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ricid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18초

차응애 야외개체군의 살비제 저항성 (Acaricide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etranychus kanzawai(A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유상선;백채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1998
  • 남부지방의 5개 차재배지에서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를 채?하여 7종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 수준을 leaf spray 방법으로 검정한 결과 살비제의 종류 또는 지역 계통별로 상당한 감수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전과 제주 계통은 azocylotin, tebufenpyrad, fenpytoxi-mate, propargite 와 fenpropathrin에 대해 , 해남 계통은 propargite와 fenyroximate에 대하여 , 보성 계통은 propargite에 대해, 영암계통은 pyidaben에 대하여 저항성비 20이상의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성전과 제주계통에 있어서는 다른 대체살비제들의 사용이 요망된다. 그러나 해남, 보성, 영암 계통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차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식식성 응애류와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 (Selection of the Acaricides Selective to Harmonia axyridis and Effect of their Application on Phytophagous Mites and Natural Enemies)

  • Cho, Jum-Rae;Hong, Ki-Jeong;Lee, Gwen-Seok;Park, Byung-Ryul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248
    • /
    • 1996
  • 본 연구는 무당벌레에 선택적인 살비제 선발과 이들 처리가 사과원 초식성응애류 및 천적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된 모든 살비제는 무당벌레 보다는 점박이응애와 사과응애에 더 강한 독성을 보였고, 또 무당벌레의 유충과 성충보다는 알에 더 높은 독성을 나타냈다. 실내 선택독성실험에서 azocyclotin과 fenpropathrin이 각각 무당벌레에 대해서 선택성이 높은 약제와 낮은 약제로 나타났다. 응애류는 약제 처리횟수에 크게 영향을 받은 반면 천적류는 약제살포횟수 및 약제종류간에 차이가 없었다. 풀잠자리류는 긴털이리응애나 애꽃노린재류와는 달리 약제살포에 비교적 영향이 적었다.

  • PDF

사과원에서 채집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의 지역별 살비제 감수성 (Acaricide susceptibilities of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Tetranychidae) from Apple Orchards)

  • 송철;김길하;안수정;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8-333
    • /
    • 1995
  • 전국 6개 지역의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5종의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공시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약제감수성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제의 종류별 감수성은 지역에 따라 다향하게 나타났는데, 지역 계통별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비가 20이상인 약제들을 성충과 알로 나누어 정리하며, 성충의 경우, 수원 계통은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청주 계통은 dicofol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cyhexatin,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의 경우는 수원 계통은 bifenthrin, clofentezine, hexythiazox, tetradifon에 대하여, 군위, 청주, 광주 계통들은 bifenthrin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amitraz, bifenthrin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amitraz, bifenthrin, clofentezine, dicofol, tetradif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bamectin, chlorfenson, fenpyroximate에 대한 약제감수성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실내 감수성 계통과 차이가 없었다.

  • PDF

편백정유와 계피정유를 주성분으로 한 닭진드기 살비제에 대한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 (Evaluation of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on an Acaricide Containing Essential Oils of Chamaecyparis obtusa and Cinnamomum camphora for Control of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

  • 송준호;황두현;김의경;김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23
    • /
    • 2021
  • 본 연구는 닭 진드기 구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살비제인와구잡이 II® (WGJB, 편백정유 : 계피정유 = 20 : 56)에 대하여 토끼와 기니픽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일차피부자극시험에서 토끼의 피부에 WGJB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WGJB는 비찰과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과 같은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나, 몇몇 토끼의 찰과 부위에서 매우 약한 홍반과 부종을 나타내어 WGJB의 1차 피부자극 지수는 0.625이었다. 따라서 WGJB는 약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었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기니픽에 0.1 mL의 WGJB을 피내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감작 1주일 후 WGJB를 함유한 패취를 주사부위에 부착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2주 후에 WGJB를 함유한 패취를 부착하여 감작을 야기시켰다. WGJB는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WGJB는 약한 피부 자극성을 가지며 감작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Resistance and control of cypermethrin and chlorpyrifos as acaricide for control of hard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 You, Myung-Jo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7-120
    • /
    • 2014
  • Chemotherapeutic treatment is still the foundation of tick control progra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aricidal efficacy of cypermethri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chlorpyrifos against Haemaphysalis (H.) longicornis. Unfed larval ticks were exposed to 0.1, 1.0, and 10 mg/mL cypermethrin for 60 min, after which the acaricidal efficacy was examined based on tick mortality. All compounds showed similar suppression curves, with the best control being achieved by cypermethrin and chlorpyrifos (1 : 1 ratio) at 10 mg/mL. Effective cypermethrin concentrations for tick control were two to seven times higher than the recommended doses, indicating resistance by H. longicornis.

Acaricidal Abili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orsythia suspense Fruit Oil against Storage and Pyroglyphid Mites

  • Lee, Hwa-won;Lee, Hoi-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05-108
    • /
    • 2015
  • This research is aimed at evaluating the potential abilities of the natural acaricide of F. suspense oil against Tyrophagus putrescentiae and Dermatophagoides spp. Based on the $LD_{50}$ values, in contact bioassay, F. suspense oil (8.19, 3.28, and $4.35{\mu}g/cm^2$) showed acaricidal effects against T. putrescentiae, D. farinae, and D. pteronyssinus, respectively. Fumigant toxicities of F. suspense oil showed similar patterns as those observed with contact toxicities. GC/MS analysis showed the major components of F. suspense oil to be ${\beta}$-pinene (45.88%), myrtenol (13.86%), (+)-${\alpha}$-pinene (13.09%), (-)-trans-pinocarveol (7.34%), sabinene (6.64%) and pinocarvone (4.13%).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 suspense oil has potential as a natural acaricide.

2011년 시판된 벌꿀 중 am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모니터링 (Nonitoring of amitraz, bromopropylate, coumaphos, cymiazole in honey samples sold in 2011)

  • 이원만;류재정
    • 분석과학
    • /
    • 제26권1호
    • /
    • pp.1-10
    • /
    • 2013
  • 많은 양봉업자들이 그들의 벌을 보호하기 위해 동물성의약품들을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 벌에 사용되는 동물성 의약품은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등이다. 2006년 중반에 한국 정부에서는 아미트라즈와 쿠마포스의 최대잔류허용기준을 각각 0.2, 0.1 ppm으로 설정하였다. 해마다 양봉환경이 변하고 있으므로 꿀 속의 동물성 의약품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에 지역시장이나 인터넷을 통해 모은 10개 벌꿀 시료들에 대하여 아미트라즈, 브로모프로필레이트, 쿠마포스, 시미아졸 잔존량을 HPLC-DAD로 조사하였다. 조사한 10종의 벌꿀에서는 살충제로 사용되는 이들 성분이 25 ppb 이상으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시설재배 장미의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발생소장 및 방제방법에 따른 해충방제 효과 (Occurrence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Tetranychus urticae in Rose Greenhouse and Effectiveness of Different Control Methods)

  • 조명래;전흥용;나승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9-184
    • /
    • 2000
  • 온실 장미 재배시 중요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와 점박이응애를 대상으로 발생소장 조사와 방제체계개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박이응애는 자미 화색별 발생밀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꽃노랑총채벌레는 황색계통인 'Star Light'에서는 적색, 핑크색 장미품종에 비하여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인방제기 사용시 관행방제에 비하여 인건비와 사용약제는 각각 89%, 18.2%를 절감할 수 있었으며 해충방제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점박이응애 방제시 전착제를 사용할 경우 응애약제 단용처리에 비하여 약제도포율은 25%, 해충방제기는 2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야외계통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에 대한 살비제 혼합의 연합독작용 (Joint Toxic Action of Acaricide Mixtures to the Field-Collected Strain of Tetranychus urticae(Arcarina: Tetranychidae))

  • 김상수;김도익;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6-183
    • /
    • 1993
  • 야외계통 점박이응애에 대한 amitraz와 bifenthrin, propargite, fenbutatin oxide, dicofol을 여러 비율로 혼합하여 연합독작용을 시험한 결과, 살비제 혼합에 의한 협력작용은 살비제 조합 또는 그들의 혼합비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었다. 모든 약제조합에서 협력작용이 나타나, amitraz와 bifenthrin의 혼합에서 2:8, amitraz와 fenbutatin oxide의 조합에서 8:2, amitraz와 propagite의 혼합에서 4:6 그리고 amitraz와 dicofol의 조합에서는 6:4의 비율에서 최대의 협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Comparison of Acute Toxicity of Different Groups of Pesticides to Honey Bee Workers(Apis Mellifera L.)

  • Ulziibayar, Delgermaa;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05-313
    • /
    • 2019
  • Honey bees (Apis mellifera) forage in agricultural areas, and are exposed to diverse pesticide poisoning. Toxic effects on Apis mellifera of different groups of pesticides were tested in the laboratory; fungicide (Metconazole), herbicide (Glyphosate), acaricide (Amitraz), organophosphate insecticide(Fenitrothion) and neonicotinoid insecticides(Thiacloprid, Thiamethoxam, Imidacloprid, Acetamiprid, Dinotefuran and Clothianidin). Commercial formulations were serially diluted from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RC) to 10-6 times to carry out feeding and contact tests. Toxicity was transformed into lethal dose (LD50) and hazard question (HQ). The acute toxicity of pesticides showed similar patterns between feeding and contact tests. But feeding tests showed greater toxic to honey bee than contact test. The organophosphate and nitro-neonicotinoid insecticides were highly toxic with HQ values ranging greater than 1. However, cyano-neonicotinoids of Thiacloprid and Acetamiprid showed low toxicity. Even at the RC, 24 hr mortalities were 18 and 30%. The acaricide (Amitraz) showed intermediate level of toxicity at RC but negligible at the concentration lower than 10-1 times. A fungicide(Metconazole) and herbicide(Glyphosate) showed minimal impacts. The results imply that the selective use of pesticides could help conservation of pollinators in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