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shock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열처리와 한약재 추출물이 발아현미의 GABA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and Selected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ABA Content after Germination)

  • 전건욱;이미영;윤재민;장성호;정미리;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54-15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미 발아 시 침지 및 발아 조건에 따른 GABA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 효과적으로 GABA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처리조건을 살펴보았다. 발아 현미의 GABA 함량 증가를 위해 침지 전 열처리를 실시하였으며, 한약재로 널리 쓰이는 오미자와 용안육, 구릿대, 천마를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때의 GABA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45^{\circ}C$에서의 열처리군이 3977.3 nmol/g로 무처리군에 비해 약 1.4배 정도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약재를 침지 및 발아수로 이용한 결과 용안육은 3%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하였을 경우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주었으며, 오미자는 5% 추출물을 발아수로 이용한 경우가 대조군보다 2.1배로 가장 높은 GABA 함량을 나타내었다. 천마 추출물의 경우는 5% 추출물을 침지수와 발아수로 이용했을 경우 약 2.5배의 증가율을 보여 실험한 한약재 중 가장 높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발아현미 연구에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쌀 소비촉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Association between HSP70 Genotypes and Oocytes Development on In vitro Maturation/Fertilization in Pig

  • Wee, M.S.;Park, C.K.;Cho, S.R.;Lee, S.S.;Yeon, S.H.;Kim, C.D.;Cho, C.Y.;Choi, S.H.;Sang, B.D.;Son, D.S.;Li, Z.D.;Jin, H.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0호
    • /
    • pp.1404-1410
    • /
    • 200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whether the variation of stress related heat shock protein 70 (HSP70) (GenBank X68213) gene was associated with the nuclear morphological change of in vitro maturation and in vitro capacitation in oocytes of pig ovaries obtained at the slaughterhouse. The nucleic acid substitution of C to G at the 483rd position was found out in HSP70 K1 (290-512) from X68213. The ovaries were categorized into CC, CG, and GG genotype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BsiHKA I). After the second 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fresh oocytes, the relation of nuclear morphological change in oocytes with the genotype of HSP70 K1 gene was such that the MII ratios of the genotype GG and CG (46.93% and 42.20%,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C genotype (10.71%) (p<0.05). With respect to in vitro maturation of frozen-thawed oocytes by an open pulled straw (OPS) method, the percentage of oocytes matured to MII stage of the CG genotype showed a higher trend than CC and GG genotypes. After the in vitro maturation of immature fresh oocytes and frozen-thawed oocytes by the OPS method, the relation of the pronuclei change in oocytes matured in vitro with HSP70 genotype was assess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enlarged sperm heads (ESH) of matured fresh oocytes and frozen-thawed oocytes were 80.0% and 60.0% in the CC genotype, respectively. The CC genotype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ESH than the CG and the GG genotype group (p<0.05). The ratios of polyspermic invasion were not different among HSP70 of the three genotypes. It was considered that the rate of in vitro maturation of fertilized oocytes was expected to differ according to genotype of the stress related gene.

미호종개 metallothionein 유전자의 구조 및 중금속 노출과 고온 자극에 대한 MT mRNA의 발현 특징 분석 (Gene Structure and Altered mRNA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 in Response to Metal Exposure and Thermal Stress in Miho Spine Loach Cobitis choii (Cobitidae; Cypriniformes))

  • 이상윤;남윤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1-69
    • /
    • 2011
  • 멸종위기 어류 미호종개(Cobitis choii)로부터 중금속해독 단백질(metallothionein) 유전자를 분리, 클로닝하고 중금속 및 고온 스트레스에 대한 전사 발현 특정을 분석하였다. 미호종개 metallothionein는 gDNA, mRNA 및 아미노산 서열 모두에서 경골 어류 MT들의 구조적 특징을 잘 보전하고 있었으며, 생물정보분석을 통해 미호종개 MT 유전자 5'-upstream 영역은 중금속 조절, 면역 반응 및 온도 반응에 관여하는 다양한 전사 조절인자들의 부착 위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카드뮴(Cd), 구리(Cu), 니켈(Ni), 망간(Mn) 및 아연(Zn)을 이용한 침지 노출 실험(0.5 및 $1.0\;{\mu}M$; 24시간)에서 미호종개 MT mRNA 발현은 구리 및 카드뮴 처리군에서 가장 많이 유도되었고($1.0\;{\mu}M$ Cu 처리군에서 최대 10배), 망간 처리군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MT 발현이 유도된 반면(2배), 아연 및 니켈 노출 군에서는 유의적인 MT 발현의 증감이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미호종개 MT 전사 발현은 고온 자극 ($25^{\circ}C$로부터 $31^{\circ}C$까지 증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나, $31^{\circ}C$ 도달시점에서 $25^{\circ}C$ 초기 MT mRNA 발현 수준보다 9배 높은 mRNA 발현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MT 기반의 유전자 발현 분석을 이용함으로써, 향후 멸종위기 어류 미호종개의 스트레스 반응 연구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영양각산(羚羊角散)이 진경(鎭痙), 해열(解熱), 진통(鎭痛), 진정(鎭靜) 및 GABAergic system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ungyanggaksan on the anticonvulsive, antipyretic, analgesic, sedative and GABAergic system)

  • 김진희;문병순;성강경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205-225
    • /
    • 1996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yanggaksan (YGS) extract on the anticonvulsive, antipyretic, anlgesic, sedative and GABAergic system of experimental anim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YGS extract prolonged significantly the beginning time to convulsion and time to death induced by strychnine. 2. YGS extract prolonged significantly the time to death induced by electrical shock of ECT unit (3sec, 200F, 25mA). 3. On the experiment of hypothermic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rectal temperature of rats, YGS extrac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ectal temperature of rats. 4. On the experiment of antipyretic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febrile induced by the subcutaneous injection of $150{\mu}g/kg$ endotoxin in rats, YGS extract decreased significantly the rectal temperature of rats. 5. On the experiment of analgesic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writhing syndrome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0.7% acetic acid 1ml/100g in rats, the writhing syndrome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6. On the experiment of sedative effects of YGS extract on spontaneous motor activity measured by wheel cage method in mice, the spontaneous motor activity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7. On the experiment of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activity of GABA-transaminase(GABA-T) in rat brains after 21 days of oral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the activity of GABA-T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8. On the experiment of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GABA in rat brains after 21 days of oral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the activity concentration of GABA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9. On the experiment of effects of YGS extract on the activity of GAD in rat brains after 21 days of oral adminstration of YGS extract, the activity of GAD was reduced significantly by administration of YGS extract. According to the those results, Youngyanggaksan extract reveals the effects on the anticonvulsive, antipyretic, anlgesic, sedative and GABAergic system.

  • PDF

새로운 유전자 돌연변이로 확진된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결핍증 1례 (The Ornithine Transcarbamylase (OTC) Deficiency Identified by a Novel Mutation)

  • 송아리;이기욱;양아람;김진섭;박형두;조성윤;진동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48-154
    • /
    • 2016
  • 요소 회로 대사 이상은 요소 합성에 관련된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ornithine과 carbamylphosphate로부터 citrulline을 생성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OTC 결핍증이 가장 흔하다. OTC 결핍증은 ammonia, glutamate, glutamine, alanine 등의 축적되면서 고암모니아 혈증 및 고글루타민 혈증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근긴장 저하, 호흡 부전, 경련, 기면, 혼수로 진행하여 사망에 이르게 된다. 저자들은 생후 4일 경부터 구토와 함께 의식의 저하를 보인 환자에서 직열 질량 분석법을 통해 OTC 결핍증을 진단하였고, 증상 발생 31시간 만인 생후 118시간 째에 지속적 정정맥 혈액여과(continuous venovenous hemofiltration, CVVH)을 적용하여 고암모니아 혈증을 치료하였다. 또한 직접염기서열분석법을 통해 780번과 781번 염기 사이에 CAGGCAGTGT가 삽입되는 변이(c.780_781insCAGGCAGTGT (p.Ile261Glnfs*35))를 발견하였다. 환자는 4일 간의 CVVH 이후 혈중 암모니아 농도와 의식이 호전되어 생후 53일 째 퇴원하였으나, 생후 12개월 경 좌측 대퇴골의 골절과 골수염이 발생하였고, 이후 패혈증 쇼크, 고혈당,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OTC 결핍증 환자에서 CVVH 치료 및 패혈증과 당뇨를 경험하였고, 유전자 검사에서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변이를 확인하였기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

  • Chang Gyu-Tae;Kim Jang-Hyu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91-1398
    • /
    • 2005
  • The anti-thrombic properties of the oriental herbal medicine Daejowhan(DJW, 大造丸) which consists of 11 kinds of herbs (indicated as ratio) of Rehmanniae Radix 24%, Hominis Placenta 5%, Testudinis Carapax 9%, Eucommiae Cortex 9%, Asparagi Radix 9%, Phellodendri Cortex 9%, Achyranthis Radix 7%, Liriopis Tuber 7%, Angelicae Sinensis Radix 7%, Ginseng Radix 5% and Schizandrae Fructus 3% were investigated. The water extracts from DJW inhibited Platelet-activating factor(PAF) induced platelet aggregation. DJW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by ethylacetate. A 70% methanol extract showed a strong inhibition against PAF-induced aggregation in vitro and in vivo assays.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was shown to have inhibitory effect on PAF-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ssay. The ethylacetate soluble fraction specially protected against the lethality of PAF, while verapamil did not afford any prote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extracts and alcoholic-fractions inhibit the action of PAF in vivo by an antagonistic effect on PAF, so that it may be useful in treating disorders caused by PAF, such as acute allergy, inflammation, asthma, gastrointestinal ulceration, toxic shock and so forth. DJW was investigated regarding its assumed anti-thrombic action on human platelets which was deduced from its ability to suppress Arachidonic acid(AA)-induced aggregation, exocytosis of ATP, an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COX) and Thromboxane synthase(TXS) activity. The latter two effects were estimated from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 $E_2(PGE_2)$ and Thromboxane $A_2(TXA_2)$ respectively. Exogenously applied AA ($100{\mu}mol/{\ell}$) provoked a $89\%$ aggregation of platelets, the release of 14 pmol ATP, and the formation of either 225 pg $TXA_2$ or 45 pg $PGE_2$, each parameter being related to 106 platelets. An application of DJW 5 min before AA dose-dependently diminished aggregation, ATP-release and the synthesis of $TXA_2$ and $PGE_2$ with $IC_{50}$ values of 74, 108, 65, $72{\mu}g/m{\ell}$, respectively. The similarity of the $IC_{50}$ values suggest an inhibition of COX by DJW as primary target, thus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XA_2$ which induces aggregation of platelets and exocytosis of ATP by its binding on $TXA_2$-receptors.

腫瘍細胞가 致死에 미치는 溫熱處理의 生物學的 作用에 관한 硏究(1)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on of Hyperthermia on Tumor Cell Mortality (1))

  • Kang, Man-Sik;Lee, Chung-Choo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69-81
    • /
    • 1983
  • 溫熱處理가 SCK 腫瘍細胞에 미치는 生物學的 環境을 몇가지 측면에서 檢討하였다. 첫째로, 溫熱處理가 in vitro와 in vivo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生殘曲線을 구하여 비교하여 본 바, in vivo의 경우에 더욱 큰 腫瘍細胞 致死效果를 보았다. 둘째로, 이러한 細胞致死作用의 차이가 나타나는 原因을 알아보기 위해서 溫熱處理가 腫瘍組織과 筋肉組織의 溫度와 pH에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 지를 측정하여 본바, 腫瘍의 경우 溫度는 筋肉보다 높아졌으며, pH는 초기의 上昇을 제외하고는 계속해서 낮은 狀態를 유지했다. 이와 같은 腫瘍내의 酸性狀態가 溫熱處理의 細胞致死效果를 增强시키는 것으로 보였다. 셋째로, 이와같은 腫瘍내 pH의 酸性化의 原因을 규명해 보기 위해서 腫瘍과 肝 속의 乳酸含量을 정량하여 본 바, 腫瘍의 경우 溫熱處理 후 1시간에는 增加하였으나 그 후에는 계속 減少된 상태를 유지했다. 이에 반해서 肝의 경우 5시간에 最大値를 보였고 24시간 동안 계속해서 上昇된 값을 유지했다. 이러한 腫瘍내 乳酸含量의 減少는 예기치 못했던 결과였는데, 이는 溫熱處理로 말미암아 腫瘍내의 細胞가 계속해서 死滅되는 결과로 腫瘍 단위 重量당 乳酸量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었다. 넷째로, 溫熱處理에 의한 細胞致死效果의 표적을 찾아 보기 위한 한가지 試圖로서 膜表面蛋白質의 變化를 관찰하였던 바, 高分子蛋白質의 減少와 더불어 低分子蛋白質의 增加라는 一般的인 現象을 볼 수 있었고, 특히 70K 단백질이 特異的 增加를 보인 것과 이의 증가가 $41^\\circC$에서 最大의 값을 보인 것은 興味로운 일이었다. 溫熱處理가 腫瘍내 pH의 酸性化를 招來하는 原因과 膜表面蛋白質에 特異한 影響을 미치는 機作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욱 많은 硏究가 傾注되어야 할 興味있는 問題로 생각된다.

  • PDF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를 이용한 lovastatin 생산균주의 탐색 (Screening of lovastatin-producing strains by PCR using lovastatin biosynthesis genes)

  • 고희선;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63-169
    • /
    • 2009
  • 본 연구는 Asp. terreus ATCC 20542 변이주로부터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 중 polyketide 생합성 유전자 등을 이용한 PCR법으로 Aspergillus sp. 이외의 statin계열 물질 생산균주의 탐색법 구축 및 lovastatin 대량생산을 하고자 하였다.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 중 가장 중요한 유전자인 polyketide synthase gene와 diketide synthase gene로부터 각각의 primer를 제작하여 PCR을 이용한 lovastatin 생산 균주를 탐색하였다. 선발된 7개의 균주의 형태학상의 특성 및 lovastatin 생산성을 검토한 결과 Aspergillus sp. 이외의 Penicillium sp.으로 추정되는 균주를 재선발하여 SJ-2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SJ-2는 액체배양 및 고체배양을 한 후 추출하여 TLC와 HPLC를 통하여 각각의 lovastatin 생산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SJ-2에 대두를 이용하여 lovastatin 고생산성을 확인한 결과, 대두-전배양체를 $30^{\circ}C$,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접종하여 본배양 15일째에 가장 높은 lovastatin을 생산할 수 있었다. In vitro assay 결과에서는 HMG-CoA reductase에 대한 저해활성도가 7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lovastatin 탐색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bioassay법이 아닌 lovastatin 생합성 유전자를 이용하여 PCR을 통한 lovastatin 생산균주의 탐색이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pH 충격에 의한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의 생리적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an Acid pH Shock on Physiological Changes of Chlamydomonas acidophila (Chlorophyta), UTCC 122)

  • 이경;기장서;김세화;한명수;최영길;유광일
    • 생태와환경
    • /
    • 제35권3호통권99호
    • /
    • pp.145-151
    • /
    • 2002
  • 녹조류 Chlamydomonas acidophia, UTCC 122균주를 이용하여 pH변화에 따른 조류의 생리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성장률(${\mu}$)은 pH 3.7${\sim}$6.7의 배양에서 $0.5{\sim}0.7\;day^{-1}$이었으며 (ANOVA, p=0.134),점차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pH 2.7의 배양에서는 성장하지 않았으며, 세포의 크기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배양 1일 후 엽록소 a 는 $191{\sim}255\;pg\;cell^{-1}$이었으나, 5일째는 pH 2.7배지에서 $210\;pg\;cell^{-1}$로 큰 변화가 없으며, 다른 pH의 배양에서는 $60{\sim}103\;pg\;cell^{-1}$로 감소하였다. 단위세포에 대한 엽록소의 양은 세포 체적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Carbonic anhydrase(CA)의 활성도는 $1.1{\sim}3.7{\times}10^{-4}\;E.U.\;mm^{-2}$이었으며, pH 2.7과 pH 5.7배지를 제외하고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농도 차에 의한 비교에서는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C. acidophila의경우 CA분자량은 29kDa이었으며, pH농도 구배에 의한 발현 차이는 없었다. 이것은 $CO_2$$HCO_3\;^-$를 조절하는 CA가 산성에서 수소이온조절에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단백질 발현양상은 41과 63kDa은 pH가 낮은 배지에서 자랄수록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17kDa단백질은 점차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 acidophila는 다른 생물과 달리 넓은 범위의 산성에서 잘 성장할 수 있으며,낮은 산성에서 자랄수록 17kDa의 단백질이 증가하는 것은 17kDa단백질이 산성에 적응하기 위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내과계 중환자실에서 치료하였던 중증 알코올성 케톤산증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Patients with Severe Alcoholic Ketoacidosis Treated at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 이광하;이세환;오연목;심태선;임채만;이상도;고윤석;김우성;김동순;김원동;홍상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48-553
    • /
    • 2006
  • 연구배경 : 알코올성 케톤산증은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나 여러 장기부전을 동반한 경우 중환자실 치 료가 필요하다. 이런 중증환자에 대한 보고가 부족하여 저자들은 중증 알코올성 케톤산증의 증례를 분석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 1일부터 2005년 6월 30일까지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에서 입원하여 치료받았던 합병증을 가진 알코올성 케톤산증 10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모두 남자환자였고, 평균 나이는 $52.7{\pm}12.4$ 세, 평균 $20{\pm}13$년의 음주력이 있었다. 내원시 주증상은 복통,구토등의 소화기증상이 50%로 가장 많았다. 주요 검사실 소견상 Lactic acid (mmol/L) $57.89{\pm}55.35$, 동맥혈 pH $6.828{\pm}0.139$, Osmolar Gap (mOsm/L) $37.28{\pm}24.55$, Anion Gap (mOsm/L) $31.43{\pm}11.61$이었다. 동반된 주된 합병증으로 횡문근 융해증(80%), 패혈증(20%), 췌장염(10%) 순이었다. 70% 환자에서 투석이 80% 환자에서 기계환기가 실시되었다. 사망자 (60%) 들은 모두 3일이내에 쇼크로 인해서 사망하였다. 생존자들은 12시간안에 동맥혈 pH 7.15 이상으로 회복되었다. 결 론 : 중증 알코올성 케톤산증은 횡문근 융해증 및 급성 신부전이 주된 합병증으로 동반되며 사망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