금속비누 처리, 아미노산처리, 실리콘처리, 불소 처리등을 통한 품질 향상을 목적으로 표면처리가 시도되어 왔다. 위와 같은 파우더류 제품중에 투웨이케익은 커버력이 가장 요구되는 제품으로서 부착성이나 퍼짐성과 같은 부가품질의 동시 구현이 다른 파우더류 제품보다 어려우며, 화장을 두껍게 느끼거나 답답하다는 사용자들의 잠재불만도 존재하는 제품군이다. 본 연구는 투웨이케익 제품의 중요품질인 부착성과 퍼짐성을 향상시키고, 친화성을 충분히 고려한 새로운 표면처리 방법으로서 피부성분과 구조를 모사하여, 스킨케어에 주로 사용하는 성분들로 나노베시클을 제조하여 그 구조를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분체를 제조하기 위해 먼저, 레시친, 세라마이드, 초산토코페롤, 부틸렌글리롤을 사용하여 고압.유화로 나노유화물을 제조하였고, 이것을 수상에 분산된 체질안료 분산액에 투입, 2가 금속염 용액을 투입한 후, 여과, 건조과정을 통해 나노베시클이 피복된 새로운 기능의 분체를 얻었다. 피복되는 공정에서는 금속염의 농도에 따라 피복량이 결정됨을 확인하였고, 피복된 파우더의 물성에서는 현재 주로 사용하는 실리콘 처리체질안료에 비해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파우더의 마찰계수가 낮았으며, 외력에 의한 부착성 평가에서도 파우더의 이탈량이 적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를 함유한 투웨이케익과 함유하지 않은 투웨이케익의 평가에서도 같은 경향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잠재적인 UV 센서를 위한 희토류 금속착물이 기능화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Rare-Earth Metal Complex-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or a Potential UV Sensor)

  • 박성수;김미라;오원태;김예담;이예은;이윤건;하강범;정도준
    • 접착 및 계면
    • /
    • 제24권4호
    • /
    • pp.136-14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원으로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사용하고 주형으로 트리블럭 공중합체(P123)를 사용하여 산성 조건에서 자기조립 방법과 수열합성 과정을 거쳐서 잘 배열된 육방체 구조의 메조세공 배열구조를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물질(Surfactant-extracted SBA-15)을 합성하였다. Surfactant-extracted SBA-15는 약 980 nm의 크기를 가지는 짧은 로드의 입자 모양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730 m2g-1와 70.8 Å이었다. 한편, 포스트-합성방법(post-synthesis method)을 이용하여 메조세공 내에 아미노실란(3-aminopropyltriethoxysilane, APTES)을 그래프팅(grafting) 하였다. 아미노실란으로 개질된 메조다공성 실리카(APTES-SBA-15)는 잘 배열된 세공구조(p6mm)를 가지고 짧은 로드의 입자모양을 잘 유지 하였다. APTES-SBA-15의 표면적과 세공 직경은 각각 350 m2g-1와 60.7 Å으로 감소하였다. APTES가 개질된 메조 다공성 실리카에 희토류 금속이온(Eu3+, Tb3+) 용액을 처리하여 메조세공 내에 희토류 금속 착물이 도입된 메조다공성 실리카 물질을 합성하였다. (Eu/APTES-SBA-15, Tb/APTES- SBA-15) 이들 물질은 λex=250 nm 광에 의해 특징적인 광발광 스펙트라를 나타내었다. (Tb/APTES-SBA-15를 위하여 5D47F5 (543.5 nm), 5D47F4 (583.5 nm), 5D47F3 (620.2 nm) 전이; Eu/APTES-SBA-15를 위하여 5D0→7F0 (577.7 nm), 5D0→7F1 (592.0 nm), 5D0→7F2 (614.9 nm), 5D07F3 (650.3 nm) and 5D07F4 (698.5 nm) 전이)

미취학 아동의 치아우식증과 식습관 및 간식섭취와의 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caries and dietary habits and snack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 강현숙;정정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45-359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and the habits of diet and snack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on the ind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5 parents of the children who visited a pediatric dent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from Jun. 15th to Sep. 26th, 2009,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Methods : A questionnaire used in a previous study was revised and completed for this study and it consisted of 15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 nine items on dietary habit, and five items on snack intake habi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findings are as follows Results : 1. The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by ages was that children of four years old has 4~5 with 27.5%, children of five years old has 2~3 and 4~5 with 33.3% and children of six years old has 1 and 8~9 with 25.6%,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chi}^2$=37.72, p<.01). 2. The frequency of brushing teeth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61.20, p<.001). 3.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51.42, p<.001). 4. The desirability of dietary hab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36.51, p<.001). 5. The frequency of taking biscu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67.74, p<.001). 6. The frequency of taking bread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29.63, p<.01). 7. The frequency of taking caramel and candy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38.85, p<.001). 8. The frequency of taking soft drink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52.92, p<.001). 9. The frequency of taking ice-cream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75.07, p<.001). Conclusions : Those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with undesirable dietary habit and higher frequency of taking snack have higher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gular brushing teeth and establishment of desirable dietary habit are very important for keeping health oral cavity.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tinuous concern and repeated learning are needed in house and group of rearing infants so that the children take foods of fruits which have function of self-purification than the food of carbohydrates which has high adhesion and level of sweetness.

제니핀을 첨가한 아교의 접착 특성과 물성 변화 연구 (A Study on Adhesion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ies of Animal Glue Added Genipin)

  • 이준호;유지아;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7-1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아교의 접착 특성 향상을 위해 가교제(Cross-linking Agent)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젤라틴 결합력을 증대하였다. 제니핀 첨가 아교는 물성 측정, 구조 분석, 색잔류도, 용출도, 파단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수분과 자외선에 대한 내수성과 내광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겔강도와 점도는 제니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구조분석 결과, 젤라틴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콜라겐의 3중 구조의 흡수 피크가 관찰되었다. 색잔류도 결과, 명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피막이 관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용출량은 $50^{\circ}C$ 증류수에서 제니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용출된 아교 양이 증가하였고 파단강도는 제니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내수성과 내광성은 제니핀 첨가에 따른 열화 전 후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니핀 첨가 아교의 접착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교에 적용 가능한 실험 방법을 고찰하였다. 제니핀을 첨가한 후에도 아교 고유의 특성인 유연성, 재용해성, 접착력, 경화속도가 사라지지 않고 향상되기 때문에 균질한 아교가 확보된다면 문화재 보존 및 아교 제작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Effects of Differential Distribution of Microvessel Density, Possibly Regulated by miR-374a, on Breast Cancer Prognosis

  • Li, Jian-Yi;Zhang, Yang;Zhang, Wen-Hai;Jia, Shi;Kang, Ye;Tian, R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715-1720
    • /
    • 2013
  • Background: The discovery that microRNAs (miRNAs) regulate prolife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provides a principal molecular basis of tumor heterogeneity. Microvessel distribution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olid tumors, with significant hypoxia occurring in the center of tumors with low blood flow. The distribution of miR-374a in breast tumors was examined as a factor likely to be important in breast cancer progression. Methods: Breast tissue samples from 40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 highly invasive and metastatic group (HIMG) and a low-invasive and metastatic Group (LIM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enter and edge of each tumor. In each group, six specimens were examined by microRNA array, and the remaining 14 specimens were used for real-time RT-qPCR, Western blot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miRNAs and target proteins. Follow-up was carried out during 28 months to 68 months after surgery, and survival data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LIMG, the relative content of miR-374a was lower in the center of the tumor than at its edge; in the HIMG, it was lower at the edge of the tumor, and miR-374a levels were lower in breast cancer tissues than in normal tissu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VEGF-A and VCAM-1 mRNA levels at the edge and center of the tumor; however, we observ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GF-A and VCAM-1 protein expression levels in these two region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iR-374a and target protein levels. The microvessel density (MVD) was lower in the center of the tumor than at its edge in HIMG, but the LIMG vessels were uniformly distribut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VD and the number of lymph node metastases (Pearson correlation, r=0.912, P<0.01).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48.5 months. LIMG had higher rate of disease-free survival (100%, P=0.013) and longer median survival time (66 months) than HIMG, which had a lower rate of 75% and shorter median survival time (54 months). Conclusions: Our data demonstrated miR-374a to be differentially distributed in breast cancer; VEGF-A and VCAM-1 mRNA had coincident distribution, and the distribution of teh respective proteins was uneven and opposite to that for the miR-374a. These data might explain th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MVD in breast cancer and variation in breast cancer pro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