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id-etched

Search Result 298,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Influence of Surface Texturing on the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Aluminum Doped Zinc Oxide Thin Films

  • Lee, Jaeh-Yeong;Shim, Joong-Pyo;Jung, Hak-Ke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4호
    • /
    • pp.461-465
    • /
    • 2011
  • An aluminum doped zinc oxide (AZO) film for front contacts of thin film solar cells, in this work, were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and then etched in diluted hydrochloric acid solution for different times. Effects of surface texturing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AZO films were investigated. Also, to clarify the light trapping of textured AZO film, amorphous silicon thin film solar cells were fabricated on the textured AZO/glass substrate and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s were studied. After texturing, the spectral haze at the visible range of 400 ~750 nm increased substantially with the etching time, without a change in the resistivity.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amorphous Si solar cells with textured AZO film as a front electrode was improved by the increase of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J_{sc}$), compared to cell with flat AZO films.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 Kang, Hee-Young;Cho, Young-G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68-568
    • /
    • 2003
  • I.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ewetting ag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s(${\mu}TBS$), using one bottle adhesives. II. Materials and Methods Non caries human molars were sectioned to exposed the superficial dentin surfaces, etched 15 seconds using 32% phosphoric acid and 10 seconds rinsed. Sample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dhesives (Single Bond, One-Step) used. Each group wer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by different dentin surface treatment:15 second dry(D), blot dry(BD) or 15 second dry and rewetted with distrilled water(DW), Gluma Desensitizer(GD) and Aqua-Prep(AP) during 30 second, respectively.(omitted)

  • PDF

Effect of immediate or delayed composite placem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 Park, Hyun-Sik;Cho, Young-Gon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603-603
    • /
    • 2003
  • 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ediate or delayed composite placement on dentinal micro-tensile bond strength. Caries-free human third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At first, the occlusal enamel was removed so that the middle dentin was exposed. And then the exposed dentin was polished with 1200-grit silicon carbide paper for the formation of smear layer. The polished dentin was etched with 32% phosphoric acid, dried with gentle air and applicated by dentin adhesives.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12 groups.(omitted)

  • PDF

평활면 초기 우식병소의 표면처리에 따른 조직상 및 접착제의 침투 양상 비교 (HISTOLOGIC FEATURE AND INFILTRATION OF ADHESIVE RESIN ACCORDING TO PRETREATMENT ON PROXIMAL EARLY CARIES LESION)

  • 김인영;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37
    • /
    • 2009
  • 초기 법랑질 우식은 환자의 구강 위생 증진 및 국소적 불소 도포를 통해 재광화가 가능하나 이는 환자의 협조도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있어 임상적 효과를 확신하기 힘들다. 그 대안으로 병소 진행의 보다 초기 단계에 병소의 미세 다공구조를 광중합 레진으로 전색하는 시도가 행해져 오고 있다. 그러나 법랑질 초기 우식의 표층은 병소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세공 용적으로 인하여 접착레진의 침투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표면 처리를 통한 표층의 일부 혹은 전체의 제거가 접착레진의 침투에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연적인 법랑질 초기 우식 병소의 표면 처리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활면 법랑질 초기 우식에 대한 접착레진 적용 전 적절한 표면 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인접면에 법랑질 초기 우식을 보이는 39개의 발거된 유구치를 각기 다른 방법의 표면처리를 시행한 바, 수세만 시행한 대조군인 1군, 15초간 15% 염산 처리한 2군, 15초간 35% 인산 처리한 3군, 30초간 35% 인산 처리한 4군, 0.5% 차아염소산나트륨으로 세척한 5군의 5개 군으로 이루어졌다. 각 군당 3개의 치아는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나머지 24개에는 접착레진을 도포하고 그 절단 시편을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2군에서 가장 명백한 표층 제거가 관찰되었고, 3군과 4군에서는 일부 불규칙적인 표층 제거, 5군에서는 미약한 표층 제거가 나타났다. 2. 각 군의 평균 침투 깊이는 $6.85{\sim}23.09{\mu}m$로 측정되었으며, 침투 깊이의 군간 비교에서는 2군에서 가장 크게, 이어 4군, 3군, 5군, 1군의 순이었으며, 5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p<0.01)

  • PDF

2단계 접착제의 상아질 결합강도에 대한 Er:YAG 레이저 조사 영향 (Effect of Er:YAG lasing on the dentin bonding strength of two-step adhesives)

  • 송병춘;조영곤;이명선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5호
    • /
    • pp.409-418
    • /
    • 2011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상아질 표면에 Er:YAG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는 군, 레이저를 조사한 군, 레이저를 조사한 후 부가적인 산처리를 한 군으로 분류하여 2단계 단일병 전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부식 프라이머 접착시스템을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접착하였을 때 이러한 표면처리가 복합레진의 미세전단 결합강도와 결합계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2개의 발거된 대구치의 교합면측 상아질을 이용하였고, 상아질의 표면처리는 1군과 4군에서 각각 인산과 자가부식 프라이머로 하였으며, 2군과 5군은 Er:YAG 레이저로 에칭처리하였고, 3군과 6군은 레이저로 에칭한 후 다시 각각 인산과 자가부식 프라이머로 하였다. 1군, 2군, 3군은 Single Bond 2와 Z 250 (3M ESPE)을 이용하였고, 4군, 5군, 6군은 Clearfil SE Bond와 Clearfil AP-Z (Kuraray)을 이용하여 상아질 면에 Tygon tube를 접착하였다. 각 군의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통계 처리하였고, 또한 6개의 시편에서 복합레진과 상아질 계면을 주사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결과: Single Bond 2를 사용한 군에서 2군의 결합강도는 1군과 3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에서 4군, 5군, 6군의 결합강도는 각각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2군과 5군은 아주 짧고 가는 레진테그가 관찰되었고, 3군과 6군은 길고 가는 레진테그와 레진테그의 측지가 관찰되었다. 결론: 레이저로 에칭 처리한 상아질에 대한 부가적인 산 처리나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처리는 상아질의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Bonding agent의 종류 및 적용 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Bonding Agent and Application Methods on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

  • 이재희;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9-426
    • /
    • 2017
  • 맹출 장애 치료를 위해 교정력을 이용한 매복치의 맹출 유도를 시행하며, 이 과정 중 여러 원인에 의해 부착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부식 레진 접착 시스템과 자가 산부식 접착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단 결합 강도를 평가해보고, 접착 과정 중, 프라이머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생략하여 시간 절약이 전단 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사람의 상악 전치부 40개 치아를 대상으로 I군과 II군은 산부식 후 프라이머로 Transbond$^{TM}$ XT Light cure Adhesive primer를 적용 하였으며 III군과 IV군은 Transbond$^{TM}$ Plus Self Etching primer을 적용 하였다. I군과 III군은 제조사의 지시 사항대로, II군과 IV군은 접착제 도포 후 광중합 단계를 줄여 부착을 시행하였다. 그 후 전단결합강도와 접착제 잔류 지수(Adhesive Remnant Index, ARI)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전단결합강도는 I군, II군, III군 그리고 IV군 순으로 컸으며 대조군인 I군과 실험군 간에만 유의차가 있었다(p < 0.05). ARI 지수는 I군, III군, IV군 그리고 II군 순으로 대조군에서 치면과 레진 사이의 결합력이 컸다. 대조군이 유의하게 전단결합강도가 높았으나 다른 군에서도 임상적으로 유용한 전단결합강도를 가진다.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the osseointegration potential of orthodontic mini-implant)

  • 전미선;강윤구;모성서;이근혜;국윤아;김성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28-3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교정 치료 시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여부가 골유착능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제거회전력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교정력 적용의 확장과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분사처리 후 산부식(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인 C-implant (Cimplant,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디자인이지만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평활면 C-implant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씩 11마리의 가토 경골에 식립하였고 식립 후 6주에 가토를 희생시켜 제거회전력을 측정하여 t-test를 통하여 두 군의 제거회전력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어 조직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제거회전력은 SLA 처리한 C-implant 군이 평활면 C-implant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평활면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4.614 Ncm이고, SLA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6.286 Ncm로, SLA 군이 평활면 군보다 73% 더 높은 제거회전력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SLA표면처리가 C-implant의 골유착능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는 기존의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힘에 저항할 수 있으며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유형에 따른 골 치유 양상 (Bone Healing around Screw - shaped Titanium Implants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 고영한;김영준;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41-57
    • /
    • 2001
  • It is well known that the apposition of bone at implant surface would be influenced by the microstructure of titanium impla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one healing around the screw-shaped titanium implant with three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in the canine mandibles by histological and biomechanical evaluation. All mandibular premolars of six mongrel dogs were extracted and implants were placed one month later. The pure titanium implants had different surface topographies: smooth and machined ($Steri-OSS^{(R)}$: Group II); sandblasted and acid-etched ($ITI^{(R)}$, SLA: Group III) surface. The fluorescent dyes were injected on the 2nd (calcein), 4th (oxytetracycline HCI) and 12th (alizarin red) weeks of healing. Dogs were sacrificed at 4 and 12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decalcifi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evaluation of implant-bone contact. Some specimen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used for removal torque testing. Histologically, direct bone apposition to implant surface was found in all of the treated groups. More mature and dense bone was observed at the implant-bone interface at 12 weeks than that at 4 weeks after implantation. Under the fluorescent microscope, thick regular green fluorescent lines which mean early bone apposition were observed at the implant-bone interface in Group III, while yellow and red fluorescent areas were found at the implant-bone interface in Group I and II. The average implant-bone contact ratios at 4 weeks of healing were 54.3% in Group I, 57.7% in Group II and 66.2% in Group III. In Group I, implant-bone contact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Group II and III(p<0.05). The average implant-to-bone contact ratio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64.3% in Group I, 66.7% in Group II and 71.2% in Group II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Group I and II, the implant-bone contact ratio at 12 week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ratio at 4 weeks(p<0.05). The removal torque values at 12 weeks after implantation were 90.9 Ncm in Group I, 81.6 Ncm in Group II and 77.1 Ncm in Group III,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ne healing begin earlier and be better around the surface-treated implants compared to the smooth surface implants. The sandblasted and acid-etched implants showed the most favorable bone response among the three groups during the early healing stage and could reduce the waiting period prior to implant loading.

  • PDF

광중합형 레진으로 아말감 면에 브라켓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dhesive to amalgam surface using light-cured resin)

  • 조지영;이동렬;임용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43-450
    • /
    • 2005
  • 본 연구는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으로 교정용 브라켓을 접착시킬 경우, 광원의 차이(할로겐 광중합기와 light-emitting diode (LED) 광중합기)와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 여부에 따른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발거된 소구치 30개를 대조군으로 이용하였으며 법랑질 표면을 산부식한 후 통상적인 방법으로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60개의 다른 소구치에 아말감 충전을 하여 실험군으로 이용하였다. 두 군에서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시키고 브라켓이 탈락될 때까지 힘을 가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약 3-5.5 MPa로 대조군(19MPa)보다 낮았다. 실험군에서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한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이 LED 광중합기를 사용한 군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P<0.05), 샌드블라스팅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원에 따라 전단결합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할로겐 광중합 군과 LED 광중합 군 모두에서 샌드블라스팅 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아말감 면에 광중합형 레진을 이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할로겐 광중합기와 LED 광중합기로 얻을 수 있는 접착제의 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낮게 나타나, 이의 증진 방법을 도모하기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발치와 치조제 보존술 시행 후 식립한 임플란트의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radiographic and clinical analysis of implant survival placed after alveolar ridge preservation)

  • 이성조;장현;신현;박정철;송영균;조인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167-174
    • /
    • 2018
  • 목적: 발치와에 치조제 보존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일정 기간의 생존율을 초기고정 값과 방사선학적 계측을 통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9명의 환자에 sandblasted, large-grit, acid-etched (SLA) 표면을 갖는 단일 제품의 21개의 임플란트를 조사하였다. 임플란트는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 technique: ARP) 시행 후 2 - 3개월의 치유 기간 후 식립 되었으며, 식립 시 및 보철 시행 전 Periotest value (PTV)와 식립 시 및 최종 점검시의 방사선 사진을 통한 Marginal bone level (MB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100%로 나타났고 식립 시의 PTV는 평균 $-0.06{\pm}8.33$이었으며 보철 시행 전 PTV는 평균 $-5.75{\pm}1.72$이었다. 근 원심 평균 MBL의 변화는 -0.55 mm에서 1.6 mm의 범위로 평균 $0.19{\pm}0.58mm$를 나타내었다. 결론: 발치와 보존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는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며 안정적인 변연골 유지를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