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treated starch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4초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Granule-Bound Starch Synthase (GBSSI) gene of Waxy Locus Mutants in Japonica Rice (Oryza sativa L.)

  • Sohn, Seong-Han;Rhee, Yong;Hwang, Duk-Ju;Lee, Sok-Young;Lee, Jung-Ro;Lee, Yeon-Hee;Shin, Young-Seop;Jeung, Ji-Ung;Kim, Myung-Ki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0
    • /
    • 2010
  • Five mutants were investigated at the molecular level to determine the factors responsible for mutated endosperm types. They were classified as high (HA) or low amylose (LA) phenotypes based on the amylose content in endosperm. The five were previously produced from Ilpum and Shindongjin cultivar treated with N-methyl-N-nitrosourea and gamma-ray irradiation, respectively. Analysis of the genomic structure and expression of Granule-bounded Starch Synthase I (GBSSI) genes revealed that mutants generally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nucleotide transition than transversion, and the $A:T{\rightarrow}G:C$ transition was particularly prevalent. The rates of nucleotide substitution in HA mutants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in the LA mutants, leading to higher substitutions of amino acid in the HA mutants. Neither nucleotide substitutions interfering with intron splicing or causing early termination of protein translation were found, nor any large-sized deletions or additions were found in all the mutants. In principle, amylose content can be regulated by three factors: internal alterations of GBSSI protein, the strength of gene expression, and other unknown external factor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ndosperm mutants from Shindongjin arose from internal alterations of GBSSI proteins, which may be the result of amino acid substitutions. On the other hand, the Ilpum mutants might be principally caused by the alteration of gene expression level. Analysis of another three glutinous cultivars revealed that the major factor leading to glutinous phenotypes is the 23-bp duplicative motif (5'-ACGGGTTCCAGGGCCTCAAGCCC-3') commonly found in exon 2, which results in the premature termination of protein translation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a non-functional GBSSI enzyme.

양파추출물의 갈변 및 매운맛 억제기술 (Browning and Pungent Taste Reduction Techniques in Onion Extract)

  • 김희선;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60-364
    • /
    • 2009
  • 추출방법과 $\beta$-cyclodextrin, soluble starch 및 calcium chloride 혼합용액(MIX) 처리가 양파추출물의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처리구가 대 조구보다 L(명도) 값은 크게 나타났으며 a(적색도)와 b(황색도)는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갈변도는 100${^{\circ}C}$ 열수추출의 경우 대조구와 처리구의 O.D.값은 각각 0.296 과 0.093 으로서 처리구가 대조구의 약 31%의 O.D.값을 보였다. 열수추출과 초음파추출 모두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은 pyruv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갈변정도와 매운맛 강도에서는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값을 보였다. 양파추출물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계속적으로 증가를 보였고 저장기간 내내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매우 적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사상균에 의한 구연산발효에 관한 연구 (제IV보) 가용성전분 및 당밀에 의한 구연산발효 (Studies on the Citric Acid Fermentation with Fungi (Part IV) Citric Acid Fermentation from Soluble Starch and Molasses)

  • 성낙계;김명찬;심기화;정덕화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9-206
    • /
    • 1980
  • 전보에서 분리한 균을 사용하여 당밀과 가용성 전분을 발효기질로써 구연산생산에 관한 몇 가지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용성전분을 기질로 하여 분리균 M-80을 표면배양할 경우 soluble starch 120g, (N $H_4$)$_2$S $O_4$3g, K $H_2$P $O_4$2g, MgS $O_4$.7$H_2O$ 0.2g, F $e^{++}$ 1.5mg, $Zn^{++}$ 1mg, methanol 20m1, D. W. 1ι, initial pH 5.0 으로 하여 8일간 배양하였을 때 61.8mg/ml의 구연산이 생성되었다. 2) 분리균 M-315를 황혈염으로 전처리한 당밀을 기질로 하여 발효조건을 구한 결과, 표면배양은 당밀 250g, N $H_4$N $O_3$0.3g, K $H_2$P $O_4$0.05g, MgS $O_4$.7$H_2O$ 0.01g, methanol 30m1, D. W. 1ι, initial PH 5.0이었고, 액내배양의 경우는 당밀 250g, N $H_4$N $O_3$0.3g, K $H_2$P $O_4$0.1g, MgS $O_4$.7$H_2O$ 0.01g, methanol 30m1, D. W. 1ι, initial pH5.0이었으며 9일 배양으로 각각 69.4mg/ml, 39.6mg/ml의 구연산이 생성되었다.

  • PDF

강낭콩 전분의 분자구조적 특성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idney Bean Starch)

  • 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21-527
    • /
    • 1996
  • 세 품종의 강낭콩 전분에 대하여 분자구조적 측면에서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과 ${\beta}$-아밀라아제 분해한도는 Pink종이 다른 종에 비하여 다소 높았다. 그리고 아밀로펙틴의 사슬분포는 ${\overline{DP}$60 이상의 초장사슬, ${\overline{DP}}45{\sim}60$인 B 사슬, 그리고 ${\overline{DP}}10{\sim}20$인 A 사슬로 분포하였으며, 그 분포도는 품종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Pink종은 B사슬, Red종은 초장사슬, 그리고 White종은 A 사슬이 다른 종에 비하여 더 많이 분포하였다. 전분의 딴 가수분해(2.2N HCI는 3 단계로 일어났으며, 각 품종간에는 가수분해 속도와 요오드 반응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전분은 산처리에 따라 아밀로오스와 무정형인 아밀로펙틴의 ${\alpha}$-1.6 결합이 점차 분해되어, 결국은 결정성을 가진 ${\overline{DP}}$ 20 정도의 사슬로 남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강낭콩은 품종에 따라 전분의 분자구조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이 중 지방과 탄수화물 비율이 쥐 간이 Glucokinase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Fat to Carbohydrate Ratio on Hepatic Glucokinase Activity in Rats)

  • 안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2호
    • /
    • pp.109-115
    • /
    • 199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fat to carbohydrate ratio on plasma glucose. free fatty acid level and hepatic glucokinase activity in normal or insulin treated diabetic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with 3 different but isocaloric diets for 5 weeks. Diet 1 made to have low fat(4% corn oil and 65.8% corn starch wt/wt) : diet 2 medium fat (12% : 47.8%) : diet 3 high fat (20% : 29.8%) In the normal rats an apparent increase of GK activity was observed from the animal fed low fat diet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GK activities were decreased in all the alloxan-diabetic rats than the normal rats. When insulin was injected the GK activities in all the livers of alloxan-diabetic rats restored to normal level and GK activity was highest in low fat group. In the entire group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seen between the plasma glucose and GK activities(r=-0.6, p<0.001) FFA levels and GK activities(r=-0.63 p<0.001) Both in normal and insulin treated diabetic rats significantly depressed level of hepatic GK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livers of animals fed high fat diet for 5 weeks and depressed level of GK activity may be related to insulin resistance.

  • PDF

고아밀로스 옥수수전분/덱스트린의 첨가가 건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amylose corn starch/dextrin on quality of non-fried instant noodles)

  • 유재근;이주헌;박은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55-660
    • /
    • 2020
  • 본 연구를 통해 고아밀로스 옥수수 전분과 이를 가수분해한 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건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을 첨가함으로써, 아밀로스-지질 복합체가 형성되었지만, 그 정도가 미미한 편이었다.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을 건면에 첨가함으로써, 수분 흡수율과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경도와 점착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고아밀로스 전분이나 덱스트린 첨가 건면의 단면이 조금 더 밀집한 구조를 보이게 되었다. 하지만 가수분해정도가 큰 Dextrin50의 경우에는 다른 덱스트린과는 다르게 용출율을 증가시키고, 느슨한 구조의 단면을 보였다. 이는 건면의 조직감에도 영향을 미쳐, Dextrin50 첨가군은 다른 첨가군보다 더 낮은 탄성과 경도를 보이고 점착력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아밀로스 옥수수 전분과 덱스트린을 건면에 첨가했을 때, 명확한 아밀로스-지질 복합체가 형성되지는 못했지만, 수분흡수율, 용출율 미세구조, 조직감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석이(Umbilicaria esculenta) 추출물에 의한 식후 혈당강하작용 (Effect of extract from Umbilicaria esculenta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 이경애;김무성
    • 생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1-104
    • /
    • 2000
  •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pha}-glucosidase$ was identified in extract of an edible lichen, Umbilicaria esculenta. The inhibitor was very stable retaining above 95% of its original activity when treated with heat, acid and alkaline conditions, and some hydrolytic enzymes. Partially purified inhibitor showed strong inhibition against disaccharide hydrolytic enzymes of mammalian and mold origin, but weak or no inhibition against polysaccharide hydrolytic enzymes except glucoamylase. The inhibitor suppressed elevation of blood glucose level in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oluble starch or sucrose.

  • PDF

Plant Growth Regulator Produced by Streptomyces sp. (Part II)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Some Properties of the Plant Growth Regulator

  • 김광현;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7.5-208
    • /
    • 1978
  • Effects of the plant growth regulator (P. G. R.)on the reaction of proteinase, $\gamma-amylase$ and acid phosphatase were investigated, and also were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of P. G. R. by Stroptomyces sp. 445. The P. G. R. had no effect on the act ivities of such enzymes in mung bean seedling. But in germinating seed previously treated with P. G. R. it effected the activity of protease in cotyledon. In the conditions of production of P. G. R., the maxim, activity was appeared in shaking cutlure at $30^{\circ}C$ for 5 days, and by the addition of peptone or casein hydrolysate as nitrogen source, soluble starch as carbon source, and sulfur as metal ion.

  • PDF

식후 혈당강하작용에 대한 매화지의류 추출물의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xtracts from Parmelia austrosinensis and P. praesorediosa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 이경애;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4-138
    • /
    • 2000
  • An inhibitory activity against ${\alpha}$-glucosidase was identified in extracts of medicinal lichens, Parmelia austrosinensis and P. praesorediosa. The extracts retained almost all of their original activities when treated with heat, acid and alkaline conditions, and some hydrolytic enzymes. Partially purified inhibitor showed strong inhibition against disaccharide hydrolytic enzymes of mammalian and mold origin, but weak or no inhibition against polysaccharide hydrolytic enzymes except glucoamylase. The inhibitors from the two Parmelia sp. showed almost same retention time in HPLC. The inhibitor suppressed elevation of blood glucose level in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soluble starch or sucrose.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고추 유묘의 탄수화물 합성과 항산화물질 변화 (Changes in Carbohydrate, Phenolics and Polyamines of Pepper Plants under Elevated-UV-B Radiation)

  • 성좌경;이수연;박재홍;이상민;이용환;최두회;김태완;송범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43
    • /
    • 2008
  • 고추 유묘기에 탄수화물 합성,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에 대한 자외선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고추 유묘는 $1.2W\;m^{-2}$ 강도의 자외선 하에서 0부터 9시간까지 조사되었다. 수용성 당과 전분은 자외선 처리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았다. 수용성 당은 처리 전 ($6.7mg\;g^{-1}\;fw$)에서 자외선 9시간 처리 후에 $5.2mg\;g^{-1}\;fw$으로 약 22% 감소하였다. 전분은 자외선 처리 후 3시간 만에 30%까지 급격히 감소한 후 처리기간에 상관없이 변화가 없었다. 자외선 흡수물질에 대한 흡광도 분석을 한 결과, 처리 3시간 이후에 최고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페놀화합물과 안토시아닌을 조사하였다. 흡광도 분석결과와는 다르게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외선 처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자외선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주요 단순 페놀산 함량은 크게 영향을 받았는데, cinnamic acid, ferulic acid, sinapic acid 및 syringic acid는 자외선 처리 후 2~8배 증가하였다. 식물체내 주요 항산화물질의 하나인 폴리아민도 자외선에 의해 70~15% 증가하였다. 위의 결과로 볼 때, 자외선은 식물체의 탄수화물의 합성을 억제하며, 식물체는 스트레스에 저항하기 위하여 방어물질인 페놀화합물 및 폴리아민의 합성을 촉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