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s of hazardous material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유해화학물질 수송용 차량의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cident Response Guidelines for Hazardous Materials(HAZMAT) Transport Vehicle)

  • 설지우;용종원;채충근;태찬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7-97
    • /
    • 2015
  •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은 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소방대원들이 대응하게 된다. 그 결과 소방대원들이 2차 피해자가 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소방대원들이 올바르게 대응하여 2차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위험물 수송용 탱크차량 사고를 위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 대응 가이드라인을 작성하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위험성 평가 기법과,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에 따라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의 잠재 위험을 식별하고, 각각에 대하여 guideword를 부여하여 가이드라인 항목을 구성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 대한 자세한 방법, 국내 규정등을 이용하여 위험물 수송용 탱크 차량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AHP 기법을 활용한 위험물 수송의 최적경로산정 (Appl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Select the Optimal Route for Hazardous Material Transport)

  • 손유진;배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67-77
    • /
    • 2010
  • 석유화학산업의 성장으로 석유화학물의 수송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위험물 사고건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위험물 사고의 70% 이상이 수송 중 발생하며, 경로선택과정에서 수송경로의 선택에 따라 피해규모를 줄일 수 있지만 위험물 수송경로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적정 위험물 수송경로의 선정을 통해 사고 발생시 피해규모를 최소화 하는데 있다. 이에 계층분석법(AHP)을 통하여 도출된 가중치를 위험도에 적용하여 최소 위험도 경로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중치 적용 경로의 경우 최단경로에 비해 인구위험도는 33.4%인 0.608, 환경위험도는 21.8% 감소한 0.168, 사회위험도는 1521.7%인 0.35가 감소하였다. 가중치 미적용 노선과 가중치 적용 노선을 비교하면, 가중치 적용 노선의 인구위험도는 2.6%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한 가중치의 적용으로 위험도를 감소시키면서 인구피해규모를 최소화 하는 최적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위험도 평가를 통한 사고대비물질별 규정수량 고찰 (Consideration on the Regulated Quantity of Preparation for Accidents by Risk Assessment)

  • 안광재;김정욱;이근원;정승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06-511
    • /
    • 2022
  •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장외영향평가서 및 위해관리계획서를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로 일원화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에서 다루는 유해화학물질 중 사고대비물질은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로서 지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대비물질별 규정수량 기준에 따른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상위/하위 규정수량이 비슷한 화학물질을 특정하여 동일한 사고 시나리오를 선정하고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물질은 암모니아, 염화수소, 이황화탄소, 벤젠 등 총 4종의 물질을 선정하였으며, DNV 사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 프로그램인 Safeti 8.0을 활용하여 위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상위/하위규정수량임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도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폭발위험장소 구분도의 3D Modeling을 통한 점화원 및 가연물 안전관리 방안 제안: 실내 혼합공정을 중심으로 (Proposal for Ignition Source and Flammable Material Safety Management through 3D Modeling of Hazardous Area: Focus on Indoor Mixing Processes)

  • 김학재;김덕한;천영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47-59
    • /
    • 2024
  • 연구목적: 인화성 액체의 누출형태에 따라 제조업 사업장 내 화재·폭발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기존 폭발위험장소 구분도를 개선하여 점화원 및 가연물을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KS C IEC 60079-10-1」를 사용하여 폭발위험장소를 계산했으며, 계산된 폭발위험거리를 3D로 폭발위험장소를 구현하였다. 또한, 3D를 통해 구현된 폭발위험장소 내 인화성 증기의 대기확산량을 계산하기 위해 「P-91-2023」 액체의 대기확산량 공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폭발위험장소를 3D로 표현했을 때 평면도의 사각지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폭발위험장소 내 점화원을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였다. 다음으로 가연물은 3D로 나타난 폭발위험장소 체적 내 LEL 도달시간을 계산했을 때, 폭발위험거리와 동일하게 위험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인화성 액체의 대기확산량을 고려하여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사업장에서 현실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환기량으로 감지·경보가 필요한 농도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Estimation of Angular Acceleration By a Monocular Vision Sensor

  • Lim, Joonhoo;Kim, Hee Sung;Lee, Je Young;Choi, Kwang Ho;Kang, Sung Jin;Chun, Sebum;Lee, Hyung Keu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3권1호
    • /
    • pp.1-10
    • /
    • 2014
  • Recently, monitoring of two-body ground vehicles carrying extremely hazardous material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issues. This issue induces large cost in terms of national economy and social benefit. To monitor and counteract accidents promptly, an efficient methodology is required. For accident monitoring, GPS can be utilized in most cases. However, it is widely known that GPS cannot provide sufficient continuity in urban cannons and tunnels. To complement the weakness of GPS, this paper proposes an accident monitoring method based on a monocular vision sensor. The proposed method estimates angular acceleration from a sequence of image frames captured by a monocular vision sensor. The possibility of using angular acceleration i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such as jackknifing and rollover. By an experiment based on actual measurement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용접·용단 작업 중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ystem to Prevent Accidents during Welding and Melting Operations)

  • 한경수;조규선;김영세;김병직;박주영;박교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6-81
    • /
    • 2020
  • 최근 가연물이 있는 장소에서 용접·용단 작업 중 불꽃 비산 등으로 인한 화재·폭발사고가 빈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재사고의 원인은 위험물 제거, 불꽃 비산방지 조치 등 기본적인 안전수칙 미준수가 대부분으로 산업안전보건법의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용접·용단 작업 등 화기작업에서의 화재·폭발 사고를 시스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화재감시자 배치 확대, 화재위험작업의 사전승인, 화재예방 안전교육 강화 등 제도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누출사고 방지를 위한 위험물 탱크의 기초 안정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the Foundation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Tank for Preventing Leakage Accidents)

  • 임종진;구재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4호
    • /
    • pp.96-100
    • /
    • 2020
  • 산업단지내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결함으로 인한 위험물질의 유출사고는 인근 지역의 대형 인명사고 및 대형화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기초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위험물탱크 단지가 건설된 대표지반을 선정하여 3차원 모델링에 의한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위험물 저장탱크 기초의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대표적인 탱크 기초 유형을 4종류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탱크기초의 응력 및 침하량 크기와 분포 특성은 링월기초의 경우 옆판 직하부분이 탱크 중심부에 비해 40배 이상의 응력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침하영향범위는 수평방향으로 탱크 반경만큼, 수직방향으로 탱크 직경만큼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각 기초 유형별로 위험물 저장탱크의 설계 및 품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위험물 사고 발생보고서 개선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zardous Materials Accident Report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

  • 고문수;장현준;성춘모;이훈기;이봉우;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9
    • /
    • 2022
  • 화학물질은 사회 전반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어 사용량은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화학물질 및 위험물과 관련한 다양한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발생 빈도 또한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 발생에 따른 각 관련 기관별 사고 조사서, 관리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조사서 입력 시스템을 개선하여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조사에 따른 세부 정보 수집 및 통계산출에 효율을 높임으로써, 화학물질 및 위험물 사고의 예방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afety Analysis on the Tritium Release Accidents

  • Yang, Hee joong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6-107
    • /
    • 1991
  • At the design stage of a plant, the plausible causes and pathways of release of hazardous materials are not clearly known. Thus there exist large amount of uncertainties on the consequences resulting from the operation of a fusion plant. In order to better handle such uncertain circumstances, we utilize the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PRA) for the safety analyses on fusion power plant. In this paper, we concentrate on the tritium release accident. We develop a simple model that describes the process and flow of tritium, by which we figure out the locations of tritium inventory and their vulnerability. We construct event tree models that lead to various levels of tritium release from abnormal initiating events. Branch parameters on the event tree are assessed from the fault tree analysis. Based on the event tree models we construct influence diagram models which are more useful for the parameter updating and analysis. We briefly discuss the parameter updating scheme, and finally develop the methodology to obtain the predictive distribution of consequences resulting from the operating a fusion power plant. We also discuss the way to utilize the results of testing on sub-systems to reduce the uncertain ties on over all system.

  • PDF

네일 샵 종사자들의 직무 형태별 취급 유해화학물질 (Task-Specific Hazardous Chemicals Used by Nail Shop Technicians)

  • 최상준;박성애;윤충식;김선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46-464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sk-specific hazards of chemicals used by nail technicia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Materials: A total of 30 nail shops located in Daegu City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major tasks and practices performed by nail technicians and the ingredients listed in nail care products used in shops. We also collected instructions for use and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s) of nail care products and compared CAS Nos. of ingredients with the lists of chemicals regulated by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ISHA) and Chemical Substances Control Act(CSCA). Results: A total of 125 chemical ingredients were found in 468 nail care products used at the 30 nail shops. The most frequently found ingredients were ethyl acetate(72%), followed by n-butyl acetate(71.8%), isopropanol(56%), benzophenone(51.1%), nitrocellulose(46.4%) and ethanol(45.3%). Comparing six tasks, the task of manicuring used the most products at 222 products containing 91 ingredients. Among the 125 ingredients, there are 31 chemicals with occupational exposure limits(OEL)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eight categorized as carcinogens, one mutagen and two reproductive toxic chemicals. In terms of carcinogens, formaldehyde was identified as the only confirmed human carcinogen(1A). We found that there was one chemical with a permissible limit, one special management substance, 18 workplace monitoring substances and ten special health diagnosis substances regulated by ISHA. For CSCA, nine poisonous substances, six substances requiring preparation for accidents and one restricted substance were identifi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formaldehyde was identified as one of the chemicals that should most strictly be controlled for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of nail technicians and customer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materials with detailed hazardous information of nail care products for nail shop technic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