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ietic acid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플라스마를 이용한 Abietic Acid의 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oval of Abietic Acid Using Plasma)

  • 김가영;김다슬;김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88-794
    • /
    • 2020
  • 본 연구는 전자산업 해당공정 작업자가 노출될 수 있는 천식유발물질인 Abietic acid가 플라스마 처리로 인해 제거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2019년 1월부터 11월 까지 측정 분석하였다. 솔더 와이어와 천연 Rosin을 사용을 사용하여 250℃, 300℃, 350℃ 온도에서 발생하는 공기를 2ℓ/min 유속으로 10분간 에어샘플러로 유리섬유여과지로 포집하였다. 포집한 시료의 분석은 메틸알코올로 전처리 후 HPLC로 Abietic acid를 정량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천연 Rosin, 솔더 와이어에서 모두 Abietic acid의 발생을 확인하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모두 Abietic acid 발생량 또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천연 Rosin과 솔더 와이어 중에 천연 Rosin에서 Abietic acid의 발생량이 더 많았다. 플라스마 처리 결과 천연 Rosin에서 약 92% 이상의 제거효율을 확인하였고, 솔더 와이어에서는 Abietic acid의 Peak가 검출되지 않아 100%의 제거효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솔더 와이어와 천연 Rosin에서 천식 유발물질인 Abietic acid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플라스마 처리로 Abietic acid가 제거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폐플라스틱/폐섬유소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lastic Waste/Cellulose Waste Composites)

  • 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8권1호
    • /
    • pp.19-26
    • /
    • 2003
  • 혼합폐플라스틱과 섬유소로서 폐신문지를 혼합하여 복합체를 구성하고 그 기계적인 물성을 조사하였다. 수지-수지 및 수지-섬유소 사이의 계면접착력을 증대시키고자 섬유소와 친화성을 가진 아비틱산을 소량 첨가하였다. 섬유소의 투입량이 많아질수록 인장강도는 플라스틱자체보다 저하되었으며 아비틱산은 강도에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파단신장률 및 충격강도는 섬유소만의 투입량에 따라서는 감소하였으나, 섬유소가 적은 양이고 아비틱산이 적게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놀라운 상승을 나타내었다. 물성의 향상은 아비틱산의 화학적인 양면성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탈모마우스모델에서의 송지추출물 및 그 성분인 아비에트산의 모발성장효과 (Hair Growth-promoting Effect of Resina Pini and Its Main Constituent, Abietic Acid, in Mouse Model of Alopecia)

  • 박건혁;김용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3-209
    • /
    • 2016
  • 최근 남성성탈모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천연물 및 그의 활성성분을 활용한 새로운 약물 개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송지(Resina Pini, RP)는 Pinus sp. (Pinaceae)의 수지질로 전통의학적으로 감염, 우식증, 치주질환에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진은 RP의 성분인 아비에트산(abietic acid, AA)이 남성성탈모기전에 중요한 효소인 $5{\alpha}$-reductase를 억제하는 효과를 세포 수준에서 입증한바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실제로 탈모억제 및 모발 성장에 대하여 실험동물 수준에서 입증하고자 한다. C3H/HeN 탈모마우스 모델에서 RP는 300 mg/kg에서 유의하게 탈모억제를 확인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AA는 30 mg/kg에서도 유의하게 탈모억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RP는 그 활성성분인 AA가 $5{\alpha}$-reductase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남성성탈모억제효과를 보였다고 사료되며, 향후 탈모억제 보완치료법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열분해/GC/MS를 이용한 열화 호박(amber)의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omposition of amber with ageing using pyrolysis/GC/MS)

  • 박종서
    • 분석과학
    • /
    • 제26권3호
    • /
    • pp.190-198
    • /
    • 2013
  • 호박은 오래전부터 장식품, 공예품, 부장품 등으로 사용되어 매장문화재 형태로 발굴되고 있다. 발굴 당시 호박은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표면의 균열, 박락 등이 관찰된다. 풍화에 따른 호박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GC/MS로 호박의 열분해 산물을 분석하여 호박을 구성하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열과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60일 동안 인공열화하여 호박의 열분해 산물의 구성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호박의 주요 열분해 산물로 abietic acid가 검출되었고, monoterpene류, alkene류, aromatic hydrocarbon류가 검출되었다. 주요한 23개의 성분에 대해 열화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비를 비교하여 열화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주성분인 abietic acid는 산소와 열이 있는 조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열만 있는 조건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산소가 호박의 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풍화된 호박 원석의 표면에 대해 열화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열화상태를 파악하는 시도도 하였다.

송진 유래 abietic acid가 전립선 비대증 모델 rat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abietic acid in testosterone-induced benign prostatic hyperplastic rats)

  • 김소영;김유진;김용웅;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7-34
    • /
    • 2023
  • Objectives : Currently, the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one of the most common urogenital disorder in old men. We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bietic acid (AC), component of pine resin,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tic Sprague-Dawley rat (SD rat) induced by testosterone injection (IP). Methods : We monitored body weights in SD rat at start and end date of experiment. After end of experiment, the prostate weights were measured in SD rats.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levels was performed in serum. And we determined the 5-alpha reductase Ⅱ activity, testosterone levels, and dihydrotestosterone levels in prostate tissue and serum using ELISA kit. Results : As results, the prostate wights were increased in BPH group compared to normal group and were decreased in fina, AC30, and AC 50 groups, respectively. Serum GOT levels were decreased in AC50 group compared to BPH group. And Serum GPT levels of AC30 and AC50 groups were lower than BPH group. In addition, the 5-alpha reductase Ⅱ activity, testosterone levels, and dihydrotesto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the fina, AC10, AC30, and AC 50 groups contrast to the BPH group. Furthermore, 5-alpha reductase Ⅱ activity, testosterone levels, and dihydrotestosterone levels were decreased dose dependent in AC groups compared to BPH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material for the treatment of BPH by decreasing the androgen levels in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model rats.

리기다소나무재(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물(抽出物)과 그 tall oil 간의 조성(組成)의 차이(差異) (Difference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Petroleum Ether Extract and its Tall Oil in Pitch Pine, Pinus Rigida Mill)

  • 고상운;안운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2호
    • /
    • pp.79-89
    • /
    • 1988
  • 본(本) 실험(實驗)은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 Mill)를 petroleum ether로 추출(抽出)한 추출액(抽出被)과 흑액(黑液)으로부터 얻은 tall oil과의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액(抽出液)과 tall oil 을 DEAE-Sephadex 칼럼과 aluminum oxide 칼럼을 사용하여 수지산(樹脂酸)과 지방산(脂肪酸)으로 분리(分離)한 후 이를 개스크로마토 그래프로 분석(分析)하였다. 본(本) 실험(實驗)에서 얻는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액(抽出液힘)과 tail oil은 주로 수지산(樹脂酸)으로 구성(構成)되어 있고 특히 abietic-type acide의 함량(含量)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tall oil의 조성(組成)은 생재(生材)의 유기용매(有機溶媒) 추출물(抽出物)에 비(比)해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한 반면 수지산(樹脂酸)은 감소(減少)하였고, 증해시(蒸解時) 고온(高溫)과 증해약품(蒸解藥品)에 의하여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의 이중결합(二重結合) 위치(位置)의 변화(變化) 및 이성질화(異性質化)에 의하여 미확인(未確認) 물질(物質)의 양(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

CFC 113과 대체세정제의 세정성능 비교 (Comparison of Cleaning Performance of CFC 113 and the Alternatives)

  • 노경호;최대기;이윤용
    • 분석과학
    • /
    • 제6권5호
    • /
    • pp.521-530
    • /
    • 1993
  • 몬트리올의정서에 의하여 오존층 파괴물질로 규정된 전자산업의 필수불가결한 세정제인 CFC 113(1,1,2-trichloro 1,2,2,-trifluoroethane)의 사용이 앞으로 규제가 됨에 따라서 대체세정제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시판중인 세정제의 종류는 상당히 많다. 이 중에서 Axarel 32(DuPont), Cleanthru 750H(KAO Chemical), EC-Ultra(Petroferm)를 선정하여 CFC 113과 세정성능을 비교하였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의 세정성능 검사방법은 기본적은 물성측정, 재질호환성에 대한 실험, 증발속도의 측정,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에 관한 실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들의 기본적인 물성들은 서로 상이하였다. 대체세정제는 비점이 높고 표면장력과 점도가 CFC 113보다 큰 값을 가지고 있다. 전자산업에서의 로진계 flux를 오염물질로 하고 각기의 세정제와의 용해도를 비교한 결과 비극성 유기물질은 abietic acid에 대한 용해도는 서로 유사하였으나 대체세정제의 경우 극성 유기물질에 대한 용해도는 CFC 113에 비해서 월등히 좋았다. 또한 비점이 낮은 CFC 113의 건조성은 대체세정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였고 특히 대체세정제 중에서 EC-Ultra는 건조성이 매우 낮았다. CFC 113과 대체세정제에서의 PCB의 구성 재질인 FR4와 Cu-coated FR4에 대한 재질호환성은 거의 비슷하였다. Abietic acid의 제거효율에 관한 실험에서는 초음파 세정에 의해서 우수한 세정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침적에 의해 세정에서는 건조성이 좋은 세정제가 유리하지만 초음파 세정에 의해서 대체세정제간의 제거효율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CFC 113의 대체세정제로서 로진계 flux를 제거하는 대체세정제간의 세정성능은 큰 차이는 없으나 최종 세정제로 선정하기 위해서는 세정장치의 적용, 환경문제 및 경제성의 고려가 병행되어야 한다.

  • PDF

CFC 대체세정제의 물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al Properties of CFC Alternative Cleaning Solvents)

  • 노경호;이윤용
    • 분석과학
    • /
    • 제6권1호
    • /
    • pp.65-75
    • /
    • 1993
  • 오존층 파괴물질로 규명된 CDC 113의 대체 세정제를 수집하여 실험적인 방법으로 밀도, 표면장력, 굴절지수, 비점, pH, 점도, 인화점,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대체세정제는 크게 수계 세정제, 준수계 세정제, 알코올 및 케톤계 세정제, 할로겐 세정제로 나누어서 측정한 물성들을 비교하였다. 전자산업의 잔자회로기판(PCB)에 사용되는 flux의 주성분인 abietic acid와 각 세정제의 용해실험은 HPLC를 사용하여 용해도를 구하였다. 각 분류별 세정제는 장단점을 갖추고 있으며 최종 사용자는 물성에 의한 세정제의 효율성과 세정방법 뿐만 아니라 안정성, 경제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판중인 CFC 113의 대체 세정제를 수집하여 물성을 측정하고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대체 세정제를 선정하는 데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 PDF

Renewable Monomer Based on Rosin in Photoinitiated Radical Polymerization

  • Shim, Sang-Yeon;Hong, Young-Taik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2-197
    • /
    • 2000
  • Rosin moeity-containing monome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abietic acid with 2-hydroxyethyl methacrylate in tetrahydrofuran(THF) using diethyl azodicarboxylate as a catalyst. This new monomer was photo-polymerized to give thin films in the presence of a radical type initiator. The rate of photo-polymerization and amount of cured polymer were determined using the residual yield method. A thermogravimetric analysis of the cured polymer showed that the film was stable up to 170oC, at which point the polymer film has lost 10 wt % of its w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