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use experiences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1초

병원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 among Experience of Verbal Abuse,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 박안나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29-4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S시 소재 일개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17일부터 2015년 11월 2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병동과 외래, 특수부서들을 직접 방문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ical Packageds for the Social Sciences) version 18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 감정노동, 감성지능, 사회적 지지 및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호사의 이직 의도는 의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간호사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환자·보호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과 감정노동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성지능과 사회적 지지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감정노동으로 나타났고, 근무부서에서 응급실이 내과계 병동에 비해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기 학대 경험이 인지적 정서조절 능력 및 관련 뇌영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s in Function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Related Brain Regions in Maltreatment Victims)

  • 김승호;이상원;장용민;이승재
    • 생물정신의학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22
  • Objectives Maltreatment experiences can alter brain function related to emotion regulation, such as cognitive reappraisal. While dysregulation of emotion is an important risk factor to mental health problems in maltreated people, studies reported alterations in brain networks related to cognitive reappraisal are still lacking. Methods Twenty-seven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The maltreatment experiences and positive reappraisal abilities were measured using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respectively. Twelve subjects reported one or more moderate maltreatment experiences. Subjects were re-exposed to pictures after the cognitive reappraisal task using the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during fMRI scan. Results The maltreatment group reported more negative feelings on negative pictures which tried cognitive reappraisal than the no-maltreatment group (p < 0.05). Activities in the right superior marginal gyrus and right middle temporal gyrus were higher in the maltreatment group (uncorrected p < 0.001, cluster size > 20). Conclusions We found that paradoxical activities in semantic networks were shown in the victims of maltreatment. Further study might be needed to clarify these aberrant functions in semantic networks related to maltreatment experiences.

가정폭력 노출 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 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on Mental Health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ources -)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3호
    • /
    • pp.131-149
    • /
    • 2016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on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whether social support acts as a moderator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rough this process, I intended to provide a reference base to suggest substantial interventions for family welfare by helping students to overcome negativ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s and adapt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established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sidering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domestic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child abus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subjects composed 747 college students in 8 colleges in Seoul. The main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ll the subjects of this study had substantial experience of violence at home and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These students scored 3.83 points in social support,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mplying that these students had a higher awareness of social support. Moreover, their mental health score was 3.50 points, which is higher than the median of 3, indicating a somewhat positive tendency toward mental health. Seco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child violenc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gender, age, financial status, academic-performance, child abuse and social support were input in the first step, and then buffering effects were examined by entering an interaction term to the first step in the second step.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erefore,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having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violence and mental health. Third, the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betwee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mental health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the first step. By contrast, the interaction term of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showed no significance, indicating n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second step. To sum up, social support served as a moderator for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with child abuse experience, bu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witnessed interparental conjugal violence experience.

청소년과 부모가 경험한 청소년의 이동전화 서비스 소비자문제와 관련요인 (Youth and Their Parents' Experiences of Young Consumers' Problem in Mobile Phone Service and Related Variables)

  • 양덕순;송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25-341
    • /
    • 2010
  • A study on what kind of problems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with a comprehensive and consumers 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Through this acknowledgement, we investigated (i) the degree of consumer problems that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purchas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and (ii)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experiences of this consumer problem. The parents of the teenagers were also included in the survey because they experience the same problems young consumers' experience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Data were gathered through an internet survey (www.embrain.com) and a total of 699 samples from 350 parents and 349 youths using mobile phone services were analy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enagers and parents' experience level of young consumers' problems were generally high experiencing similar kinds of problems. Second, parents experienced more young consumers' problems than the teenagers in buying and using mobile phone services, especially in misuse and abuse of the phones. Third, among the teenagers, the monthly usage fee music or game usage, the number of changes in mobile phone service operators, the number of replacement mobile phones and the gen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roblems of mobile phone services. Among the parents, the monthly usage fee, music or game usage, confirmation of the bill, and the gender of their child were significant consumer problems. Based on results of our survey the direction of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was suggested for teenagers and their parents.

데이트 폭력 여성피해자의 강압적 통제 경험 (Experiencing Coercive Control in Female Victims of Dating Violence)

  • 권진숙;박시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6-58
    • /
    • 2019
  • Background: Dating violence refers to violence occurring between people in an intimate relationship. Forms of dating violence are often categorized into physical,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and most existing literature has followed this frame.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living under the perpetrator's coercive control in victims of dating violence, although those experiences are known to be signs of severe forms of violence later 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being coercively controlled in female victims who had experienced dating violence. Method: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4 female victims, and all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transcrib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olaizzi. Results: Three themes were derived in chronological order: idealizing the relationship (period of potential control), facing severer tyranny (period of coercive control), and escaping from the unending trap (period of post-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ctims experienced perpetrators' control with specific patterns. The perpetrators' controlling behaviors were invisible, literally benevolent, at the beginning; however, severe forms of violence seemed to appear as their relationship deepened and the perpetrators failed to control the victims. Conclusion: Findings from this study presented vivid experiences of female victims who needed help and care. Hopefully, the results can benefit in terms of developing evidence-based prevention strategies for victims as well as assessing the risks of severe forms of dating violence, such as physical attack or murder.

한국정보정책의 방향과 실제 (The Trends and Reality of Korean National Information Policy)

  • 김영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3-36
    • /
    • 1998
  • The 1995 Informatization Promotion Act was passed to advance the national quality of life and to develop national economy by promoting informatization, forming the ground of telecommunication industry, and realizing the advancement of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This article was written to review whether this act's purpose was being achieved by Korean government. Even if Korean informatization policy implemetation structure is strongly centralized around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policies are formulated and implemented among agencies. To explain this phenomenon, I suggested the following factors : (1) The Korean government's lack of informatization experiences, (2) The political abuse of information policy, (3) the conceptual rigidity on the structure of information superhighway, (4) the absence of the basic principles for electronic government, (5) the uniformed regional informatization.

  • PDF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매맞는 여성의 생존(survival)에 관한 연구 (How Do Battered Women Survive with Their Children? : Phenomenology on Battered Women's Experiences)

  • 정혜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4호
    • /
    • pp.237-263
    • /
    • 2006
  • 본 연구는 폭력가정에서 여성과 자녀 모두 심각한 수준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전제하고 그들의 생존과 대처와 관련된 갈등과 딜레마를 모-자녀관계의 관계적 경험을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쉼터에 거주하고 자녀양육경험이 있는 1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질적분석 소프트웨어인 아틀라스티를 활용하여 자료 분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였다. 가정폭력은 언제든지 아동학대로 전이, 통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건으로 매맞는 여성과 자녀는 '모성과 효성의 위기'를 공유하며 대처노력에 있어 서로를 위한 생존 에너지를 동원할 수 있는 상호적 존재의미를 갖는다. 폭력가정의 여성과 자녀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은 피해가족구성원들의 복합적 현실을 심도 깊게 이해함을 전제로 여성과 아동을 동시에 역량강화 시키는 통합적 접근이어야 한다.

  • PDF

아동·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생존자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Violence Victim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 주소희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2호
    • /
    • pp.33-6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으로 인한 피해를 경험한 사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즉, 현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의미 구조를 탐구하였으며, 이를 위해 질적연구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 경험이 있는 6명의 여성과 심층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범주화분석과 재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발견된 주제들은 '일상에서 벗어난 그날, 말할 수 없는 공포감: 어느 날 갑자기 왜 하필 이런 일이', '의식하지 않으려고 발버둥침: 말 못할 고통, 말할수 없어서, 나는 왜 이럴까? 난 내가 싫어', '잊었다고 끝이 아니었어: 말하면 괜찮을까?, 의식하게 됨, 더 심해진 혼란들', '내 잘못이 아니라는 것은 알지만: 내면화된 사회통념들, 여성성에 대한 부정, 혼란과 회복' 등이 있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아동 청소년기에 성폭력을 경험한 여성들을 돕기 위한 실천지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 인권감수성과 또래동조성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Youth'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Cyber Violence -Focus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Peer Conformity-)

  • 김정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446-464
    • /
    • 2021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 사이버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과 사이버폭력의 관계에서 인권감수성과 또래동조성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시내에 소재한 교육청 별로 중학교 4곳을 선정하여 중학생 90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경험은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중 가해경험과 방관경험은 인권 감수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피해경험은 인권감수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교폭력경험 중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은 또래동조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방관경험은 또래동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인권감수성은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또래동조성은 사이버폭력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인권감수성은 또래동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인권감수성 중 방관경험은 방관경험과 사이버폭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피해경험과 가해경험은 인권감수성과 사이버폭력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 여덟째, 또래동조성은 피해경험, 가해경험 모두 사이버폭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방관경험과 사이버폭력 사이에서는 매개효과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인권감수성과 또래조성은 방관경험과 사이버폭력 관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권감수성과 또래조성은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사이에서 사이버폭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가해경험, 방관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효과와 인권감수성과 또래동조성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이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피해경험, 가해경험, 방관경험을 가진 청소년이 사이버폭력의 중복경험을 하지 않기 위한 사회복지 역할을 모색하고,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생태체계 관점에서 본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이후의 경험에 대한 연구: 시설거주 장애인을 중심으로 (The Experiences of Sexually Abused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cosystems Perspective: Focused on Disabled Women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 김지혜;김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382-395
    • /
    • 2017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활용하여 성폭력 피해로 시설에서 생활하는 지적장애여성이 개인, 가족, 지역사회 등 주변 체계들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며 생활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욕구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 연구를 사용하였고, 성폭력 피해 장애인을 위한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11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심층면접, 초기 면접 자료, 집단 프로그램 참여 관찰, 설문지 자료 등 다양한 자료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체계에서는 성폭력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로 감정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나며, 심리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가족은 성폭력이 일어난 장소였으며, 폭력으로부터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한 체계였다. 시설은 참여자들에게 중요한 보호체계가 되었고, 직장과 학교체계는 이들에게 배움에 대한 즐거움과 미래에 대한 꿈을 가질 수 있는 장소였다. 그러나 퇴소 이후 시설 밖의 지역사회 체계는 여전히 성폭력에 취약한 위험 요인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을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과 가족지원, 쉼터 및 그룹홈의 필요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