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coagulation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폐 철광산 주변 비소로 오염된 토양에 대한 연속 세척기법의 적용 (Sequential Washing Techniques for Arsenic-Contaminated Soils near the Abandoned Iron-Mine)

  • 황정성;최상일;한상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1호
    • /
    • pp.58-64
    • /
    • 2005
  • 본 연구는 플럭 형성 비소 오염토양에 대한 토양세척기법 적용시 최적의 운전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대상 시료는 D 폐철광산 토양을 선정하였다. 최적의 cut-off size는 전체 토양 중량에 대하여 약 $94\%$ 정도의 분포를 보이는 0.15 mm ($\#100$체)이었다. 수산화나트륨과 염산 모두 비소 제거에 효과적이었고, 진탕비 (토양[g]:세척용액[mL])는 2가지 세척제에 대하여 1:5가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세척시 형성되는 플럭에 대하여 비소 농도를 파악한 결과, 여타 pH조건에서보다 pH $5\~6$에서 형성된 플럭의 건조 비소 농도가 $990\~1,086\;mg/kg$ dry solids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척효율의 향상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세척시 형성되는 플럭의 제거 유무에 따른 연속 토양세척 실험을 수행하였다. 0.2 M염산을 사용하여 플럭을 제거한 토양을 염산 1 M로 세척한 다음 1 M 수산화나트륨으로 연속 세척한 결과, 비소 농도는 약 1.5 mg/kg dry soil을 보였다. 각 단계마다 발생된 세척유출수기 비소 농도는 약 $2\~3\;mg/L$이었으나, 각각의 세척유출수를 혼합하는 경우 비소 농도가 $50\;{\mu}g/L$ 이하로 감소되었는제 이는 비소가 응집${\cdot}$침전으로 제거되는데 유리한 pH조건으로 변환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해원소로 오염된 토양 세척 및 세척수의 처리 (Soil Washing and Effluent Treatment for Contaminated Soil with Toxic Metals)

  • 양중석;황진민;백기태;권만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745-7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해원소로 오염된 현장토양을 대상으로 물리적 및 화학적 토양세척공법을 적용하였을 경우, 유해원소의 처리효율과 더불어 토양세척공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중화, 응집, 흡착 반응을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를 고려하여 최적 토양세척공법의 선정방법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토양에서 주된 유해원소인 비소제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 황산 수용액보다 효과적이었다. 반면, 폐수 처리의 경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토양 세척 시 함께 추출되는 토양유기물로 인하여 폐수처리가 복잡하고 유해원소의 제거가 잘되지 않아 세척공정의 세척제로는 산을 이용하여 토양을 세척하는 것이 좋으며, 발생하는 세척액의 pH를 6.5 이상으로 중화시켜 대부분의 유해원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흡착제로 GFO(Granular ferric oxide)를 이용하였을 경우 비소와 납의 제거율이 뛰어났으며, 중화공정과 결합하였을 경우 대부분의 유해원소를 제거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토양세척 공법 적용 시 토양의 특성에 따라 유해원소의 제거율 및 세척액의 처리 및 재이용 방법이 차이가 있으므로, 세척효율 및 세척수 처리 공정을 고려한 체계적인 최적화를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 규모 물 처리 공정 및 후속 흡착 처리에 의한 오염원 제거 잠재성 평가 (Potential of Contaminant Removal Using a Full-Scale Municipal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dsorption as Post-Treatment)

  • 변해일;여건희;응우옌 홍안;김영웅;김동건;이태훈;정설화;최영화;오승대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67-17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로사이클론, 응결/응집, 용존공기부상 단일 공정이 결합한 실 규모 물순환 조합공정(HCFD)의 오염 지표수 처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 규모 물순환 공정은 수질 변동이 큰 유입 원수를 대상으로 안정적인 수처리 효율을 보였으며, 유입수의 주요 수질 지표가 매우 나쁨(BOD, TP, COD) 혹은 약간 나쁨(SS)이었으나, 방류수는 매우 좋음(BOD, SS, TP) 혹은 좋음(COD) 수준으로 향상되었다. 물순환 시스템 방류수의 후속 고도 처리를 위해 활성탄 기반 흡착 공정의 용존성 유기물 및 미량오염물질(잔류의약물질 APAP 및 산업 화학물질 AO7) 처리 잠재성을 평가하였다. 오염원 흡착 특성은 흡착동역학 및 등온 흡착실험과 관련된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후처리 활성탄 흡착은 잔류 유기물, APAP, AO7 유기물에 대한 높은 오염원 제거 잠재성이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오염원 흡착속도 및 최대 흡착량 값은 유사 2차 반응속도 모델과 Langmuir 등온흡착 모델에 의해 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활성탄 기반 흡착 공정은 기존의 물순환 조합공정과 연계시 수처리 효율을 상호 보완적으로 높이고, 흡착 공정은 전단의 입자 분리 공정으로 제거가 어려운 용존성 오염원의 후속 처리에 대한 높은 잠재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Sialic Acid를 지표성분으로 하는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의 기능성식품 개발연구 - I. 효소분리로 7% Siailc Acid가 표준적으로 함유된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7%)의 랫드를 이용한 90일 반복경구투여 독성시험 평가 연구 - (Development and Research into Functional Foods from Hydrolyzed Whey Protein Powder with Sialic Acid as Its Index Component - I. Repeated 90-day Oral Administration Toxicity Test using Rats Administered Hydrolyzed Whey Protein Powder containing Normal Concentration of Sialic Acid (7%) with Enzyme Separation Method -)

  • 노혜지;조향현;김희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99-116
    • /
    • 2016
  • 본 시험은 sialic acid가 7%를 함유하도록 제조한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제제(whey protein of hydrolysis)의 기능성 식품원료로 개발을 위한 동물안전성을 평가함에 연구목표를 두었다. GMP를 원료로 제조한 시험물질은 sialic acid 7%(v/v)와 원료인 GMP 가수분해 단백질이 93%로 구성되어 있었다(시험명: 7%-GNANA). 시험물질의 독성 유무는 한국식품의약안전청(KFDA, 2014)과 OECD(2008)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으로서, 시험물질의 투여용량을 0, 1,250, 2,500 및 5,000 mg/kg/day로 하여 SPF Sprague-Dawley 계열 암수 랫드에 90일 동안 반복경구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독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서는 사망률, 일반증상관찰,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측정, 안검사, 요검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 시 장기의 중량측정, 부검 시 육안적 검사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등을 평가하였다. 90일 반복경구투여 실험결과로서, 시험물질투여 및 관찰기간 동안 사망동물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일반증상, 체중 변화, 사료섭취량, 안과학적 검사, 요검사 그리고 혈액학적 및 혈액이화학적 이상 및 혈액응고검사에서 대조군 대비 특이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부검 및 병리조직학적 평가 결과,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유래 중요한 변화 없이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non-adverse effect)만인 5,000 mg/kg/day에서 확인되었다. Weight-based classification(독성 강도에 따른 분류)을 적용한 최종 독성평가 결과, 수컷의 경우 NOEL(No Observed Effect Level)은 5,000 mg/kg/day 그리고 암컷의 경우는 NOAEL(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은 5,000 mg/kg/day로 최종 확인되었다. 따라서,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의 NOAEL은 투여최대용량인 5,000 mg/kg/day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GMP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7%-GNANA(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는 투여가능 최대용량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파동형 Nd:YAG 레이저조사가 인체 치은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Pulsed Nd:YAG laser irradiation on human gingival tissues)

  • 강경동;김천석;김형수;김현섭;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4호
    • /
    • pp.989-100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pulsed Nd:YAG laser irradiation on human gingival tissues. The patients, who were planned to be treated by clinical crown lengthening procedure and gingivectomy, were selected. All the patients received oral hygiene instruction, scaling and root planing at preoperation. The crest of gingival tissue on upper and lower anterior teeth was irradiated by a pulsed Nd:YAG laser(El. EN. EN060, Italy) with a fiber optic of 300 m in contact mode for 20 seconds. Gingival tissu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laser power of 1.0W(10Hz, 100mJ), 2.0W(20Hz, 100mJ), 3.0W(30Hz, 100mJ) and 4.0W(40Hz, 100mJ). Immediately after the laser irradiation, the specimens were excised, fixed 10% neutral formalin, sectioned $4-6{\mu}m$ thick, stained by Hematoxylin-Eosin and Periodic Acid Schiff stain and observed under light microscope. The removed tissue depth and the coagulated layer depth due to a laser irradiation by a laser irradiation were measured on the microphotographs. The difference of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aser power was statistical1y analyzed by Kruskal Wallis Test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histologic findings of irradiated gingival tissues; a. In the irradiated gingival specimen with 1.0W laser power, some vesicles were observed in limited superficial layer of gingival epithelium. b. In the irradiated gingival specimen with 2.0W and 3.0W laser power, the epithelium was almost removed except for the traces of viable basal cell remnants at ret peg, and coagulation necrosis related with the thermal effect of laser was noted. c. In the irradiated gingival specimen with 4.0W laser power, complete removal of epithelium, partial removal of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and the coagulation necrosis of subjacent gingival tissue were shown. 2. The removed tissue depth was deeper in the irradiated specimens with higher power.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removed tissue depth between 1.0W group ($44.54{\pm}6.99um$) and 3.0W group ($99.75{\pm}6.64{\mu}m$), and between 1.0W group($44.54{\pm}6.99{\mu}m$) and 4.0W group($111.36{\pm}4.50{\mu}m$), and between 2.0W group($98.01{\pm}4.53{\mu}m$) and 4.0W group($111.36{\pm}4.50{\mu}m$)(P<0.05). 3. The coagulated layer depth was deeper in the irradiated specimens with higher power. There w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difference of coagulated layer depth between 1.0W group($31.82{\pm}8.99{\mu}m$) and 3.0W group($55.99{\pm}20.94{\mu}m$), and between 1.0W group($31.82{\pm}8.99{\mu}m$) and 4.0W group($83.68{\pm}10.34{\mu}m$)(P<0.05). From this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a pulsed Nd:YAG laser irradiation on gingival tissues seemed to depend on the laser power and that the irradiation with high power could be harmful to adjacent healthy tissue.

  • PDF

사라리 축우폐사의 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etiological agents of sudden death in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 정종식;박노찬;김정화;김영환;조광현;조민희;손재권;김영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25-347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clinicopathological, microbiological, pathological observations and other tests from sudden death in feedlot cattle at the region of Sarari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1999. Massive or sporadic occurrence of sudden death has been observed in 101 heads of 47 farmhouse. There were 20.8% in spring, 29.7% in summer, 16.8% in autumn, 32.7% in winter, and 62.3% in reproductive, 27.7% in growing, 5.0% in beef cattle, 5.0% in calf in prevalence of sudden death in cattle. Enterotoxemia(88.0%), pneumonia(3.5%), intestinal diarrhea(3.5%), liver abscess(1.5%) and indigestion(1.5%) were detected from 67 heads of sudden death cattle. In clinical observations, cattle were generally died of sudden recumbency with convulsions followed anorexia, depression, ataxia, muscular tremor, tachycardia and dyspnea without any premonitory symptoms. Epidemiological surveys showed no evidence that other factors such as pesticide, insecticide, fertilizer, chemical drug3 and those of others caused sudden death. Macroscopically, there were coagulation disorders of blood, congestion, edema and haemorrhage of lung, congestion and haemorrhages, watery and blood-tinged contents of small intestine. Histopathologically, we observed pulmonary congestion and haemorrhage, necrotic intestinal mucosa accompanied with haemorrhage and congestion, and also increased globule leukocytes between bronchial epithelia with mild pneumonia. Clinicopathologically, only elevation of blood gluco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was detected. Magnesium and calcium deficiency were not detected, but parasites were detected highly in normal and dead cattles. Microbiologically, Clostridium(Cl) pefringens were detected from small intestinal contents of 94% (63/67) of sudden death cattle and 51%(51/101) of slaughter cattle, and the population were $10^{6-8}$/cfu/$m\ell$ after 16~32 hours. Consequently, it was proved that the cause of death in cattle was enterotoxemia. Pathogenic test of mouse and goat inoculated with Cl perfringens type A toxin has been demonstrated as similar observation to natural cases. I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mpicillin, bacitracin, polymycin, cephalothin, penicillin, ch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were highly susceptible, and amikacin, gentamicin,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sulfamethoxine, sulfamethazine were resistant. Cl perfringens were resisted for 4 hours in 3% formalin, 20 minutes in 4% phenol, 20 minutes in 0.5% mercuric chloride and 40 minutes in 0.1% sodium hydroxide, respectively. The useful method to prevent from occurrance of enterotoxemia in feedlot cattle was a dietary administration of antibiotics and miyari acid.

  • PDF

환경친화적 LE-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반연속식 말브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유화중합에 관한 연구 (Semi-continuous Emulsion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Methyl metacrylate using Environmental-Friendly LE-Type Nonionic Surfactant)

  • 김철웅
    • 청정기술
    • /
    • 제11권1호
    • /
    • pp.41-50
    • /
    • 2005
  • 본 연구는 환경친화적인 선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LE-형유화제를 사용하여 점착성분의 단량체로 노말부틸 아크릴레이트 (n-butyl acrylate, n-BA)와 응집성분의 단량체로 메틸메타 아크릴레이트 (methyl metacrylate, MMA)를 사용하여, 폴리머 시멘트용 아크릴계 에멀젼 수지를 제조하기 한 최적조건을 얻기 위해 수용액상에서 유화중합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사용한 계면활성제 (LE-형)의 친수성인 체인 길이(n)의 값이 증가할수록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농도는 이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다가 어느 농도 이상에서 응석의 발생이 거의 없는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평균 입자크기도 사용량에 따라 작아지다가 250 nm로 일정한 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폴리머로서 보조모노머의 첨가는 최종 폴리머 에멀젼의 응석과 입자크기에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주 모노머에 보조 모노머인 아크릴산 (acrylic acid, AA)과 아크릴 아마이드 (acrylic amide, AM)의 혼합하여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석의 발생이 줄어들어 안정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수 있었다. 최적조건에서 어진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은 평균 입자크기 200-300 nm, 제타전위 (zeta potential)값 -50 mv 정도였으며, 단일 유리전이온도 (glass temperature, Tg)를 가진 고분자 나노 입자가 수용액상에 잘 분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중합조건을 최적화시켜 안정된 폴리머 에멀젼을 얻을 있었다.

  • PDF

미생물 페니실린 아미다제에 관한 연구 (제 5보) Bacillus megaterium 페니실린 아미다제의 새로운 고정화 방법 (Studies on Microbial Penicillin Amidase (Part 5) Application of Reinforced Calcium-Alginate Gel Entrappment Method for Immobilization of Penicillin Amidase from Bacillus megaterium)

  • Son, Hyeung-Jin;Seong, Baik-Lin;Mheen, Tae-Ick;Han, Moon-H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9-164
    • /
    • 1981
  • 부분적 항상성변이주인 Bacillus megaterium (KFCC 10029)가 생산하는 페니실린 아미다제를 예로하여 강화된 $Ca^{++}$-alginate gel에 의한 포괄방법을 이용하는 효소 고정화 방법을 제시하였다. 발효액으로 부터 celite 흡착법에 의해 효소를 분리한 후 alginate의 gellatin용액에 혼합하고 $Ca^{++}$ 용액에서 응고시키고 glutaraldehyde로 처리하여 성형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고정화효소의 최적 pH 및 온도는 각각 8.0과 6$0^{\circ}C$였다. Km value 와 6-APA 및 페닐초산에 의한 저해 상수는 각각 2.6mM, 7.4mM, 21.2mM이었다. Gel의 증가된 물리적 강도 때문에 반응조 조작중 흡착효소의 유실을 성공적으로 없앨수 있었다. 관형식 반응조에서의 고정화 효소의 반감기는 4$0^{\circ}C$와 3$0^{\circ}C$에서 각각 6일 및 30일이었으며, 이것은 흡착효소와 비교해 볼 때 6-8배의 증가치이다. 결론적으로 alginate gel 포괄방법에 의한 효소고정화 방법에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개량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고정화효소의 물리적 강도 및 안정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었다.

  • PDF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

  • Yu, Ji-Yeon;Jin, Yong-Ri;Lee, Jung-Jin;Chung, Jin-Ho;Noh, Ji-Yoon;You, Soon-Hyang;Kim, Ki-Nam;Im, Ji-Hyun;Lee, Ju-Hyun;Seo, Ji-Min;Han, Hyeong-Jun;Lim, Yong;Park, Eun-Seok;Kim, Tack-Joong;Shin, Kyeong-Soeb;Wee, Jae-Joon;Park, Jong-Dae;Yun, Yeo-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10호
    • /
    • pp.898-903
    • /
    • 2006
  • The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Korean Red Ginseng (KRG) were examined on rat carotid artery thrombosis in vivo, and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and ex vivo. Administration of KRG to rats not only prevented carotid artery thrombosis in vivo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ADP- and collage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ex vivo, while failed to prolong coagulation times such as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nd prothrombin time (PT), indicating the antithrombotic effect of KRG might be due to its anti platelet aggregation rather than anticoagulation effect. In line with the above observations, KRG inhibited U46619-, arachidonic acid-, collagen- and thrombin-induced rabbit platelet aggregation in vitro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620{\pm}12$, $823{\pm}22$, $722{\pm}21$ and $650{\pm}14\;{\mu}g/mL$, respectively. Accordingly, KRG also inhibited various agonists-induced platelet serotonin secretions as it suppressed platelet aggreg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KRG has a potent antithrombotic effect in vivo, which may be due to antiplatelet rather than anticoagulation activity, and KRG intake may be beneficial to the individuals with high risks of thrombotic and cardiovascular diseases.

SB-31의 Glycyrrhizin을 지표로 한 Rat과 Rabbit에서의 약물동태 및 심혈관계에 대한 효과 연구 (Pharmacokinetics of Anticancer Agent SB-31 in Rats & Rabbits and the Cardiovascular Effect o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 & Blood Coagulation)

  • 강원구;박용순;이동흠;권광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2-132
    • /
    • 1998
  • SB-31 which contains Pursatilla, Licoris and Ginseng extracts was recently proved as an anticancer agent. In a preclinical effort to be applied this drug to human, pharmacokinetics of SB-31 was carried out in rats and rabbits. Glycyrrhizin(GZ), a saponin of Licoris was used as a standard ingradient for the pharmacokinetics of SB-31. The rat's blood, bile and urine samples were serially collected in femoral vein, common bile duct and bladder, respectively, after bolus i.v. injection at a dose of 1 or 1/5 ampul/rat and rabbit's blood samples from the marginal ear vein at a dose of 1 or 3 amp./rabbit. GZ and glycyrrhetic acid(GA), a major metabolite of GZ in the physiological samples were analysed by HPLC with UV detection. The decline of GZ in plasma concentration was generally biexponential at each dose. GZ was almost completely recovered in bile within 18 hour. GA wasn't detected in the samples with UV detector. In the rat, Vss and Kel at a dose of 1 and 1/5 ampul of SB-31 were $98.06\pm6.07\;ml,\;0.33\pm0.05\;hr^{-1}\;and\;65.46\pm11.19\;ml,\;0.68\pm0.25\;hr^{-1}$, respectively. Those in rabbits at a dose of 3 and 1 ampul of SB-31 were $235.24\pm30.72\;ml,\;0.13\pm0.36\;hr^{-1}\;and\;341.32\pm28.58\;ml,\;0.27\pm0.04\;hr^{-1}$, respectively. 'WinNonlin' was utilized for the compartmental analysis. A two-compartment model was chosen as the most appropriate pbarmaco-kinetic model. The data were best described by using a weighting factor of $1/y^2$. To evaluate the effect of SB-31 on cardiovascular system, serially diluted SB-31 was directly injected into coronary artery in the isolated perfused rat heart and the effect of PSF, PSH, saponins of Pursatilla, and SB-31 on PT, APTT of healthy human plasma was examined. Except the positive inotropic effect of ten times diluted solution of SB-31,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LVDP, (- dp/dt)/(+dp/dt), heart rate and coronary flow in comparision with that of vehicle. SB-31 had no effect on PT but slightly delayed APTT about $6.9{\sim}11.5\%$.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PSF and PSH on PT & APTT. Conclusively, SB-31 did not show any notable toxic effects on cardiovascular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