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aricide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3초

Determination of Acaricides in Honey by Solid-Phas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 Hong, Joo-Yeon;Jung, Ok-Sang;Ryoo, Jae-Jeong;Hong, Jong-K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61-66
    • /
    • 2009
  • An analytical method based on solid-phase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has been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caricides (ami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and tetradifon) in honey sample. In the stability test of acaricides in honey, amitraz underwent a rapid degradation into 2,4-dimethylaniline (DMA), 2,4-dimethylphenylformamide (DMPF), and N-(2,4-dimethylphenyl)-N'-methylformamidine (DMPMF), whileas other acaricides were found to be stable even for over three months. Extraction of five acaricides from 5g of honey sample was carried out by liquid-liquid extraction using 20mL of ethylacetate. For purification, Florisil-SPE cartridge with elution of 5mL of n-hexane/ acetone (55:45, v/v) was found to remove interferences effectively.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ry in the selected ion monitoring mode. Spiking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covery, precision, and limits of detection (LODs) of the method. The overall recovery values from honey spiked at 0.02 and 0.20 ${\mu}g/g$ levels,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greater than 75% for all acaricides. The method detection limits for acaricides were ranged from 0.1 to 3 ppb. The developed method in this study was applied for the monitoring of acaricides in honey products collected from urban markets in Korea.

Multiresidue Analysis of Eight Acaricides in Fruits

  • Lee, Young-Deuk;Kwon, Chan-Hye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91-196
    • /
    • 1999
  • A multiresidue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for eight acaricides including benzoximate, clofentezine, fenazaquin, fenothiocarb, fenpyroximate, hexythiazox, pyridaben, and tebufenpyrad in four major fruit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ll the confounds were extracted with acetone from apple, pear, grape, and citrus samples.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saline water, and n-heaxane partition was followed to recover the acaricides.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was employed to further purify the sample extract. HPLC with ultraviolet absorption detection, using an octadecylsilyl column under the isocratic mobile phase of acetonitrile/water mixture,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eparate and quantitate all the compounds in the purified extract. Recoveries of the eight acaricides from for fortified samples ranged 86.4~97.0%.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of the analytical method were all less than 10%. Detection limits of the method were in the range of 0.02~0.05 mg/kg. The proposed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evaluate the terminal residue of the eight acaricides in the fruit harvest.

  • PDF

살응애제 Etoxazole 및 Flufenoxuron의 사과 중 잔류양상 (Residual Patterns of Acaricides, Etoxazole and Flufenoxuron in Apples)

  • 황정인;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1-68
    • /
    • 2014
  • 사과 중 살응애제 etoxazole 및 flufenoxuron의 출하 전 잔류허용기준(PHRL)을 설정하기 위해 각 농약의 생물학적 반감기와 감소상수가 산출되었다. 안전사용기준의 희석배수에 따라 조제된 각 농약을 사과에 대하여 각각 1회 및 3회 살포한 후 사과 중 일자별 잔류량을 조사하였으며, 잔류시험 결과들은 first order kinetics의 지수감소식에 대입되었다. 시험기간 중 두 농약의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MRL)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사과 중 생물학적 반감기를 조사한 결과 etoxazole의 경우 1회 처리구에서 8.8일, 3회 처리구에서 21.7일로 나타났다. 반면에 flufenoxuron은 1회 처리구에서 21.7일, 3회 처리구에서 23.1일로 나타나 etoxazole 보다 반감기가 더 길었다. 사과 중 각 농약의 감소상수는 etoxazole은 0.0788, flufenoxuron은 0.0319이었으며, 산출된 감소상수들을 대입하여 PHRL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한 농약살포 시 출하 일주일 전 농약의 잔류량이 etoxazole은 0.87 mg/kg, flufenoxuron은 0.88 mg/kg 이하이면 출하 시 잔류량이 MRL 이하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사막이리응애의 살응애제에 대한 감수성 (Susceptibility of the Predatory Mite, Neoseiulus californicus (Acari: Phytoseiidae) to Acaricides)

  • 이성민;김상수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18-423
    • /
    • 2015
  • 포식성 천적 사막이리응애에 대하여 9종 살응애제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살응애제 중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은 사막이리응애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었으며, 암컷성충의 산란수와 산란된 난의 부화에 큰 영향이 없었다. 또한 이들 살응애제의 난에 대한 처리에서도 부화율에 영향이 없었다. Etoxazole은 암컷성충의 생존율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이들이 산란한 난의 부화율이 매우 낮았으며, 난에 대한 처리에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Pyraclofos는 암컷성충에 대해 고독성으로 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을 처리한 먹이를 섭식한 암컷성충은 생존율과 산란수에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cyenopyrafen. spirodiclofen, spiromesifen, acequinocyl, bifenazate, flufenoxuron과 cyflumetofen 등은 식식성응애류의 종합관리체계에서 사막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식식성 응애류와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 (Selection of the Acaricides Selective to Harmonia axyridis and Effect of their Application on Phytophagous Mites and Natural Enemies)

  • Cho, Jum-Rae;Hong, Ki-Jeong;Lee, Gwen-Seok;Park, Byung-Ryul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48
    • /
    • 1996
  • 본 연구는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초식성응애류 및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모든 살비제는 무당벌레 보다는 점박이응애와 사과응애에 더 강한 독성을 보였고, 또 무당벌레의 유충과 성충보다는 알에 더 높은 독성을 나타냈다. 실내 선택독성실험에서 azocyclotin과 fenpropathrin이 각각 무당벌레에 대해서 선택성이 높은 약제와 낮은 약제로 나타났다. 응애류는 약제 처리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은 반면 천적류는 약제살포횟수 및 약제종류간에 차이가 없었다. 풀잠자리류는 긴털이리응애나 애꽃노린재류와는 달리 약제살포에 비교적 영향이 적었다.

  • PDF

Avoidance Behavior of Honey bee, Apis mellifera from Commonly used Fungicides, Acaricides and Insecticides in Apple Orchards

  • Kang, Moonsu;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2
    • /
    • 2017
  • Avoidance behavior is an important life history strategy to survive hazardous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avoidance tendency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 against commonly used pesticides in apple production. Choice test given only 50% sucrose solution and pesticide-mixed sucrose solution as food estimated the avoidance in laboratory. Most of the acaricides and fungicides tested were shown avoided. Among insecticides, honeybee showed strong avoidance to cyhexatine, carbosulfan and fenpyroximate but low to diflubenzuron, tebufenpyrad, and acrinathrin. Avoidance behavior to neonicotinoid insecticides showed bifurcated; highly avoided from thiacloprid, acetamiprid while less avoided from imidacloprid, thiamethoxam and dinotefuran. From the field study, abamectin, fenthion, amitraz and acequinocyl showed highly avoided while fungicide of fenarimol, acaricides of acrinathrin and phosphamidon, IGR insecticide of diflubenzuron, neonicotinoid insecticide of imidacloprid, and carbamate insecticide of carbaryl showed less avoidance in the field. These results partly explained high bee poisoning from carbaryl in apple flowering period, and neonicotinoids during season.

11종의 살비제를 이용한 5개지역 닭진드기의 감수성 평가 (Evaluation of Susceptibility of Red Poultry Mite, Dermanyssus gallinae (Acari: Dermanyssidae) in Five Regions to 11 Acaricides)

  • 이승주;윤종웅;박근호;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27-434
    • /
    • 2017
  • 5개 지역 양계장에서 채집한 닭진드기(Dermanyssus gallinae) 성충에 대한 11종 살비제의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Bifenthrin과 formic acid + pyridaben은 100배의 희석배수로 처리한 결과, bifenthrin은 5가지 지역에서 모두 100%의 살비율을 보였으나 formic acid + pyridaben 합제는 연천과 안성을 제외한 나머지 3지역(경주, 칠곡, 금산)에서 20% 이하의 낮은 살비율을 보였다. 카바메이트계 약제인 carbaryl은 경주(45.0%)를 제외한 4지역에서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다. 유기인계 약제인 dichlorvos는 연천을 제외한 4지역 모두 100%의 살비효과를 보였지만 연천은 66.7%의 살비율을 보였다. 연천과 안성지역의 양계장이 살비제에 대한 감수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3지역(경주, 칠곡, 금산)의 경우에는 약제에 따라 활성의 차이를 보였다. Clothianidin, thiamethoxam, fenitrothion, formic acid + pyridaben은 지역에 따라 살비활성의 효과에 차이를 보여 사용 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나, carbaryl과 cartap hydrochloride, dichlorvos, bifenthrin은 실험에 사용된 모든 지역에서 활성이 높아 모든 지역에서 사용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양계장별 살비제 활성이 차이를 보이는바 효과적인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서는 살비제의 활성평가와 더불어 약제의 교호살포와 무분별한 사용을 지양해야할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가 닭진드기 방제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크리닝체제 확립을 위한 점박이응애에 대한 몇가지 살비제의 약효 비교 (Comparative Toxicities of Selected Acaricides against the Twospotted Spider Mite(Tetranychus urticae Koch) to Establish the Screeing System for New Acaricidal Chemical Compounds)

  • 조점래;최용호;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3-128
    • /
    • 1993
  • 점박이응애에 대한 몇가지 살비제들의 각 발육단계에 다른 살란.성충효과를 조사하였다. fenpyroximate는 발육 전단계에 걸쳐 높은 효과를 보였다. Fenpyroximate 의 산란억제효과는 cyhexatin보다 훨씬 좋았다. 100ppm 농도 수준에서 약제잔효로 인한 산란억제효과는 fenpyroximate경우 85% 수준으로 25일동안 지속한 반면 cyhexatin의 효과는 점차 감소하여 처리 25일 후 40% 정도 감소했다. 또한 100ppm 농도 수준에서 fenpyroximate의 속효성은 3시간만에 100%의 살성충력을 보였지만 cyhexatin은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91%정도의 살성충력을 보여주었다. 공시된 대부분의 살비제가 침투이행성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metasystox는 800ppm 농도 수준에서 처리 후 24시간에 100% 살성충효과를 나타냈다. 각기 다른 온도에 대하여 fenpyroximate는 다른 살비제와 비교했을 때 안정된 약효를 보였다.

  • PDF

2011년 시판된 벌꿀 중 am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모니터링 (Nonitoring of ami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in honey samples sold in 2011)

  • 이원만;류재정
    • 분석과학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3
  • 많은 양봉업자들이 그들의 벌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성의약품들을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 벌에 사용되는 동물성 의약품은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등이다. 2006년 중반에 한국 정부에서는 아미트라즈와 쿠마포스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각각 0.2, 0.1 ppm으로 설정하였다. 해마다 양봉환경이 변하고 있으므로 꿀 속의 동물성 의약품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지역시장이나 인터넷을 통해 모은 10개 벌꿀 시료들에 대하여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잔존량을 HPLC-DAD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10종의 벌꿀에서는 살충제로 사용되는 이들 성분이 25 ppb 이상으로는 검출되지 않았다.

차응애 야외개체군의 살비제 저항성 (Acaricide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etranychus kanzawai(A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유상선;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1998
  • 남부지방의 5개 차재배지에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를 채?하여 7종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살비제의 종류 또는 지역 계통별로 상당한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전과 제주 계통은 azocylotin, tebufenpyrad, fenpytoxi-mate, propargite 와 fenpropathrin에 대해 , 해남 계통은 propargite와 fenyroximate에 대하여 , 보성 계통은 propargite에 대해, 영암계통은 pyidaben에 대하여 저항성비 20이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성전과 제주계통에 있어서는 다른 대체살비제들의 사용이 요망된다. 그러나 해남, 보성, 영암 계통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차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