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한 루페올의 포도당 흡수촉진 효과 (Facilitation of Glucose Uptake by Lupeol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PI3K/AKT and AMPK Dependent Pathways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6-93
    • /
    • 2022
  • Lupeol은 pentacyclic triterpene의 일종으로 다양한 질병에 약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lupeol이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에 대한 lupeol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Lupeol은 3T3-L1 지방세포에서 GLUT4를 원형질막으로 이동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였으며, 이는 PI3K/AKT 및 AMPK 경로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PI3K/AKT 경로에서 lupeol은 PI3K를 활성화시키는 insulin receptor substrate 1의 인산화와 AKT의 인산화를 촉진하지만 비정형 단백질 키나아제 C isoforms ζ 및 λ의 인산화는 촉진하지 않았다. 반면, lupeol은 5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촉진하였고, Lupeol의 의한 AMPK의 활성화는 원형질막-GLUT4의 발현과 세포내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T3-L1 지방세포에서 lupeol에 의한 포도당 흡수 효과는 PI3K 억제제인 wortmannin 및 AMPK 억제제인 Compound C에 의해 억제됨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lupeol이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KT 및 AMPK 경로를 통해 원형질막 GLUT4의 발현을 자극함으로써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포도당 흡수를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자하거약침액과 산삼약침액의 C2C12 근아세포에서의 AMPK/SIRT1 신호전달을 통한 근 분화 유도 및 에너지 대사 증진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Extracts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n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through Regulation of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 황지혜;정효원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0-6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 (Jahage, J) and wild ginseng (SanSam, S) pharmacopuncture drugs on muscle differentiation and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in C2C12 myotubes. Methods: The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for 5 days by replacing in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and then treated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24 hr.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and energy metabolism-regulating factors, myosin heavy chain (MHC),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 and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 alpha (PGC-1α) were determined in C2C12 myotubes by western blot.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including sirtuin 1 (SIRT1) were determined in the myotubes. Results: As a result, treatment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0.1 and 1 mg/mL increased the MHC expression in C2C12 myotubes compared with non-treated cells, but only S pharmacopuncture was shown a significant and distinct increase in the expression. Expression of TFAM and NRF-1 was also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S and J pharmacopuncture in C2C12 myotubes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PGC-1α and SIRT1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S and J pharmacopuncture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effect of low-dose of J pharmacopuncture on the phosphorylat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PGC-1α expression was greater than that of S pharmacopuncture. Conclusions: In conclusion, both J and S pharmacopuncture promote muscle differentiation in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and energy metabolism through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This indicates that the pharmacopuncture with tonic herbal medicines can help to improve skeletal muscle function.

New Evidence of Alleles (V199I and G52S) at the PRKAG3 (RN) Locus Affecting Pork Meat Quality

  • Chen, J.F.;Dai, L.H.;Peng, J.;Li, J.L.;Zheng, R.;Zuo, B.;Li, F.E.;Liu, M.;Yue, K.;Lei, M.G.;Xiong, Y.Z.;Deng, C.Y.;Jiang, S.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4호
    • /
    • pp.471-477
    • /
    • 2008
  • The porcine PRKAG3 (RN) gene encodes the regulatory gamma subunit of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which is a good candidate gene affecting meat quality.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wo missense mutations A595G (Ile199Val) and G154A (Gly52Ser) in porcine PRKAG3 gene on meat quality traits were studied in M. Longissimus dorsi (LD), M. Semispinalis capitis (SC) and M. Biceps femoris (BF) from different populations of 326 pigs. The PRKAG3 alleles 199I, 199IV, 52S and 52G were identified with PCR-RFLPs and all genotypes - 199I/199I, 199I/199V, 199V/199V, 52S/52S, 52S/52G and 52G/52G - were found. The frequency of V allele was larger than that of I allele in all populations. I allele frequency was zero in Chinese Meishan pigs (population D) especially. G allele frequency was larger than that of S allele in all populations except Large White (population A). Both variations at the PRKAG3 locus significantly affected these meat quality traits. The pork meat quality has not previously been established in Meishan or crosses thereof. The results suggested that generally pH of LD, SC and BF was higher in Meishan pigs than that in other populations. Moreover, Meishan pigs showed higher water-holding capacity and intramuscular fat (IMF), lower water content and water loss percentage compared to other populations in terms of the two variations. The results present here supply new evidence that alleles V199I and G52S at the PRKAG3 locus affect pork meat quality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ork production.

1-Deoxynojirimycin Isolated from a Bacillus subtilis Stimulates Adiponectin and GLUT4 Expressions in 3T3-L1 Adipocytes

  • Lee, Seung-Min;Do, Hyun Ju;Shin, Min-Jeong;Seong, Su-Il;Hwang, Kyo Yeol;Lee, Jae Yeon;Kwon, Ohsuk;Jin, Taewon;Chung, Ji H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37-643
    • /
    • 2013
  • We have demonstrated that 1-deoxynojirimycin (DNJ) isolated from Bacillus subtilis MORI could enhance the levels of adiponectin and its receptors in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which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and enhancing insulin sensitivity. DNJ was not toxic to differentiated 3T3-L1 adipocytes for up to a concentration of $5{\mu}M$. In terms of expression levels of adiponectin and its receptors (AdipoR1 and AdipoR2), DNJ in concentrations as low as $0.5{\mu}M$ elevated both mRNA and protein levels of adiponectin and transcript levels of AdipoR1 and AdipoR2. In addition, DNJ increased phosphorylation of 5'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Finally, treatment with DNJ resulted in increased mRNA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4 (GLUT4), which encodes for a glucose transporter, along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glucose uptake into the adipocytes based on results of a 2-deoxy-D-[$^3H$] glucose uptake assay. Our findings indicate that DNJ may greatly facilitate glucose uptake into adipose tissues by increasing the action of adiponectin via its up-regulated expression as well as its receptor genes. In addition, the glucose-lowering effects of DNJ may be achieved by an increased abundance of GLUT4 protein in the plasma membrane, as a consequence of the increased transcript levels of the GLUT4 gene and the activation of AMPK.

왕느릅나무 추출물에 의한 설치류 혈중지질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 (Study of in Vivo Serum Lipid Regulation with Ulmus macrocarpa Hance Extract in Rats)

  • 황미선;김태희;이정준;권중기;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2-549
    • /
    • 2020
  • 이전 연구에서 Ulmus macrocarpa Hance의 열수추출물(UME)이 고지질혈증 상태에서 지질대사를 향상시켰으며, AMPK 경로를 통한 지질합성 억제에 관해 제안된 바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UME가 혈청 지질 수치를 어떻게 조절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확장하기 위해 간과 말초 조직 사이의 관련 지질 대사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고지질혈증 유발 설치류에서 6주 동안 UME를 경구 투여한 후 혈청 중 트리글리세라이드(TG)와 총콜레스테롤(TC) 수치가 감소했고, 혈청 HDL콜레스테롤 수치는 증가했다. 간 분석에서도 UME 처리시 대조군에 비해 TG와 TC 함량은 감소하였다. 단, UME에 의한 AMPK 경로 조절은 간의 지방생성 억제를 통해 고지질혈증 상태를 부분적으로 개선하였다. 실제로, UME에 의한 간지질 함량 감소는 훨씬 적은 반면, 아포리포프로틴 B (apoB)와 아포리포프로틴 A (apoA)의 혈청 농도는 UME 투여에 의해 정상 그룹 정도의 수치로 돌아왔다. 이것은 간지방생성의 억제만으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UME 투여의 효과는 지질산화의 개시 자극과 간 지질합성의 억제 모두를 통해 혈청 지질 수치를 조절함으로써 혈액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기니피그 기도 평활근의 비아드레날린성 비꼴린성 반응에 관한 연구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Responses of Gu mea- Pig Tracheal Smooth Muscle)

  • 조은용;최형호;전제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5호
    • /
    • pp.487-494
    • /
    • 1996
  • 기도평활근을 전장 자극하면 콜린성 수축에 이은 느리고도 지속적 인 이완성 반응이 유발된다. 지속적 인 이완성 반응은 억제성인 비아드레날린성 비콜린성 신경 섬유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물질에 대해서는 아직도 실험한 동물 및 사용 조직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은 기 니피그 기도 평 활근에서 전장 자극을 주어 이완성 반응에 관여 하는 인자 및 그 작용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장 자극으로 유발된 이완성 반응은 L-NAME에 의 해서 억제되 었으며 L-arginine에 의 해서 부분적으로 회복되 었다. 또한 L-WAME은 기초장력을 증가시켰 다. Hitroprusside는 윤상근의 기초 장력을 완전히 억제하였으며, methylene blue는 전장 자극으로 유발 된 이완성 반응을 억제함과 동시에 기초장력을 증가시켰다 Forskolin과 isoprenaline는 nitroprusside와 똑같이 기도 평활근의 기초 장력을 크게 억제하였다. TEA와 apamin은 기도 평활근 기초 장력 및 전장 자극으로 유발된 이완성 반응을 모두증가시켰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보아 기니피그 기도 평활근 비교 감성 비콜린성 신경 섬\ulcorner 말단에서는 K' 통로와 관련하여 WO가 분비되며 이외에도 CAMP를 매개로 하는다른억제성 신경 전달물질(ex. WP,만Tl)이 분비되리라사료된다.

  • PDF

녹차씨 압착박 열수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Anti-adipogenic Effects of the Water Extracts of Defatted Green Tea Seed Cake)

  • 위지향;성혜미;정경옥;김숙정;신유림;박주현;김종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525-533
    • /
    • 2015
  • 본 연구는 녹차씨 압착박의 활용성을 증가해 보고자 녹차씨를 압착한 후 남은 박을 추출하여 총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확인하고 3T3-L1 세포에서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관련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에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녹차와도 비교하였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과 녹차 추출물의 페놀, 조사포닌, 카테킨, 나린게닌 함량을 비교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나린게닌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3T3-L1 세포에서 Oil Red O 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저해 정도 및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지방 축적저해 및 중성지방의 함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녹차씨 압착박이 지방합성 및 에너지 조절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백질 발현 실험을 실시한 결과, 녹차 또는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 의해서 AMPK 및 ACC의 인산화 증가 및 FAS의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효능은 녹차 추출물보다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녹차씨 압착박 추출물이 녹차 추출물 보다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이 확인되어져, 녹차씨는 추후 체지방 감소 효능을 갖는 식품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에탄올에 의하여 유도된 마우스 췌장 선포세포의 염증성 손상에서 췌장분비 효소의 활성 및 세포 재생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EGCG의 영향 (Effects of (-)-Epigallocatechin-3-gallate on the Release of Pancreatic Enzymes and Expression of Regenerating Genes in Ethanol-injured Murine Pancreatic Primary Acinar Cells)

  • 김성옥;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404-140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췌장의 선포세포(primary acinar cell)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손상에 미치는 녹차의 생리활성 물질인 EGCG의 효과를 췌장분비 효소의 활성과 선포세포에서의 기능 회복 관련 마크로 알려진 유전자들(AMPK, RKIP 및 Reg1)의 발현 조절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이 처리된 세포에서는 ${\alpha}$-amylase와 chymotrypsin의 활성이 증가되었지만, EGCG 처리에 의하여 그들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생존 및 보호와 관련 있는 AMPK 인산화 수준은 에탄올 단독 처리시 그 발현이 감소하였지만, EGCG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세포 사멸과 세포독성 조절과 연관이 있는 RKIP 또한 그 발현 경향이 AMPK인산화 변화의 정도와 유사하였다. 또한 베타세포 재생에 관여하는 Reg1 발현은 에탄올이 처리된 선포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경우 그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항산화성 폴리페놀인 EGCG는 알코올성 췌장염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나 당뇨병 예방과 회복에 치료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from Soybean on Mouse Fed a High Fat Diet)

  • 박영미;임재환;서을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8-177
    • /
    • 2015
  • 본 연구는 대두 부산물인 순물과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지방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침지수가 포함된 일반 사료를 섭이한 실험군의 체중 및 간과 부고환 지방 조직 내 지방 축적은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부 내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도 크게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는 체내 축적된 지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침지수 식이군의 혈중 AST와 ALT의 활성은 대조군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과 중성 지질 농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침지수가 고지방 식이로 인한 혈중 효소 활성과 지질농도를 개선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침지수는 metabolic sensor 단백질인 AMPK와 ACC의 인산화를 촉진시켜 체내 지방산 산화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침지수는 복부 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대두 부산물 중 침지수는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혈중 지질 함량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체내 조직의 지방 축적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지방산으로 지방축적을 유도한 HepG2 cells 대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개선 효과 (Cudrania tricuspidata Fruit Extract Ameliorates Free Fatty Acid-induced Lipid Accumulation in HepG2 Cells)

  • 이효정;박세은;김승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0호
    • /
    • pp.1144-1151
    • /
    • 2019
  •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만성 간 질환으로 비만, 고혈압, 비만, 이상지질혈증과 같은 다양한 대사증후군과 연관되어 있다. 꾸지뽕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국가에서 다양한 질병에 사용되는 약용작물로 본 연구에서는 유리지방산에 의해 지방축적이 유도된 세포 내에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와 기전을 규명하였다. 꾸지뽕 열매 추출물은 지방 축적 및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생성 및 HMG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지방생성과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 FAS, SCD-1, SREBP-2의 발현을 억제 하였으며 AMPK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꾸지뽕 열매 추출물이 유리지방산에 의해 유도된 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AMPK/SREBP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여 억제 활성을 나타냄을 밝히며,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천연물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