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hydrolysis condition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2초

효소분해조건에 따른 돈혈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cine blood under various conditions of enzyme hydrolysis)

  • 박주영;김미연;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13-421
    • /
    • 2016
  • 본 연구는 폐기되는 돈혈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고자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5종을 처리하여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KMFP-15(E)로 가수분해할 때 pH 7.3, 총 고형분 함량 $24.3^{\circ}Brix$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4,944 mg%로 가장 높은 고형분 함량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KMFP-15(E) 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고형분 함량 및 유리아미노산이 증가하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은 KMFP-15(E) 0.2% (w/v)첨가구에서 7,224 mg%로 0.3% (w/v)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0.2% (w/v)로 설정하였다. KMFP-15(E)의 가수분해 시간에 따라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시간에서 7,404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최적 가수분해시간은 4시간으로 설정하였다. 상기 설정된 가수분해 조건을 통해 제조된 돈혈 분말(PBHP)에는 조단백질 및 아미노산과 철분, 칼륨, 아연 등 다량의 무기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철분의 함량은 1,983 mg%로 높게 나타나 식품소재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폐기되는 돈혈의 활용방안으로 다양한 가수분해조건중 효소 KMFP-15(E) 0.2% (w/v)를 첨가하여, 4시간에서 가수분해 하였을 때 전반적 품질 특성이 가장 우수하여 향후 돈혈을 이용해 단백질 보충, 아미노산소재 및 철분강화제 등의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의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임계수를 이용한 표고버섯 골목의 가수분해 (Supercritical Water Hydrolysis of Waste Logs after Oak Mushroom Production)

  • 구본욱;이재원;최준원;최돈하;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1-95
    • /
    • 2006
  • 표고버섯 골목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당화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대한 기초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버섯 골목으로 사용되는 상수리나무 정상재를 다양한 초염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적용하고 분해산물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임계수 가수분해 반응 시간 및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산물 및 비수용성 잔사의 색 진해짐, 분해율의 증가 그리고 비수용성 잔사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였다. 반응 압력의 증가는 낮은 반응 온도와 짧은 반응 시간 조건에서만 분해 산물의 색변화 및 분해율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초염계수 가수분해는 반응 초기에 hemicellulose의 분해가, 반응 후기에는 cellulose 분해가 진행되었다. 반응 시간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향상시켰고 반응 온도의 증가는 $415^{\circ}C$까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켰지만 $415^{\circ}C$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시켰다. 낮은 반응 온도조건에서 반응 압력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컸지만, 높은 반응 온도 조건에서는 오히려 당화 수율을 감소시켰다. 확인된 당화 수율의 결과를 토대로 상수리나무 정상재의 최적 초엄계수 가수분해 조건은 $415^{\circ}C$, 23 MPa, 60초로 결정하였으며, 당화 수율은 2.68%로 확인되었다. 결정된 최적 조건에서 골목의 초임계수 가수분해를 실시한 결과 당화 수율이 3.58%로 정상재의 당화 수율보다 높았다. GC-MS를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분석 결과, 주요 분해 산물은 1,1'-oxybis-benzene과 1,2-benzendicarboxylic acid로 확인되었고, 낮은 분해율을 보인 반응 조건에서는 pentadecanoic acid, 14-methyl-heptadecanoic acid 등과 같은 지방산류가 공통적으로 검출되었다.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enol, benzene류의 증가가 확연되었지만 비수용성 잔사에서는 반응 압력의 차이에 의한 분해 산물의 변화는 없었다. 비수용성 잔사의 성분 분석 결과 60.6~79.2%의 holocellulose를 함유하고 있었고, 산 촉매 가수분해에 의하여 49.2~67.5%의 당화 수율을 보여주었다. 희산을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2차 가수분해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 산불 내 당화 수율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Saccharina japonica를 이용한 전처리 및 분리당화발효와 동시당화발효로부터 에탄올 생산 (Ethanol Production by Separate Hydrolysis and Fermentation and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Using Saccharina japonica)

  • 김민지;김성구
    • KSBB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86-90
    • /
    • 2012
  • Ethanol ferment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SSF) and separated hydrolysis and fermentation (SHF) processes with monosaccharides from seaweed, Saccharina japonica (sea tangle, Dasima) as the biomass. The pretreatment was carried out by thermal acid hydrolysis with $H_2SO_4$ or HCl. Optimal pretreatment condition was determined at 10% (w/v) seaweed slurry with 37.5 mM $H_2SO_4$ at $121^{\circ}C$ for 60 min. To increase the yield of saccharfication, isolated marine bacteria Bacillus sp. JS-1 was used and 48 g/L of reducing sugar were produced. Ethanol fermentation was performed using SSF and SHF process with Pachysolen tannophilus KCTC 7937. The ethanol concentration was 6.5 g/L by SSF and 6.0 g/L by SHF.

농산폐자원의 이용에 관한 연구(제일보) 산당화 및 당화액을 이용한 효모 생산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s.(Part I) Acid-Hydrolysis of Straws and the Utilization of the Hydrolyzate)

  • 배무;김병홍;윤애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6
    • /
    • 1973
  • 1. 화본과 작물의 짚 중에는 조섬유소, 즉, cellulose 및 hemicellulose 등 다당류의 양이 42∼55% 함유되어 있으며 동일작물이라도 품종이나 재배조건이 다르면 성분의 차이가 있었다. 2. 황산 당화액을 발효에 사용하려면 1∼2%의 황산으로 40psig에서 10분간 당화시키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으며 이 때 당화율은 원료에 대하여 30∼35%이었다. 3. 황산당화에서 40psig이상으로 가열하면 hexose의 양은 증가하나 peotose의 양은 감소하였다. 이는 pentose가 furfural 등 발효저해 물질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4. 볏짚을 상압에서 2∼5%의 황산으로 가열하여 3∼5시간에 원료에 대하여 약 35%의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5. 40psig이하에서 얻은 당화액에서 Candida utilis NCYC 707을 배양하여 소비당의 50∼55% 균체를 생산하였으며 이 때 당소비는 초기 당의 90% 이상이었다.

  • PDF

자숙크릴의 일반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을 위한 반응표면법에 의한 알카라제 가수분해 최적화 (Comparison of General Composition of Cooked Krill and Alcalase Optimization for Maximum Antioxidative Activity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경묘;조용범;황영정;이다선;이양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숙크릴에 Alcalase를 사용하여 크릴가수분해물의 항산화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독립변수인 pH와 온도에 대한 가수분해 최적조건을 찾아 이를 기초로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해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서 크릴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하여 가수분해물 조건을 최적화 하였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calase를 이용한 크릴 가수분해 최적화에 있어 독립변수(independent variables)로는 pH, temperature로 두고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로는 단백질 분해정도의 TCA, DPPH-scavenging과 Fe-chelating activities로 하여 데이터를 SAS software를 이용하여 식을 얻고 이에 대한 3차원 그래프는 Maple software를 사용하여 얻었다. 자숙크릴의 가수분해 최적화 실험에 있어 DH효과는 pH 8.5, 온도 $66.6^{\circ}C$에서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TCA는 29.4%로 나타났다. DPPH효과는 pH 7.4, 온도 $67.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DPPH는 27.1%로 나타났다. Fe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pH 8.7, 온도 $65.5^{\circ}C$일 때 가수분해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때 철에 대한 킬레이팅효과는 24.9%로 나타났다.

  • PDF

Beta-D-Galactosidase에 의한 유청에 함유된 유당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Lactose in Whey by the BetavD-Galactosidase)

  • 최미진;허태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6-52
    • /
    • 1992
  • 농축유청으로부터 유청음료 제조를 위한 최적조건을 조사하기 위해 역삼투장치(reverse osmosis system)를 사용하여 치즈유청 속의 유당을 농축한 수 $\beta$-D-glactosidase로 가수분해시켜 그 분해정도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유당의 가수분해 정도는 농축적 유청, 2배 농축 유청과 3배 농축 유청 순으로 가수분해되었고 일정량의 효소첨가에 의해 농축된 염이 $\beta$-D-Galactosidase에 대한 약간의 저해작용을 일으켰다.

  • PDF

전두유의 가수분해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Whole Soymilk Dependent on Hydrolysis Conditions)

  • 장세영;구영아;박난영;김인선;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94-39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전두유의 가수분해 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소제(KMF-G)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두유 가수분해물의 당도, 칼슘 내인성, 및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SDS-PAGE 분석 결과 단백질의 분자량 변화는 0.20%(w/w)와 0.35%(w/w) 농도에서 유사한 패턴을 나타냈다. 전두유 가수분해물은 효소제(KMF-G) 농도 0.20%(w/w), 가수분해 시간 60분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전두유 가수분해물을 115, 130 및 $145^{\circ}C$에서 15초간 살균하였을 때 품질변화는 크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전두유의 가수분해 최적조건은 효소제(KMF-G) 농도 0.20%(w/w), 가수분해 시간 60분으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식품소재로의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환경친화적인 합성기유 후보물질로서의 몇가지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Hydrolysis Rate of Several Polyol Ester Oils as a Candidate for Environmentally Adapted Synthetic Base Oil)

  • 한두희;마사부미마스꼬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1년도 제33회 춘계학술대회 개최
    • /
    • pp.162-177
    • /
    • 2001
  • 분자구조가 서로 다른 7종의 폴리올에스터 오일에 대한 가수분해속도가 측정되었다. 사용된 폴리올에스터는 2가 및 4가의 다가알콜과 서로 다른 탄소수의 직쇄 흑은 분기지방산으로 합성된 다가에스터 화합물이며, 이들의 가수분해반응은 p-톨루엔설폰산을 촉매로 사용하는 온건한 산성조건하에서 수행되었다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과정에서 생성되 는 부분에스터와 다가알콜 및 지방산 등의 구조가 확인되었고 반응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수분해 생성물들의 농도가 측정되었다. 각 반응단계의 속도상수는 속도식과 실험적으로 얻은 각 화합물들의 농도로부터 최소제곱법에 의해 구하였고, 얻어진 가수분해 속도상수가 서로 비교되었다.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가수분해 속도는 지방산의 분자구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직쇄지방산에 의한 폴리올에스터 오일은 분기지방산에 의한 폴리올에스터 오일보다 가수분해속도가 매우 마르며, 분기지방산에 의한 폴리을에스터 오일 중에서는 가지사슬의 모양과 위치가 가수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연구에서 사용된 7종의 폴리올에스터 오일에 대한 가수분해속도는 물분자가 폴리올에스터 오일의 카르보닐 탄소를 공격할 때 인접한 가지사슬에 의한 입체장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 PDF

Direct Fermentation of Potato Starch in Wastewater to Lactic Acid by Rhizopus oryzae

  • Huang, Li-Ping;Bo Jin;Paul Lant;Xianliang Qiao;Jingwen Chen;Wence S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9권4호
    • /
    • pp.245-251
    • /
    • 2004
  • The fungal species of Rhizopus oryzae 2062 has the capacity to carry out a single stage fermentation process for lactic acid production from potato starch wastewater. Starch hydrolysis, reducing sugar accumulation, biomass formation, and lactic acid production were affected with variations in pH, temperature, and starch source and concentration. A growth condition with starch concentration approximately 20 g/ L at pH 6.0 and 30$^{\circ}C$ was favourable for starch fermentation, resulting in a lactic acid yield of 78.3%∼85.5% associated with 1.5∼2.0 g/L fungal biomass produced in 36 h of fermentation.

조, 수수 및 기장의 단백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Sorghum and Common Meillet)

  • 하영득;이삼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7-192
    • /
    • 2001
  • Amino acid composition of proteins in Italian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were invstigated by HCI hydrolysis method. The optimum condition was obtained by hydrolysis at 110$\^{C}$ for 24hr. As major amino acids from protein hydrolyzate, the content of tyosine, arginine and phebylalanine were 7.06%, 6.79% and 6.44%, respectively.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in Common millet, Italian millet and Sorghum were 5.73%, 5.64% and 5.46%, respectively. Glycine content was about 2.93% in three samples.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pure protein in Italian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were determined by micro-kjeldahl metho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pure protein. Protein content of sorghum was higher than those of Italian millet and Common millet. For SDS-PAGE analysis, Italian millet showed more soluble proteins including 50kDa, 30kDa and smaller proteins than other cereals. In particular, Common millet and Sorghum only solubilized proteins less than 15kD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