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id phosphatase enzyme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에 관한 연구 (Biochemical Markers for Osteosarcoma)

  • 이창우;조우진;조재림;김태승;황건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1-50
    • /
    • 2001
  • 목적 : 골육종 환자의 조직과 혈청에서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및 amyl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그 활성도의 변동을 보았고 이들 효소가 골육종의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연구방법 : 골육종 환자의 혈청과 종양조직은 1 2예로부터 얻었으며, 이에 대한 대조조직은 동일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채취하였다. 조직 추출액을 얻어서 핵산, 단백함량, 그리고 효소 활성도의 측정에 사용하였다. DEAE-cellulose chromatography에 의해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neutral RNase, RNase inhibitor와 단백을 분리하고 그활성도와 단백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효소활성도의 양성율도 높게 나타났다. neutral RNase의 활성도가 특히 높았으며, RNase inhibitor는 neutral RNase와 복합을 이루면서 그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neutral RN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acid DNase는 단일효소로서, 그리고 neutral RNase는 5개의 isozyme으로 분리되었다. 결론 : 이들 효소의 병용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neutral RNase활성도의 측정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의 역할을 시사하였다. acid DNase와 neutral RNase가 골육종의 발생과 억제과정에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한우(韓牛) 말초혈액내(末梢血液內) rosette 형성세포(形成細胞)의 효소화학적(酵素化學的) 염색성(染色性) 비교(比較) (Comparison of enzyme cytochemical activities between rosetted cells in peripheral blood of Korean native cattle)

  • 김연수;송희종;김순재;서예원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9-135
    • /
    • 1997
  •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NC) of Korean native cattle rosetted with Korean goat erythrocytes(KGRBC) and blood monocytes were evaluated for four cytochemical reactions such as acid phosphatase(ACP), alkaline phosphatase-anti-boby(ALP-Ab), ${\alpha}$-naphthyl butyrate esterase(${\alpha}$-NBE) and peroxidas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rosetted cells, the positivities of ACP in E AET-DeX, EA and EAC were 70.3%, 22.4% and 25.2%, those of ${\alpha}$-NB were 27.4%, 44.2% and 79.8%, and those of ALP-Ab were 9.5%, 88.3% and 91.5%, respectively. Whereas, the positivity for Peroxidase in monocytes was 100%. In non-rosetted (remained) cells, the positivities of ACP in E AET+DeX. EA and EAC were 41.4%, 57.2% and 61.9%, those of ${\alpha}$-NB were 38.6%, 16.5% and 18.9% and those of ALP-Ab were 98.2%, 5.3% and 6.3%, in order.

  • PDF

Escherichia coli WC7가 생산하는 Phytase의 효소특성과 그 유전자의 클로닝 (Characterization and Cloning of a Phytase from Escherichia coli WC7.)

  • 최원찬;오병철;김형권;강선철;오태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02
  • 토양으로부터 phytate 분해능이 뛰어난 phytat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 동정한 결과 Escherichia coli로 동정되었고, E. coli WC7으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phytase를 ammonium sulfate 침전, Phenyl-Sepharose, DEAE-Sepharose, CM-Sepharose, Resoure S, Mono S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정제를 수행하여 정제도 1,250 배, 수율 30%로 정제하였고 640 Unit/mg의 비활성을 얻었다. 또한 정제된 phytase는 SDS-PAGE에서 분자량 45kDa인 단일 subunit로 이루어진 단일효소임을 확인하였다. E. coli WC7 phytase의 최적 pH는 5.0, 최적 온도는 $60^{\circ}C$였으며, pH 2.0-12까지 안정하였다. 열안정성에서는 $60^{\circ}C$이상에서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보여 초기 활성의 20% 활성만을 나타내었다. Phytase의 N-말단 아미노산 서열은 Ser-Glu-Pro-Clu-Leu-Lys-Leu-Glu-Ser-Val-Val이었으며 이는 E. coli 유래의 pH 2.5 acid phosphatase와 아주 큰 유사성을 보였다. S. coli WC7 phytase의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해 E. coli acid phosphatase의 DNA sequence를 바탕으로 한 primer들을 이용하여 PCR 클로닝을 수행하였으며 증폭된 PCR fragment를 pUC19 벡터에 클로닝 하고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1.2 kbp의 WC7 phytase 유전자의 ORF를 확인하였으며 432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분자량 44,716 Da의 단백질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acid phosphatase 효소들의 active site라고 추정되는 active site motif인 RHGXRXP가 N-terminal 쪽에 존재하고 있었다. pUEP를 이용하여 E. coli XL1-Blue에서 phytase를 발현시켰을 때 효소의 생산량이 17.5 U/ml로서 원균주의 23배 활성을 가졌으며,효소의 비활성 및 pH 안정성 측면에서 높은 산업적 이용가능성을 볼 때 사료첨가제 효소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살충제(殺蟲劑)가 토양환경중(土壤環境中)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secticides on Enzyme Activities in Soil Environment)

  • 홍종욱;김장억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3호
    • /
    • pp.294-303
    • /
    • 1986
  • 유기인계(有機燐系) 및 carbamate계(系) 살충제(殺蟲劑)의 처리(處理)로 뇨소(尿素)가 시용(施用)된 토양내(土壞內)의 효소활성(酵素活性) 및 잔류량(殘留量)의 변화(變化), 총세균수(總細菌數)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규명(糾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살충제(殺蟲劑)가 urease와 phosphatase의 활성(活性)에는 dithioposphoric acid, thio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carbamate계(系)의 순(順)으로 저해율(沮害率)이 높았으며, L-glutaminase와 protease의 활성(活性)에는 thiophosphoric acid, dithiophosphoric acid, phosphoric acid, carbamate계(系)의 순(順)으로 저해율(沮害率)이 높았다. 대체적으로 유기인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는 처리(處理) 후(後) 56일(日)째까지 약하게나마 저해현상(沮害現象)을 나타낸 반면 carbamate계(系)는 28일(日)째 이후에는 영향(影響)이 거의 없었다. Carbamate계(系) 살충제(殺蟲劑)는 protease와 L-glutaminase의 활성(活性)을 56일(日)째에 약간 증가(增加)시켰다. 뇨소(尿素)의 시용(旅用)으로 인(因)해 살충제(殺蟲劑)의 분해(分解)는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해서 약간 촉진(促進)되었다. 토양내(土壞內)의 총세균수(總細菌數)는 살충제(殺蟲劑)의 처리(處理)로 초기(初期)에는 대조구(對照區)보다 감소(減少)되었으나 후기(後期)에는 phosphoric acid형(形)과 carbamater계(系)에서는 균수(菌數)가 약간 증가(增加)되었으나 thiophoric, dithiophosphosphoric acid형(形)에서는 계속 저해(沮害)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mpact of transgenic AFPCHI (Cucumis melo L. Silver Light) fungal resistance melon on soil microbial communities and enzyme activities

  • Bezirganoglu, Ismail;Uysal, Pina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2호
    • /
    • pp.156-163
    • /
    • 2017
  • A greenhous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effects of transgenic melon plants in the rhizospheric soil in terms of soil properties,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communities. Organic matter content of soil under transgenic melon pla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oil with non-transgenic melon plants. Significant variations were observed in organic matter, total P and K in soil cultivation with transgenic melon plant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total numbers of colony forming units of fungi, actinomycetes and bacteria between soils treated with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melon plants.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melon significantly enhanced several enzymes activities including urease, acid phosphatase, alkalin phosphatase, arysulphtase, ${\beta}$ glucosidase, dehydrogenase, protease and catalase. Soil polyphenoloxidase activity of $T_1$ transgenic melon was lower than that of $T_0$ transgenic melon and a non-melon plant during the same period. The first generation transgenic melon plants ($T_0$)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p<0.05) effect on the activitiy of arylsulfatase, which increased from $2.540{\times}10^6CFU\;g^{-1}$ (control) to $19.860{\times}10^6CFU\;g^{-1}$ ($T_0$).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ransgenic melon might change microbial communities, enzyme activi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Effects of thinning intensity on nutrient concentration and enzyme activity in Larix kaempferi forest soils

  • Kim, Seongjun;Han, Seung Hyun;Li, Guanlin;Yoon, Tae Kyung;Lee, Sang-Tae;Kim, Choonsig;Son, Yowha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5-11
    • /
    • 2016
  • Background: As the decomposition of lignocellulosic compounds is a rate-limiting stage in the nutrient mineralization from organic matters, elucidation of the changes in soil enzyme activity can provide insight into the nutrient dynamics and ecosystem functioning. The curr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effect of thinning intensities on soil conditions. Un-thinned control, 20 % thinning, and 30 % thinning treatments were applied to a Larix kaempferi forest, and total carbon and nitrogen, total carbon to total nitrogen ratio, extractable nutrients (inorganic nitrogen,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potassium), and enzyme activities (acid phosphatase, ${\beta}$-glucosidase, ${\beta}$-xylosidase, ${\beta}$-glucosaminidase) were investigated. Results: Total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30 % thinning treatment, whereas both the 20 and 30 % thinning treatments did not change total carbon to total nitrogen ratio. Inorganic nitrogen and extractable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20 % thinning treatment;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for extractable phosphorus and potassium concentrations either in the 20 or the 30 % thinning treatment. However, the applied thinning intensities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acid phosphatase, ${\beta}$-glucosidase, ${\beta}$-xylosidase, and ${\beta}$-glucosaminidase activit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inning can elevate soil organic matter quantity and nutrient availability, and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may affect extractable soil nutrients inconsistently.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such inconsistent patterns in extractable nutrient concentrations after thinning might 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shifts in the enzyme-mediated nutrient mineralization.

인삼엽요병에서 효소활성도의 변화 (Study on the Enzyme Activity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2-97
    • /
    • 1989
  • 인삼엽을 강광(100 KLuw) 및 고온($45^{\circ}C$, 암상태)에 처리하여 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catalas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구에서 공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특기 강광에서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활성도 감소는 효소의 thermal stabilities나 coagulation 등과 같은 광에 의한 2차적인 엽온상승 효과에 따른 inactivation이 아니며, proteolytic activity 증가로 인한 효소단백질의 함량감소로 확인되었다. 인삼엽에서 proteolytic activity가 강광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엽(normal leaf)에 inactive 상태로 내재(compartmentation)되어 있는 proteinase가 타 식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lorphyll bleaching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superoxide radical(${O_2}^{-}$)의 광화학적 생성율이 비교식물(Solanum nigrum)보다 높게 나타나고 crude saponin이 superoxide의 생성율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superoxide에 의한 pigment system의 광산화율이 타 식물에 비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찰가자미, Micromus achne 자어의 성장과 발달에 따른 소화효소 활성의 변화 (Changes of Digestive Enzyme Activity in Slime Flounder, Micromus achne Larvae with Growth and Development)

  • 박상언;임한규;한현섭;이종하;임영수;이종관;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3-239
    • /
    • 2003
  • 부화 직후부터 변태를 완료하는 58일째까지 찰가자미 자어에서 소화효소들의 활성과 성장이 조사되었다. 자어들은 먹이를 공급하지 않는 조건과 충분히 공급하는 두 가지 조건에서 사육되었고 일정한 간격으로 성장과 함께 acid phosphatase(ACPase), alkaline phosphat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절식구에서 전장의 성장은 부화 후 7일까지 빠르게 증가하였으나, 이후부터는 거의 변화가 없었고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시 5.13$\pm$0.18mm였던 것이 58일 후 13.43$\pm$1.40mm로 성장하였다. 절식구의 개체 당 건조 체중은 부화 직후부터 기아로 사망이 발생한 12일째까지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였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난황이 흡수될 때까지는 감소하였지만, 부화 후 20일째부터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ACPase와 ALPase 비활성은 절식구의 경우 실험을 종료할 때까지 증가하였으나, 먹이공급구는 부화 후 20일까지 증가한 후 실험을 마칠 때까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두 실험구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절식구의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3일부터 증가하여 6일째에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난황을 완전히 흡수한 이후부터는 활성이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먹이 공급구의 경우 부화 후 3일부터 난황을 완전히 흡수할 때까지 빠르게 증가하였고,20일째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rypsin-like enzyme 활성은 부화 후 8일부터 먹이공급구가 절식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두 실험구 모두에서 부화 초기에는 증가하였으나, 절식구에서는 실험종료 시까지 감소하였고, 먹이 공급구는 부화 후 10일째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일시적으로 감소하지만 부화 후 20일째 다시 높은 활성을 나타낸 후 실험 종료 시까지 서서히 감소하였다. Pepsin-like enzyme 활성은 8일째와 10일째 절식구가 먹이공급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ACPase, ALPase의 비활성 및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치 활성은 자어의 성장이나 형태 발달과 깊은 연관이 있었다. 그리고 trypsin-like enzyme과 pepsin-like enzyme의 활성은 자어의 발달 단계, 성장 및 먹이 공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어의 건강이나 성장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간접적인 지표로써 이용 할 수 있겠다.

히스티딘 에시드 포스파테이즈(Histidine Acid Phosphatase) 계열 인간 파이테이즈(Phytase)의 일반적 특성규명 (General Enzymatic Properties of Human Histidine Acid Phosphatase-Phytase)

  • 조재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177-182
    • /
    • 2009
  • 산업용 균주인 Pichia pastoris에서 재조합 발현된 당화된 인간유래 MINPP (multiple inositol polyphosphate phosphatase) 효소는 기질 피틴태인(InsP6)에 대한 파이테이즈 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탈당화시 그 효소활성이 30% 감소되었다. 그 효소의 기질 $InsP_6$에 대한 최적 pH 활성은 중성범위인 pH 7.4였다. 기질특이성 측면에서 인간 MINPP 효소는 para-nitrophenylphosphate (pNPP), ATP, ribose-1-phosphate (R-1-P)와 같은 유기인산화합물(organic phosphate conjugates)의 분해활성은 매우 낮은 대신, 기질 $InsP_6$를 효과적으로 분해하였고 특히 화학적 자극제인(chemical stimulator)인 1 mM 2-phosphoglycolate (2-PG)의 첨가에 따른 기질 2,3-bisphosphoglycerate (2,3-BPG)에 대한 효소활성이 2-PG를 첨가하지 않을때 보다 1.2배 증가되었지만 기질 $InsP_6$에 대한 효소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2 mM $Mg^{2+}$ 이온과 100 mM $Cl^-$ 이온의 첨가는 MINPP 효소의 기질 2,3-BPG에 대한 효소활성에 역시 영향을 주지 않았다.

Long-term effects of ZnO nanoparticles on exoenzyme activities in planted soils

  • Kwak, Jin Il;Yoon, Sung-Ji;An, Youn-Jo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224-229
    • /
    • 2017
  • Zinc oxide nanoparticles (ZnO NPs) have been used as additives in a variety of consumer products. While these particles may enter the environment,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ZnO NPs on soil exoenzymes. Here, we investigate the long-term effects of ZnO NPs at concentrations of 50 and 500 mg/kg on the activities of six soil exoenzymes in planted soils: Dehydrogenase, fluorescein diacetate (FDA) hydrolase, urease, acid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beta}-glucosidase$.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at one or more time points for all enzymes except for FDA hydrolase. These effects included both decreases and increases in enzyme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ZnO NP treatments of 50 and 500 mg/kg can adversely affect soil enzymes, particularly acid phosphatase and urease, and thus, these data may have implications for phosphorous and nitrogen cycles in th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