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ual vegetation map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9초

송전선로 건설에 따른 산림훼손의 최소화 관리방안 (Strategies for Minimizing Forest Disturban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Power Transmission Towers)

  • 이동근;강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6-7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inimize the forest disturbance around an entry road of a power transmission tower construction site between Taean and Sinsesan, Chungnam. The main study field was classified into existing materials and a GIS, remote sensing analysis, and a field examination. This information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suitable entry road using a degree of green naturality map, eco-naturality map, actual vegetation map, and a forest state map as the existing materials. Also, the study used a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ltitude and slope map in order to make the evaluation materials which used an remote sensing image, and GIS. This data was used to choose an optimum area, and diagnosed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vegetation with a field survey of the area. It analyzed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diversity, the age of trees in a field examination. Subsequently, we proposed four area typ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preservation area, transplantation area, restoration area and development area. As a result, the preservation area was categorized into 8 grad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large area of breast diameter at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petition area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p. and Quercus spp. community of over 20 years old. A transplantation area established 46 optimum areas according to the GIS analysis and vegetation investigation results. Vegetation restoration plan for disturbance area should be made based on ecological value of existing vegetation to worthwhile area as Quercus spp. mixing forest proposed. The development area selected a ecological worthless place as an artificial forest where Pinus densiflora and Pinus thunbergii growth is poor. This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restoration of vegetation will be possible in the real world. Also, ecological restoration guidelines will be made through building and analyzing data base and routine monitoring of transplantation and restoration area.

序毛島의 植生 (The Vegetation of Seogno Island)

  • Kil, Bong-Seop;Jeong-Un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7권4호
    • /
    • pp.208-232
    • /
    • 1984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vegetation of Seogmo island, which is small island (ca. 41 okm2) located about 1km west of Kanghwa island in the central Korea, from Aug. 1983 to May 1984. Based on the field data, actual vegetation map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map were made. The island is covered with broad-leaved trees dominated with Quercus variabilis. The dominance diversity curves obtaiend in different associations are grouped in two types, lognormal distribution forms at the undisturbed vegetation and geometric series at the disturbed or rocky sites. It seems that the curves show to us the nature of their ecocline by the hypothesis of some investigators, i.e. Random niche boundary hypothesis, niche preemption hypothesis, lognormal distribution and logarithmic series. Total numbers of vascular plant species of the island were recorded 108 families, 348 genera, 475 species, 73 variaties and 7 forma. And Pte.-Q Index, 0.93, and Fisher's Index, 589.8, were higher than those in neighboring islands.

  • PDF

National Database,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species based on the phytosociological Information

  • Kim, Jong-Won;Lee, Eun-Jin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7년도 제18회 생물과학 심포지움 강연록
    • /
    • pp.42-57
    • /
    • 1997
  • The multicriterion matrix technique (MM-technique) was proposed for a method of monitoring and assessment about vegetation naturalness. Four criteria and 10 subcriteria were selected and two evaluation indices such as VN-value and VN-class were used. The criteria were characterized by syntaxonomical informations of hemeroby concept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hierarchical system between criteria, and ordinal scale of VN-values. VN-values were classified into 11 ordinal levels and condensed to five VN-classes for facilitating practical use. A vegetation map of naturalness described by combination o( two indices was proposed as an alternative resolution of the DGN map. We also discuss the organization of the map content which is a matter of grid size (unit-area). In the case study, a grid size proper to show a full account of real information of actual vegetation is less 250-grid (250 $\times$ 250 $m^2$) in a medium size of city area containing relatively fragmented ecosystems. In conclusion, it was recognized that this new assessment technique was useful and vegetation assessment was accomplished with the smaller grid size in Korea.

  • PDF

多島海 海上國立公園內의 常錄闊葉樹林에 對한 植物社會學的 硏究 ( 4 ) - 外羅老島의 植生을 中心으로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IV) -The Vegetation of Oinarodo Island-)

  • Kim, Chul-Soo;Jang-Geun O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1호
    • /
    • pp.49-61
    • /
    • 1991
  • Phytosociological invesstigation of the forest vegetation was carried out in Oinrodo island at the period from June 5th 1990 to June 10th 1990 by Braun-Blanquet's method.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sbergii, Neolitsea sericea, Quercus glauca-Actinodaphne lancifolia, Pinus thunbergii,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Carpinus coreana community.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0 scale.

  • PDF

울산 무제치 습원의 식생: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 (Vegetation of Mujechi Moor in Ulsan: Actual Vegetation Map and Alnus japonica Population)

  • 김종원;김중훈;제갈재철;이율경;최기룡;안경환;한승욱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99-103
    • /
    • 2005
  • 중간습원 무제치 습원의 현존식생도와 오리나무 개체군의 공간적 분포양식을 규명하였으며,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정보를 발굴하였다. 자늪과 웅늪의 1:100 실측지형도 상에서 총3,036개의 격자(5m $\times$ 5m)를 이용하여 1996년 상세 현장조사가 이루어졌다. 현존식생도는 쇠털골형, 진퍼리새형, 오리나무형, 억새형, 삼림형 그리고 개방나지 등의 6 가지 식생범례로 제작되었으며, 습원 고유의 진퍼리새형과 비고유의 억새형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었다. 오리나무 1,491개체에 대한 매목조사와 티센망도(thiessen polygons) 분석으로부터 오리나무 개체군의 발달은 습원의 훼손(토사 및 산화 등)으로부터 매우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웅늪은 자늪에 비하여 보다 온전한 구조로 유지되고 있는 중간습원으로 평가되었으나, 자늪과 웅늪 모두 다년생 목본 식물종에 의한 산지 참나무림과 오리나무 우점의 산지 습생림의 발달에 의한 진퍼리새군강으로 대표되는 중간습원의 입지환경 변화와 그 소멸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었다. 결국 진퍼리새군강의 중간습원 보존은 임도와 산불에 따른 토양의 부영양화에 대한 응급조치가 필요함이 지적되었다.

海南半島의 常綠樹林의 種組成과 分布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f Evergreen Forest in Haenam Peninsula , Korea)

  • Kim, Chul-Soo;Oh, Jang-Geu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243-255
    • /
    • 1991
  • The vegetation of haenam peninsula(126 30e.l. and 34 30n.l ) was investigated from July, 1990 to 1991. the units of vegetatin were classified by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of broun- blanquet's.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sasa borealis-quercus acuta, cinnamomum japonicum, camellia japonica, rhododendron mucronulatum-pin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 community, torreya nucifera, chamaecyparis obtusa afforestatio, and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drawn in 1 : 50,00 scaie.

  • PDF

가사도 폐염전의 식생 현황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of Abandoned Salt field in Gasado)

  • 김하송;임병선;이점숙;박송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2
    • /
    • 2003
  • 본 조사는 2002년 7월부터 9월까지 진도군 가사도에서 도서연안 폐염전의 식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Braun-Blanquet and Elenberg의 방법에 따라 21개의 방형구(1${\times}$1m, 1${\times}$2m)를 설치하여 생태학적 조사하였다. 조사된 폐염전의 관속식물은 17과 48종이며, 이중에서 염생식물은 20종(42%), 중성식물은 28종 (58%)이 나타났다. 또한 폐염전에서 서식지의 교란은 염생식물의 교란으로 나타났으며, 이 지역에서 귀화식물은 오리새, 달맞이꽃, 망초, 코스모스 등의 23종이 분포하고, 이중에서 중성식물이 20종(71%) 분포하고 있었다. 식생군락은 염생식물 초지군락은 갯질경군락, 갯개미자리군락, 칠면초군락, 습지 초지군락은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가는잎모새달군락, 중성 초지군락은 실망초군락과 갯당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들의 폐염전에서 식생의 구조, 분포, 변화에 대해서 설명하고, 식생표와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매물도${\cdot}$소매물도${\cdot}$어유도의 식생 (The Vegetation of Maemul, Somaemul and Eoyu Islets)

  • 김인택;이지훈;진영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3호
    • /
    • pp.217-221
    • /
    • 2000
  • 본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위치하고 있는 섬으로 매물도, 소매물도, 어유도로 구성된다. 본 조사는 1996년 9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수회에 걸쳐 식생을 조사하여 현존식생도와 군락조성표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지역의 식생은 동백나무군락(전형하위군락, 후박나무하위군락, 메밀잣밤나무하위군락, 쥐똥나무하위군락, 소사나무하위군락, 부처손하위군락, 곰솔하위군락), 곰솔군락, 사방오리식재림, 억새군락 등 1개의 식재림을 포함한 총 4개군락과 7개 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본 조사지역인 어유도 북서사면의 동백나무군락, 동서사면의 부처손군락, 매물도의 정상부와 해안암벽부분, 소매물도의 해안암벽부분은 식생 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다. 어유도의 정상부와 소매물도의 정상부는 염소의 방목으로 인한 답압형의 식생이 분포하고, 소매물도의 마을 뒷편의 능선부는 산화로 인해 식생이 많이 파괴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보존이 양호한 편이다.

  • PDF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의 산림식생구조 (Forest Vegetation Structur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Forests(Seokjangri-dong))

  • 김호진;송주현;이정은;윤이슬;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3-588
    • /
    • 2020
  •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학술림(석장리동 일대)을 대상으로 효율적인 경영과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였다. 2019년 8월에 식물사회학적으로 식생조사를 하였으며, 60개소의 방형구를 설정하여 상관식생유형분류와 중요치를 분석하고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식생유형분류 결과, 상수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평균상대중요치는 상수리나무군락에서 상수리나무 31.4%, 벚나무류 9.6%, 굴참나무 9.0%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나무군락은 소나무 24.9%, 상수리나무 12.4%, 졸참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 25.3%, 벚나무류 9.8%, 상수리나무 8.5% 순으로 나타났으며, 리기다소나무군락은 리기다소나무 28.4%, 상수리나무 10.0%, 소나무 9.3% 순으로 나타났고, 졸참나무군락은 졸참나무 27.0%, 갈참나무 11.8%, 때죽나무 11.5% 순으로 나타났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층 우점종에 의해 현존식생도를 작성한 결과, 자연식생이 8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현존식생은 87개의 패치로 구분되었고, 패치당 평균면적은 1.46ha로 나타났다.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 분포현황 및 천이 연구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김현숙;이상명;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7-46
    • /
    • 2011
  •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산림 식생을 상관조사와 현지식생조사를 토대로 덕유산국립공원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은 4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조사지역 전체의 산림 식생 중에서 신갈나무림이 39.08%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다음으로 굴참나무림, 소나무림, 들메나무림의 순으로 차지하여 덕유산국립공원은 타 국립공원의 산림과 비교할 때 들메나무림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덕유산국립공원 식생을 환경구배에 따라 구분하면 낙엽활엽수림(참나무류림, 계곡림), 침엽수림(소나무림), 아고산림(주목림, 구상나무림, 철쭉관목림, 초원) 등 7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굴참나무는 어린 개체와 중간 개체의 밀도가 높고 졸참나무, 서어나무는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아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 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어린개체의 밀도가 높은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물박달나무, 층층나무, 거제수나무, 구상나무, 주목은 어린개체와 큰개체의 밀도는 낮고 중간개체의 밀도가 높은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