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utment screw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implant tilting and the loading direction on the displacement and micromotion of immediately loaded implants: an in vitro experi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 Sugiura, Tsutomu;Yamamoto, Kazuhiko;Horita, Satoshi;Murakami, Kazuhiro;Tsutsumi, Sadami;Kirita, Tadaaki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7권4호
    • /
    • pp.251-26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lant tilting and the loading direction on the displacement and micromotion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implant and bone) of immediately loaded implants by in vitro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ethods: Six artificial bone blocks were prepared. Six screw-type implants with a length of 10 mm and diameter of 4.3 mm were placed, with 3 positioned axially and 3 tilted. The tilted implants were $30^{\circ}$ distally inclined to the axial implants. Vertical and mesiodistal oblique ($45^{\circ}$ angle) loads of 200 N were applied to the top of the abutment, and the abutment displacement was recorded.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s simulating the in vitro experiment were constructed, and the abutment displacement and micromotion were calculated. The data on the abutment displacement from in vitro experiments and FEA were compared, and the validity of the finite element model was evaluated. Results: The abutment displacement was greater under oblique loading than under axial loading and greater for the tilted implants than for the axial implants. The in vitro and FEA results showed satisfactory consistency. The maximum micromotion was 2.8- to 4.1-fold higher under oblique loading than under vertical loading. The maximum micromotion values in the axial and tilted implants were very close under vertical loading. However, in the tilted implant model, the maximum micromotion was 38.7% less than in the axial implant model under oblique loa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utment displacement and micromotion varied according to the loading direction (vertical or oblique) as well as the implant insertion angle (axial or tilted). Conclusions: Tilted implants may have a lower maximum extent of micromotion than axial implants under mesiodistal oblique loading. The maximum micromotion value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ading direction. The maximum micromotion values did not reflect the abutment displacement values.

생체유사환경 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피로강도 평가 및 수명 향상법 (Fatigue Strength of Dental Implant in Simulated Body Environments and Suggestion for Enhancing Fatigue Life)

  • 김민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3호
    • /
    • pp.259-267
    • /
    • 2014
  • 치과용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여 건전환경 및 생체 내의 인자들을 유사하게 반영한 생체유사환경 하에서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생체유사환경으로는 링거액 환경과 인공타액환경을 각각 사용하였다. 우선 건전환경과 생체유사환경 하에서의 피로수명 및 피로한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피로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공타액 하에서의 피로수명이 링거환경보다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시편에 대한 부식작용은 인공타액이 링거액보다 훨씬 크다. 이러한 부식의 차이가 두 경우의 피로수명의 차이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질화처리된 지대주 나사의 질화경화층을 제거하고, 질소확산층을 최표면으로 하는 지대주 나사를 사용한 임플란트의 피로수명은 텅스텐카바이드를 코딩한 기존 제품에 비해 최대 8배의 피로수명 향상효과가 확인되었다.

Brånemark 골유착성 매식체의 금관 수복재료에 따른 지지조직의 응력분석 (The stress analysis of supporting tissues according to crown restorative materials in Brånemark osseointegrated implant)

  • 정관호;배태성;송광엽;박찬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9-215
    • /
    • 1990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of implant and supporting tissue in $Br{\aa}nemark$ osseointegration implant. The analysis has been conducted by using the axisymmetric finite element method and type of model according to crown material. Tests have been performed at 1 kg load on central fossa of crown portion. Each type of model was designed differently according to crown material. 1)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Model A) 2) Composite resin veneered crown(Model B) 3) Acrylic resin veneered crown(Model C) 4) Type III gold crown(Model D) The displacements and stresses of implant and supporting structur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crown materia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Displacement of implant was shown uniformly downward displacement in all models and abutments were observed distally downward displacement. 2. In supporting tissues,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crest of compact bone and the spongy bone below implant. 3. The PFM and the type III gold crown showed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stress at the crest of compact bone and the spongy bone below implant, respectively. Acrylic resin artificial teeth and composite resin veneered crown indicated almost the same distribution of stress. 4. The gold screw, the abutment screw and the top of abutment showed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implants of every model.

  • PDF

Rotational tolerances of a titanium abutment in the as-received condition and after screw tightening in a conical implant connection

  • Prisco, Rosario;Troiano, Giuseppe;Laino, Luigi;Zhurakivska, Khrystyn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6호
    • /
    • pp.343-350
    • /
    • 2021
  • PURPOSE. The success of an implant-prosthetic rehabilitation is influenced by good implant health and an excellent implant-prosthetic coupling. The stability of implant-prosthetic connection is influenced by the rotational tolerance between anti-rotational features on the implant and those on the prosthetic compon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tational tolerance of a conical connection implant system and its titanium abutment counterpart, in various conditions. MATERIAL AND METHODS. 10 preparable titanium abutments, having zero-degree angulation (MegaGen, Daegu, Korea) with an internal 5-degree conical connection, and 10 implants (MegaGen, Daegu, Korea) were used. Rotational tolerance between the connection of implant and titanium abutments was measured through the use of a tridimensional optics measuring system (Quick Scope QS250Z, Mitutoyo, Kawasaki, Japan) in the as-received condition (Time 0), after securing with a titanium screw tightening at 35 Ncm (Time 1), after tightening 4 times at 35 Ncm (Time 2), after tightening one more time at 45 Ncm (Time 3), and after tightening another 4 times at 45 Ncm (Time 4). RESULTS. The group "Time 0" had the lowest values of rotational freedom (0.22 ± 0.76 degrees), followed by the group Time 1 (0.46 ± 0.83 degrees), the group Time 2 (1.01 ± 0.20 degrees), the group Time 3 (1.30 ± 0.85 degrees), and the group Time 4 (1.49 ± 0.17 degrees). CONCLUSION. The rotational tolerance of a conical connection is low in the "as received" condition but increases with repetitive tightening and with application of a torque greater than 35 Ncm.

국산 내부연결형 임플란트시스템(GS II$^{(R)}$)에서 지대주 연결방식에 따른 응력분석에 관한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Gsii$^{(R)}$)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Abutments and Prosthetic Design)

  • 장미라;곽주희;김명래;박은진;박지만;김선종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79-195
    • /
    • 2010
  • 임플란트 보철물에 저작력 등 외부 하중이 작용하면 내부 반응으로 응력이 발생되는데 지지골에 나타난 응력은 골재생 및 흡수 파괴, 임플란트에 나타난 응력은 임플란트 자체의 파절이나 나사의 풀림현상 및 파절, 상부 구조물에 나타난 응력은 보철물의 파절 등을 예견하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대주의 형상과 재질에 따라 연결방법과 보철방법이 달라지고 임플란트 내부의 하중전달 기전이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악골에 발생하는 응력분포 역시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 1대구치 부위에 이중나사 구조를 갖고 원추형 내측연결 임플란트 시스템인 GSII$^{(R)}$ (Osstem, Korea)임플란트를 이용해 지대주의 종류를 티타늄 소재의 2-piece Transfer$^{TM}$ abutment (GST), 금합금 소재의 2-piece GoldCast$^{TM}$ abutment(GSG), 외부 연결형태를 가진 3-piece Convertible$^{TM}$ abutment (GSC) 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응력분포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응력은 주로 지대주와 고정체가 접촉하는 경부에 집중되었다. 또한 하중조건에 관계없이 임플란트의 고정체 상부와 접촉하는 치밀골에 높은 응력이 나타나고 해면골에는 아주 작은 응력이 나타났다. 축하중보다는 중심축을 벗어난 하중조건에서 더 높은 응력이 발생되었고 수직하중보다 경사하중에서 더 높은 응력이 발생되었다. 전체에 걸친 최대응력은 GSG에서는 지대주, 치관 및 고정체에 고르게 분포되었고 GST는 주로 고정체와 지대주 나사에, GSC는 고정체와 지대주에 집중되었다. 세 지대주 간 골내의 최대응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GSG가 전체 구성부의 응력분포에 있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 강정경;남기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0
    • /
    • 2014
  •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임플랜트 상부 보철물의 고정 방식에 따른 힘의 분포에 관한 연구 : 나사 유지형 대 시멘트 유지형 (A COMPARISON OF LOAD TRANSFER IN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FIXED PARTIAL DENTURE DESIGNS)

  • 이주희;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25-145
    • /
    • 2001
  •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s between cement-retained and screw-retained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es according to four different abutment types, a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The hypothetical three unit fixed partial denture case was modelled on the three implants(10mm length and 3.75 diameter) in mandibular bone. Four angles of implantation(vertical, 10, 15 and 20 degree inclined mesially) were created and three different directions of force (vertical, oblique, horizontal) were appli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remolar and distal end of the first molar for each case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vertically installed cases, the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upper components, but mesially inclined cases, the more stress was concentrated at cortical bone. 2, The more inclined mesially the more stress was observed, especially at cortical bone. 3. The cement-retained models showed lower principal stress and more even stress distribution than the screw-retained models. 4. The similar stress distribution pattern was showed in model 1 and model 2, model 3 and model 4. 5. The more stress was observed when the loads were applied at the distal end of 1st molar than the center of 2nd premolar. 6 The fixture and the model as a whole, lesser stress values were observed when vertical loads were applied as compared to horizontal and oblique loads.

  • PDF

Submerged 임플란트에서 덮개나사 노출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상실 (Early Marginal Bone Loss around Submerged Implant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Cover Screw Exposures)

  • 최미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2호
    • /
    • pp.175-182
    • /
    • 2013
  • 2단계 임플란트 수술법에 있어서 식립 후 골유착을 위한 치유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덮개나사의 노출의 양상에 따른 조기 변연골 흡수 정도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덮개나사의 노출을 보인 경우에서 선정 기준에 맞는 환자를 선택해 모집단으로 하여, 28명의 환자에서 덮개나사의 노출이 확인된 28개의 임플란트를 실험군으로 하고 노출되지 않은 나머지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총 64개의 임플란트 고정체($TiUnite^{TM}$, NobelBiocare, Sweden)가 식립되었으며 임플란트 식립 1개월 후 정기검사를 통해 덮개나사의 노출을 확인하였다. 노출의 정도에 따라 1군(대조군, 노출 없음), 2군(pin-point 노출), 3군(1/2이하의 노출), 4군(1/2 이상 노출), 5군(완전 노출)으로 하였고 2개월 정기 검진 시 치유지대주를 연결하였다. 식립 직후, 2개월 정기 검진시 치근단 방사선 촬영을 통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을 측정하고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덮개나사의 노출시 변연골 흡수가 관찰되었다. 2. 2군과 3군은 나머지 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3. 4군과 5군은 1군에 비해 변연골 흡수 변화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 <.05), 그 정도는 2군과 3군에 비해 작았다(P <.05). 이상의 결과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치유과정 중 발생하는 덮개나사의 노출은 조기 변연골 흡수에 기여하므로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치유지대주를 연결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다수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에서 지대주 나사의 풀림 토크값에 대한 연구 (Detorque values of abutment screws in a multiple implant-supported prosthesis)

  • 이주리;이동환;황재웅;최정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80-286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다수의 임플란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을, 두 가지 인상법에 의해 얻은 모형들에 연결한 후,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측정하여 나사 결합부 안정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네 개의 외부 육각 임플란트 (Br${\aa}$nemark $System^{(R)}$; Nobel Biocare AB)에 직접 연결되는 임플란트 상부 구조물과, 이와 수동적 적합을 갖는 완전 무치악 하악주모형을 만들었다. 이 주모형에서 비연결 인상법으로 6회 인상을 채득하여 6개의 모형 (1군)을 제작하고,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연결 인상법으로 6회 인상을 채득하여 6개의 모형 (2군)을 제작하여, 총 12개의 실험모형을 제작하였다. 각 실험모형에 상부 구조물을 지대주 나사 ($TorqTite^{(R)}$ GoldAdapt Abutment Screw; Nobel Biocare AB)로 20 Ncm의 힘으로 조인 후 각 나사의 풀림 토크값을 총 2회 측정하였다. 두 군 간 나사의 풀림 토크값의 비교를 위한 통계분석은 반복측정을 고려하고 나사와 reading을 고정효과로, 모형을 랜덤효과로 포함하는 혼합모형 (mixed model)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실시하였다. 결과: 나사의 풀림 토크값의 평균은 7.9 Ncm (1군)과 8.1 Ncm (2군)이었으며, 4개 나사의 풀림 토크값 중 최소값인 최소 풀림 토크값의 평균은 6.1 Ncm (1군)과 6.5 Ncm (2군)이었다. 나사의 풀림 토크값은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고, 조인 순서와 위치가 서로 다른 4개의 나사 간의 풀림 토크값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소 풀림 토크값도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다수의 외부 육각 임플란트에 의해 지지되는 보철물에서, 나사의 풀림 토크값과 최소 풀림 토크값은 비연결 인상법과 연결 인상법에 의해 얻어진 모형 간에 차이가 없어, 나사 결합부 안정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고정체의 직경과 길이에 따른 지지골의 응력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n the stress of supporting bone by diameters and lengths of dental implant fixture)

  • 이명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1-156
    • /
    • 2016
  • Purpose: The dental implant should be enough to endure chewing load and it's required to have efficient design and use of implant to disperse the stress into bones properly.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distribution on a supporting bone by lengths and diameters of the implant fixture. Methods: The modeling and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was used for the simple molar porcelain crown model by Solidworks as FEM program. It was designed on applying with tightening torque of 20 Ncm of a abutment screw between a cement retained crown abutment and a fixture. The fixtures of experimental model used 10, 13mm by length and 4, 5mm by diameter. A external vertical loading on the two buccal cusps of crown and performed finite element analysis by 100 N. Results: The maximum von Mises stress(VMS) of all supporting bone models by fixture length and diameter were concentrated on the upper side of supporting compact bone. The maximum stress of each model under vertical load were 164.9 MPa of M410 model, and 141.2 MPa of M413 model, 54.3 MPa of M510 model, 53.6 MPa of M513 model. Conclusion: The stress reduction was increase of fixture's diameter than it's length. So it's effective to use the wider fixture as possible to the conditions of supporting b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