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oustical compariso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4초

음원의 위치에 따른 중${\cdot}$고등학교 교실의 음성명료도 비교 (Comparison of Speech Intelligibility depending on the Sound Source Location in the Classrooms of Middle and High Schools)

  • 이환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487-490
    • /
    • 2002
  • 학교 교육의 특성상 많은 부분이 교실에서의 음성정보 전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청취환경의 개선이 검토되어야 한다. 또한 중${\cdot}$ 고등학교의 수학능력시험의 국어, 영어 듣기평가 및 다양한 어학 시험이 시청각 시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교실의 음환경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음환경을 좌우하는 음원의 위치에 따라 명료 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 명료도가 높고, 교실 전체에 균등한 분포를 보이는 음원의 위치를 찾아내고자 하였다. 교실 내의 음원의 위치로는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column(벽면 노출형)과 ceiling(천정 매입형) 위치와 임의의 음원 cluster(전면 중앙)를 선정하여 음장 파라메터를 측정한 결과 RASTI 는 세 타입 모두 $0.54\~0.55$로 값으로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잔향시간은 ceiling>cluster>column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잔향과 명료도와의 관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험 결과 잔향시간이 1.33초로 가장 긴 column 스피커의 경우 D50 값이 약 $47\%$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column형 스피커의 경우 음원과 각 학생의 위치에 대한 평균 직접음선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중치 분포 특성을 이용한 Eigenvoice 기반 고속화자적응 (Rapid Speaker Adaptation Based on Eigenvoice Using Weight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 박종세;김형순;송화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03-407
    • /
    • 2003
  • 최근 고속화자적응 기법으로 eigenvoice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Eigenvoice 적응방식에서도 적응화자의 적응 데이터가 매우 적은 경우에는 적절한 가중치의 추정이 어렵기 때문에 적응 데이터가 어느 정도 많은 경우에 비해 인식성능 향상이 크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 데이터가 적을 때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eigenvoice의 가중치 분포 특성을 이용한 eigenvoice 기반 고속화자적응을 제안한다. PBW 452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 어휘독립 단어인식 실험 결과에서 가중치 문턱치(threshold) 적용 방식을 사용하여 적응 데이터가 매우 적은 경우의 상대적인 성능 저조 문제를 완화시켰다. 적응단어를 단 1개만 사용한 경우 가중치 문턱치 적용 방식을 사용하여 단어 오인식률을 9-18% 정도 감소시켰다.

중주파수 양상태 잔향음 모델 (Mid-Frequency Bistatic Reverberation Model)

  • 오택환;나정열;박치형;라형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389-394
    • /
    • 2006
  • 중주파수 양상태 잔향음 준위는 음선이론을 사용하여 산출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음파전달 경로 내 전방/후방 산란의 상호작용을 가정한다. 해양환경 (지형. 해저면 산란, 해수면 산란 등)은 거리 독립 해양환경으로 가정되었고 중주 파수 산란 모델이 사용되었다. 해상실험 자료를 사용한 알고리즘 검증 결과 양상태 잔향음 모델 알고리즘이 관측 해역의 양상태 잔향음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조물 손상 탐지를 위한 두께 방향 모드 압전 오실레이터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a Thickness Mode Piezoelectric Oscillator Sensor to Detect Damages in a Structure)

  • 김동영;노용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5-101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의 손상탐지를 위한 두께 방향 모드 압전 오실레이터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두께 방향 모드 오실레이터 센서는 구조물의 주요부에 부착된 두께 방향 모드 압전소자와 피드백 오실레이터 회로로 구성되어있다. 구조물의 손상은 구조물의 임피던스를 변화를 야기시키며, 그 결과로 구조물의 공진 주파수가 변하게 된다. 오실레이터 센서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 공진 주파수 변화를 연속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시편에 크랙의 크기와 개수를 인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FEM해석과 실험을 통해 두께 방향 모드 압전 오실레이터 센서의 적용 가능성을 증명 하였다.

학교 교실의 음환경 기준에 따른 실내마감 방안 (Interior surface treatment guidelines for classrooms according to the acoustical performance criteria)

  • 류다정;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92-101
    • /
    • 2016
  • 교실 음환경은 학생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학습효과와 학업 성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교실의 신축이나 리모델링 시에 가이드라인 및 설계방안이 제시된 바 없어 적절한 음환경을 실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수식과 현장실험을 통하여 교실의 음환경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다양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중 고등학교의 교실에서 실내음향성능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흡음면적을 계산하였다. 또한 교실의 천장 및 뒷벽의 다양한 마감상태에 따른 실내음향성능을 알아보고자 현장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교실 천장에 현재 거의 모든 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것처럼 천정흡음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잔향시간 기준인 0.8 s를 만족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천장 일부 면적에 반사재를 적용하되 면적의 비율이 흡음 2 : 반사 1이면서 가로로 구획하는 것이 음압레벨을 향상시키며 전체가 흡음인 경우와 비슷한 명료도[$C_{50}$, $D_{50}$, RASTI(Rapid Speech Transmission Index)]를 확보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과 청감실험을 통한 공연장 형태별 음향성능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acoustical performance of auditoria by shapes using acoustic simulation and listening tests)

  • 강찬우;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9-202
    • /
    • 2023
  • 본연구에서는 홀의 건축형태에 따른 음향성능을 분석하였다. 홀에는 4가지 건축 형태가 있다. 장방형, 말발굽형, 서라운드형(Surround), 부채꼴형이다. 음향성능을 분석하는데 RT60, EDT, C80, BQI, LF, Gmid, G125, ITDG 총 8개의 음향인자를 사용하였으며 건축형태에 따른 음향성능을 연구하기 위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사용하였다. 첫째 전세계 유명 콘서트홀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로 조사한 홀의 주관적 선호도와 측정된 음향 인자 사이의 관계를 회귀 분석해 상관계수 R을 얻었으며 각 공연장 형태별 음향인자 측정데이터 평균을 구하였다. 각각의 음향 인자에 대한 가중치로 상관계수 R을 사용해 각 형태별 음향 성능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장방형 홀과 말밥굽형 홀이 좋은 음향 성능을 보였으나 부채꼴형 홀의 음향성능은 좋지 않았다. 둘째, 각 건축형태별 3D 모델을 만들어 음향 시뮬레이션을 수행했다. 동일한 체적과 흡음계수를 가지는 장방형, 말밥굽형, 서라운드형, 부채꼴형 3D 모델을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음향인자 값을 산출하였다. 또한 형태별 3D 모델의 임펄스 응답을 사용해 가청화 시제를 만들어 청감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장방형 홀과 말굽 홀이 가장 좋은 음향성능을 나타냈으며 서라운드형과 부채꼴형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음향성능을 나타내었다.

교통소음의 모노럴과 바이노럴 청감 비교 연구 I: 측정 및 분석 (Comparison of Human Responses to Transportation Noise in Monaural and Binaural Hearing, Part I: Measurement and Analysis)

  • 김재환;임창우;정원태;홍지영;정완섭;이수갑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2호
    • /
    • pp.1268-1278
    • /
    • 2004
  • Measurement of noise is not only to know the information of acoustic pressure but to assess human response to noise. To find human response to transportation noise through the laboratory study we have to measure and reproduce noise. The method of noise reprodu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monaural and binaural techniques. But human fundamentally hears sound through both ears, referred as binaural hearing. Binaural signal is different from monaural signal because it includes more information of physical phenomena like acoustical reflection, diffraction and refraction. Especially head and pinna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ceiving change of signal origin. So, the amplitude of binaural signal is higher than that of monaural signal and spectrum of both signals is discriminated. Most of assessment and regulation of transportation noise are, however, based on monaural measurement techniques. The quantitative difference between monaural and binaural measurement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Comparison on several transportation noisesshows defect of information in monaural measurements.

한국인과 미국인의 초성 및 초성 /s/ 다음에 오는 영어 파열음 음향 분석 (An Acoustical Analysis of English Stops at the Initial and After-initial-/s/ Positions by Korean and American Speakers)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3호
    • /
    • pp.11-2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oustic parameters of English stop consonants at the initial and after-initial-/s/ positions in a message produced by 47 Korean and American speakers in order to provide better pronunciation skills of English stops for Korean learners. A Praat script was developed to obtain voice onset time (VOT), maximum consonant intensity (maxCi), and rate of rise (ROR) from six target words with stops at the positions in the message. Results show that VOT and maxCi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language groups while ROR wasn't. The Korean speakers generally produced the stop consonants with longer VOTs and higher consonant intensity. From the comparison of consonant groups at the two different positions, the Korean participants did not distinguish them as clearly as the American participants did at the after-initial-/s/ position. Finally a comparison of each language and sex group revealed that the major difference was attributed to stop consonants in the after-/s/ position. The author concluded that Korean speakers should be careful not to produce all the stops with longer VOTs and higher intensity.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to examine how Americans evaluate Korean speakers' English proficiency with modified acoustic values of English stops.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지각 모음공간과 발화 모음공간의 연계 (A Link between Perceived and Produced Vowel Spaces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3호
    • /
    • pp.81-89
    • /
    • 2014
  • Korean English learners tend to have difficulty perceiving and producing English vow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link between perceived and produced vowel spaces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Sixteen Korea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perceived two sets of English synthetic vowels on a computer monitor and rated their naturalness. The same participants produced English vowels in a carrier sentence with high and low pitch variation in a clear speaking mode. The author compared the perceived and produced vowel spaces in terms of the pitch and gender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vowel spac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ither variables. Korean learners perceived the vowels similarly. They did not differentiate the tense-lax vowel pairs nor the low vowels. Secondly, the produced vowel spaces of the male and female groups showed a 25% difference which may have come from their physiological differences in the vocal tract length. Thirdly, the comparison of the perceived and produced vowel spaces revealed that although the vowel space patterns of the Korean male and female learners appeared similar, which may lead to a relative link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statistical differences existed in some vowels because of the acoust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vowels, which may lead to an independent link. The author concluded that any comparison between the perceived and produced vowel space of nonnative speakers should be made cautiously.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to examine how Koreans would perceive different sets of synthetic vowels.

완충구조에 의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Floor Impact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Apartments depending on the Damping Materials)

  • 기노갑;송민정;김선우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9-82
    • /
    • 2005
  • This study aims to propos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noise reduction system that is applied to classification for light-weight impact sound. For this reason, eight types of damping materials were constructed in new construction field. Comparison and analysis among the reduction materials were carried out on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through test. In the end, the suitability as a damping material was evaluated by the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