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 care center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의 차이 (The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 for Evaluative Accreditation in terms of Child Care Teacher's and Principal's Position, Certificate Level, Expertise Level)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3-60
    • /
    • 2011
  •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가 보육시설종사자의 직위와 전문성 발달수준 및 보육교사의 자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보다 수요자 중심적이고 현장적합적인 조력활동을 계획, 운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D,G시 소재 민간(가정)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시설장과 보육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활동평가척도'(남미경, 2010)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 자기평가 도구'(백은주, 조부경, 2004)를 보육교사와 시설장에 적합하도록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점수는 보육교사가 시설장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와 시설장의 전문성 발달수준에 따라 '조력활동내용영역'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문성 발달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조력활동내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셋째, 보육시설 조력활동에 대한 평가결과는 보육교사 2급 자격자와 보육교사 1급 자격자 간에 '조력활동내용영역'의 조력영역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의 실내공간계획 및 설비와 소방설비의 안전성 관련 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related Criteria for the Interior Space Planning, Facilities and Fire-fighting Equipment in Child Care Centers)

  • 이지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6호
    • /
    • pp.39-51
    • /
    • 2013
  • Because of the increasing demand for day care centers, The Korean government has enforced childcare accreditation. The government has created the evaluation certification system for child care facilities. But the system includes variable items, and the physical rules are not sufficient for ensuring security and quality amenities. So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search, examined the rules of Child Care Centers in the U.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in Korea focusing on the provision of security and amenities. The standards found in 4 U.S. states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ule pertaining to the size of indoor activity spaces in C.C.C. allows the spaces to be smaller in Korea than in the U.S. There is no specific criterion for infants and toddlers in our standard. When comparing the standards of Korea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Korea's standards do not state specific rules about child care facilities such as indoor furniture, finishes and space planning. Additionally, the binding force ensuring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of physical facilities is weak. Thus, the ratings of child care standards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should be presented in detail. And if a center does not comply with the criteria, stronger penalties will have to be imposed.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orking Tim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 Teachers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n Accreditation System)

  • 안소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3-223
    • /
    • 2016
  • 본 연구는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을 드러냄으로서,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291개소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평가인증 운영 과정에서 교사는 매일 11시간의 과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고, '영유아와의 상호작용과 그 외 업무 사이', '자유로운 탐색과 안전 건강 사이', '우리 이야기와 외부 기준'사이에서 갈등하며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교사의 인식전환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첫째, 평가지표 수행보다는 질 높은 보육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부분 최적화가 아닌 전체 최적화에 관심을 두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교사의 심리적 어려움을 탐색함으로서,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놓쳐서는 안 될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방과후 아동지도 (After-School Care and Education)

  • 서영숙;박진옥;서혜전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281-295
    • /
    • 2009
  • Representativ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Korea are After-Schoo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school Child Care, and Youth After-school Academy of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Each service is distinguished with its own founded laws, subject children, specialists, principle management agent, a number of participants, and more. Research issues of afterschool are development of new afterschool programs, evaluatj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fterschool, establishment of policies related to cooperative efforts among the different services of the afterschool, obtainment of legal status, and enhancement of the credential of its personnels. To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and improve personnels' working conditions, various means are to be implemented. In regard to programatic and policy issues, the afterschool is needed to establish a system for training the afterschool coordinators and of its accreditation and to develop more child-centered afterschool programs. Also, it is needed to legislate fundamental law and consolidate communication system among the services of the Afterschool in pursue of their effective utilization and actual expan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