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polysaccharide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Genes in Challenged Weaned Piglets

  • Han, Jie;Bian, Lianquan;Liu, Xianjun;Zhang, Fei;Zhang, Yiran;Yu, N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7호
    • /
    • pp.1035-1043
    • /
    • 2014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canthopanax senticosus polysaccharide (ASPS) on growth performance, immunity, blood parameters and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immunologically challenged piglets, an experiment employing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concerning dietary ASPS treatment (0 or 800 mg/kg) and immunological challenge (lipopolysaccharide [LPS] or saline injection) was conducted with 64 crossbred piglets (weaned at 28 d of age,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7.25{\pm}0.21kg$) assigned to two dietary ASPS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of 4 pigs each. Half of the piglets of per dietary treatment were injected with LPS or saline on d 14.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t 3 h after immunological injection on d 14 and piglets were slaughtered to obtain spleen samples on d 21. Dietary ASPS did not affect average daily gain (ADG) (p = 0.634),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p = 0.655), and gain:feed (p = 0.814) prior to LPS challenge. After LPS challenge, for LPS-challenged pigs those fed ASPS had higher ADG and ADFI than the non-supplemented group (p<0.05), and an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observed on the two indices (p<0.05). Dietary ASPS improved lymphocyte proliferation among saline-injected and LPS-injected pigs (p<0.05).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revealed on lymphocyte proliferation (p<0.05). Circulatory concentration of IgG was influenced neither by ASPS (p = 0.803) or LPS (p = 0.692), nor their interaction (p = 0.289). Plasma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1beta (IL-$1{\beta}$),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were induced to increase (p<0.05) by LPS challenge, in contrast, these indices were decreased by dietary ASPS (p<0.05), and interactions were found on these cytokines (p<0.05). For LPS-challenged pigs, dietary ASPS also reduced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and spleen mRNA expression of IL-$1{\beta}$, IL-6 as well as TNF-${\alpha}$ (p<0.05). The interaction between $LPS{\times}ASPS$ was also observed on the circulating concentr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I, ${\alpha}$-acid glycoprotein (${\alpha}$-AGP), nonesterified fatty acid, and glucose (p<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ietary ASPS can modulate the release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during immunological challenge, which might enable piglets to achieve better growth performance.

황기 지상부로부터 장관면역 활성 다당체의 분리 및 단회 경구 투여 독성시험 (Isolation of Polysaccharides Modulating Intestinal Immune System and Single Oral Dose Toxicity Test in Astragalus membranaceus Abovegroud Parts)

  • 최리나;박영철;이지선;김정우;김종봉;최유순;김광기;이재근;유창연;김승현;정일민;김재광;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6-288
    • /
    • 2014
  • The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were prepared by chromatographic procedure from the hot water extracts of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These six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ere tested for gut-mucosal immune activity and acute toxicity. In a view of molecular weight, the six fractions were estimated to be 75000, 88000, 129000 and 345000 Da, respectively. Component sugar analysis indicated that these fractions were mainly consisted of galactose (46.3 ~ 11.8%) and arabinose (35.4 ~ 9.9%) in addition to glucose, rhamnose, fuc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lucuronic acid and galacturonic acid. Among the six major purified polysaccharides, AMA-1-b-PS2 showed highest bone merrow cell proliferation and lymphocyte of Peyer's patch stimulating activity. It may be concluded that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of aboveground par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s caused by polysaccharides having a polygalacturonan moiety with neutral sugars such as arabinose and galactose. In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ontrol and treated groups in clinical sig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thal dose 50 ($LD_{50}$) of water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5000 mg/kg/day in this experiment. From the above results, we may suggest that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might have useful as a safe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s.

카드뮴내성균(耐性菌)(Pseudomonas putida)에 의한 균체내(菌體內) 카드뮴 축적(蓄積) 기작(機作) (Mechanism of Cadmium Accumulation in the Cell of Cadmium-Tolerant Bacterium, Pseudomonas putida)

  • 허종수;조주식;한문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6
    • /
    • 1992
  • 카드뮴내성균인 Pseudomonas Putida C1의 세포 내 카드뮴 축적기작을 구명하기 위하여 균체내 축적된 카드뮴의 세포 구성성분별 분포도, 단백질 함량변화 및 세포구성물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세포내에 축적된 카드뮴의 약 57%는 cell wall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약 43%는 cytoplasm에 분포되어 있었다. Cytoplasm에 축적된 카드뮴은 protein과 nucleic acid 두 성분 모두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cell wall에 축적된 카드뮴의 약 84% 이상이 polyphosphate-polysaccharide fraction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내 protein 합성에 미치는 카드뮴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카드뮴 무첨가배지에서 생장한 균체와 카드뮴이 함유된 배지에서 생장한 균체의 세포내 protein 함량은 카드뮴을 첨가함으로써 감소되었으나, ammonium sulfate($30{\sim}75%$ saturation)에 의하여 침전되는 soluble protein의 함량은 카드뮴을 첨가한 배지에서 생장한 균체에서 더 증가되었다. 고분자 가용성 단백질은 카드용 첨가배지에서 배양된 세포가 카드뮴 무첨가 배지에서 배양된 세포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나, 저분자 단백질 은 감소되었다. 따라서 세포내 protein의 합성은 카드뮴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ammonium sulfate(30-75% saturation)에 의하여 침전되는 고분자 단백질의 합성은 카드뮴에 의하여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만세포에서 시판 간장 유래 다당류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Commercial Kanjang on Mast Cells)

  • 고유진;이경란;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9-577
    • /
    • 2013
  • 간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최근 항암 효과, 항균작용, 항산화능, 항혈전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간장은 콩과 밀을 주요 원료로 사용한다. 콩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되는 다당류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발효가 끝난 후에도 간장에 잔존하게 되며 이것을 간장 유래 다당류(Kanjang polysaccharides, KPS)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산분해법과 양조법으로 제조된 시판 간장인 A~T의 20종의 투석물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고,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방출과 mRNA의 발현에 대한 KPS의 효과를 실험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RBL-2H3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자극된 HMC-1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염증성 cytokine인 IL-6, IL-8, TNF-${\alpha}$의 방출 및 mRN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특히, 양조간장으로부터 유래된 KPS는 산분해 간장보다 비만세포에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KPS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홍삼 . 백삼 및 압출성형 건조수삼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 하대철;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5
  • 본 실험은 홍삼, 백삼, 압출성형 공정변수인 수분함량을 25%와 30%로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수삼의 화학적 성분을 비교하였다. 조회분, 조지방, 총당의 경우 홍삼, 백삼, 압출성형수삼 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환원당의 경우 백삼시료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은 수삼을 파쇄하여 7$0^{\circ}C$에서 건조한 수삼(A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수분함량 25%,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B처리구)보다 수분함량 30%,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C처리구)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사포닌의 경우에는 A처리구가 4.02%, B와 C처리구가 4.77%, 4.12%이고, 수삼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피부백삼(D처리구)은 3.56%, 수삼 표피를 제거한 피부백삼(E처리구)의 경우는 3.25%, 홍삼(F처리구)은 4.02%로 조사되었다. 총 진세노사이드는 조사포닌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A처리구가 6.031 mg/g, B와 C처리구가 8.108 mg/g, 6.876 mg/g으로 조사되었고, D처리구는 7.978 mg/g, E처리구의 경우는 5.591 mg/g, F처리구는 9.834 mg/g로 측정되었다. F처리구에서 홍삼특유 사포닌이라고 알려진 $R_{g3}$가 측정되었다. 말톨의 경우에는 홍삼과 압출성형수삼 처리구에서만 관찰되었다. 산성다당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2∼3%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압출성 형수삼은 홍삼의 성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압출성형공정변수의 변화를 통해 홍삼에 포함된 홍삼특유 사포닌인 $R_{g3}$도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가공 인삼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processed ginseng based on different heat treatments)

  • 강윤한;저우뤠이;김효진;김지은;신일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 고압의 autoclaving 조건에서 2시간 내외로 증삼한 인삼과 그 용출액으로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분말로 하여 그 열수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시료로 사용한 홍삼의 제조는 고온 고압으로 증삼한 용출액을 건조시 증삼 표면에 바르고 건조하여 외형이 흑삼 모양으로 변하였다. 홍삼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산성다당체, 조사포닌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 성분을 측정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홍삼 열수추출물(AR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3.38 mg NE/g, 총당 35.22 g/100 g, 산성다당체 10.90 g/100 g, 조사포닌 10.22 g/100 g으로 나타났다. 본 홍삼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홍삼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조사포닌 등의 최종 함량이 다른 홍삼 제조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 고압으로 단시간에 얻은 증삼액인 용출액은 진세노사이드 조성이 다양하였다. Rb1을 포함한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ARG에서 가장 낮은 10.69 mg/g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조건이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Autoclave로 얻어진 홍삼 및 용출액은 홍삼성분의 저분자량으로의 변환을 통해 색의 강화 등 향미성분이 개선되어 식품 뿐만 아니라 비식품의 소재 및 제품을 위한 수요가 기대된다.

바이오 폴리우레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Based Polyurethane)

  • 고종성;이진휘;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1-542
    • /
    • 2012
  • 본 논문은 바이오폴리우레탄의 연구동향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폴리우레탄은 원료 중의 식물유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중부가 고분자이다. 피마자유의 주성분은 히드록시기를 갖는 리시놀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이다. 이외의 히드록시기가 없는 식물유는 이중결합 위치에서 에폭시화 후 고리열림, 히드로포르밀화 후 수소첨가, 가오존분해 후 수소첨가, 티올-엔 반응으로 히드록시기를 부여한다. 폴리올의 반응성 및 마이크로도메인의 모폴로지 조절을 위한 하이퍼브랜치 폴리올, 일차 알코올 폴리올, 다당류 폴리올이 있다. 의료용의 생분해성 폴리락트산 폴리올, 가수분해 방지용 지방산 다이머 폴리올, 이온성 기를 함유한 수 분산 폴리우레탄용 폴리올이 있다. 바이오폴리올을 이용한 바이오폴리우레탄은 경질 및 연질 폼, 코팅제, 접착제, 실런트, 엘라스토머에 쓰인다.

폴리만뉴로닉산 첨가가 생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olymannuronic Acid on the Quality of Wet Noodles)

  • 김동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1-266
    • /
    • 2006
  • 본 연구는 갈조류의 다당류에서 분리 정제한 폴리만뉴로닉산(폴리만)을 밀가루에 첨가하여 생면 치조이용 가능성과 제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폴리만의 첨가량을 달리한 생면과 조리면은 제조후 색, 조직감, 조리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폴리만 첨가는 면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및 수분 흡수력에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폴리만 국수의 삶은 국물 탁도는 폴리만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만이 첨가된 생면과 조리면의 색도는 모두 폴리만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 a값 및 b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조직감은 폴리만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대조구에 비해 폴리만 첨가구의 경도는 감소된 반면, 탄력성과 부착성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는 대조구와 폴리만 2%와 4% 첨가구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2% 폴리만 첨가면이 다른 시료에 비해 맛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얻었다.

G009가 Peroxidizers에 의해 유발된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009 on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Peroxidizer in Rats)

  • 이준우;정훈;이승목;김기남;한만덕;이승룡;김수웅;강상모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3호
    • /
    • pp.244-250
    • /
    • 1996
  • In this study, the anti-lipidperoxidative effects of G009, a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IY009, was determined in ascorbic acid-$Fe^{2+}$-adenosine 5-diphosphate-intoxicated rat. In a model of ascorbic acid-Fe$^{2+}$-adenosine 5-diphosphat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 G009 exhibited anti-lipidperoxidative effect in rat liver homogenate, and that malondialdehyde values of the liver homogenate inhibited from 48.1% to 74.8% in comparison to controls (p<0.05). The malondialdehyde formation in serum inhibited 66.5% at 100 mg/kg of G009. Also, serum levels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in peroxidizer-induced rats treated with G009 was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Especially,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s in serum was related to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009 has a protective effect on ascorbic acid-$Fe^{2+}$-adenosine 5-diphosphate-induced hepatic injury through an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liver.r.

  • PDF

인공 우식 유발성 biofilm 구성성분의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artificial cariogenic biofilms over time)

  • 오철;판딧 싼토스;전재규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3권3호
    • /
    • pp.118-123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artificial cariogenic biofilms using a Streptococcus mutans biofilm model over a period of time. Methods: We analyzed the dry weight, colony forming unit (CFU) number,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EPS) biovolume, and acid production rate of S. mutans biofilms formed on saliva-coated hydroxyapatite discs after 26 h, 50 h, 74 h, 98 h, 171 h, and 195 h. In addition, we performed a laser scanning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y to determine the bacterial volume, EPS biovolume, and biofilm thickness. We calculated the biofilm density using dry weight and EPS biovolume. Results: Over a period of time, there was no change in the CFU number and acid production rate of S. mutans biofilms, bu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dry weight and EPS biovolume of S. mutans biofilms. The bacterial volume, EPS biovolume, and biofilm thickness only increased in the 50-h-old biofilm; however, no change was observed in 50-195-h-old biofilms.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biofilm density was observed over tim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id production ability of cariogenic biofilms does not change, but the biofilm density increases over time. However, due to scientific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ield of dentistry to get further insights on the progression of cariogenic biofilms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