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stow net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1초

연안 낭장망어업의 어획성능과 소형어 혼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shing Efficiency and By-Catch of Small Fish of Winged Stow Net Fishery)

  • 김주성;이주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92-107
    • /
    • 1996
  • 1982~1989년간의 연안어업 자원조사 보고서, 1993년 연안어업의 자원이용 실태 평가 보고서와 설문조사한 자료 등을 이용하여 연안 낭장망어업의 어획성능과 소형어의 혼획실태 및 남획의 대처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낭장망어업의 허가처분 실태는 1993년도에는 연안어업 873건, 구획어업 146건이었으나 1994년 수산업법이 개정된 이후에는 연안어업 757건, 구획어업 302건으로 연안어업 건수가 감소된 반면 구획어업 건수는 증가하였다. 2. 낭장망어업의 경영체당 순이익은 1991년도를 기준으로 할 때, 안강망과 해선망에 비교해서 훨씬 높은 수준에 있다. 3. 통당어획량은 1982년부터 1989년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1990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어종별 혼획율은 큰 변동이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서해안인 경기, 충남지역에서는 새우류 및 배도라치의 혼획율이 높았으며 남해안인 전북, 전남, 경남지역에서는 멸치와 배도라치의 혼획율이 높게 나타났다. 5. 소형어의 어종별 혼획율은 까나리, 멸치, 밴댕이, 배도라치 등은 각각 89.6%, 69.4%, 63.4%, 51.2%로 높게 나타났으나 새우류는 꽃새우 21.7%, 젓새우 18.8%로 적게 나타났다. 6. 월별 혼획율은 멸치, 밴댕이등은 4월과 8~11월에 높았으며 새우류는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다. 7. 낭장망어업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는 소형어 남획의 대처 방안으로서는 소형어가 가장 많이 어획되는 시기인 4월과 8~11월에는 조업회수를 줄이는 방법, 소형어가 그물코를 통과할 수 있는 만큼의 큰 그물코를 사용하는 방법, 정착성 어류의 서식지가 아닌 조업구역을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 PDF

재결서 분석을 통한 안강망어선에 승선하는 선원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fisher on stow net fishing vessel using analysis of adjudication)

  • 김욱성;현윤기;이유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6권2호
    • /
    • pp.155-162
    • /
    • 2020
  • The adjudication of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 (KMST) was analyzed to collect basic data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risk that did not appear in the current data provided by the fishermen's occupational accidents of the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 (NFFC) in stow net fishing vessel from 2015 to 2019. The personnel's carelessness was the most common in 29 out of 33 accidents (87.9%), followed by 25 cases (75.8%) of inadequacy of instructions, 24 cases (72.7%) of inadequacy of education on hazard factor, 20 cases (60.6%) of no personal protection equipment, 18 cases (54.5%) of poor guard, 17 cases (51.5%) of inadequacy of work method, 16 cases (48.5%) of absence of emergency stop button, 14 cases (42.4%) of work practice of poor safety precautions that affected more than 40% of all accidents as accident causes. These causes had a strong influence on each other, and the ratio of accident causes is high. With this relationship, accidents can be prevented or the severity of human injury can be reduced if types of accident process can be estimated with a scenario, and the key points before the accident in the scenario are switched to safe points.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Long-bag Stow Net in Nang-island, Yeosu)

  • 유태식;윤병일;김준;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96
    • /
    • 2020
  •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2017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진행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9목 26과 37종, 10,208개체가 어획되었다. 농어목이 11과 16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멸치(4,886개체, 47.9%), 보구치(842개체, 8.2%), 준치(369개체, 3.6%) 순이었다. 다양도는 1.24~3.23 범위를 보이며 5월이 가장 높았고, 우점도는 22.4~78.7% 범위를 보이며 11월이 가장 높았다.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 주목망 어획자원의 종조성 (Fishery Resources off Youngkwang 1.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Stow Net)

  • 황선도;임양재;김용철;차형기;최승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27-738
    • /
    • 1998
  •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 사이에 서해 영광 연안에서 주목망으로 채집한 부영생물의 종조성과 계절에 따른 양적 변동을 파악하였다. 한 시기 정점간의 종조성 변화가 적어 조석간만의 차가 심한 서해에서는 강한 조류를 이용한 수동어구의 자료는 우점종에 대해서 정량화가가능하였다. 조사기간중 총 98종이 출현하였으며, 그중 어류가 $52.0\%$, 새우류 $44.6\%$, 두족류 $2.0\%$, 게류 $1.4\%$ 및 복족류가 $.1\%$ 미만을 차지하였고, 청멸 (Thryssa kammalensis),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중하 (Metapenaeus joynezi), 민태 (Johnius grypotus) 등이 전체의 $68\%$ 이상을 차지하여 소수종에 의해서 우점하였다. 출현종수와 개체수 및 생체량의 계절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부영생물의 종조성이 정점간의 변화보다는 계절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서해 남부의 영광 연안 해역은 세립질 퇴적물이 우세한 해역으로 서해 중부 해역과는 다른 종조성을 보였다.

  • PDF

89톤급 선미식 안강망어선의 선형치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ull-dimension of 89 ton class Stow-net Vessel with Stern-fishing)

  • 박제웅;이현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3호
    • /
    • pp.159-165
    • /
    • 1997
  • 근해안강망업업에서 경제성이 있고 안전성이 향상된 어선의개발에 중요한 기본자료가 될 최적한어선의 규모 및 기본치수를 선정하게되는 본 연구는 그 내용을 최적규모에 영향을 주는 어업 및 어선의 기본성능분석과 최적규모 결정을 위한 시스템의 개발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최적규모에 여향을 주는 어업 및 어선의 기본성능분석에서는 근해안강망어업의 어업자원 평가, 어업실태조사 등을 하고, 기본성능의 분석은 대표적인 톤급에서 빈번히 살생되는 안전성, 조업성등과 어선의 기분수치와의 인과관계를 ISM기법으로 분석하여 최적규모 결정모델에 이용하였다. 한편 최적규모결정을 위한 시스템을 경제성 평가 및 최적화 모델 구성, 어선의 초기설계조직의 구성, 및 시스템분석 S/W개발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규모 및 기분치수를 찾았다. 근해안강망어업의 개발대상어선의 대표적인 톤급으로 냉동설비를 성치한현축식 89톤급 및 선미식 89톤급으로 구분하여, 즉 어선(I)군과 어선(II)군으로 분류아여 항해속력 9~11노트에서 최적규모 및 기본치수를 구하였다. 즉 어선(I)군과 어선(II)군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에 의햐면 어선(I)군에서는 향해 속력 10노트에 현측식 89톤 근해안강망어선(냉동설비 설치)이 경제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어선(II)군의 향해속력 10노트인 {어선(II-2)군}대상어선은 분석된 모든 어선중에서 가장 경제성이 좋고 안전성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최정적인 결론을 얻게 되었따. 이와 같은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우리나라 안강망어업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사료되는 89톤급 선미식 안강망어선의 기본치수는 배의 길이(Lpp):27.0~28.0m, 배의 폭(B):6.6~6.8m, 배의 깊이(D):2.75-2.85m,방형 계수$C_b$:03685-0.698, 항해 속력(Vs):10노트인 것으로 분석된다. 감소되지 않았다' '통증을 호소했을 때 빨리 혹은 시기적절하게 대처해주지 않았다', '환자가 통증을 호소할 때, 무관심하며 형식적으로 대했다', '약물 투여방법, 작용시간, 부작용 등 통증 관리에 대한 정보제공이 없었다' 이었으며, 만족하는 이유는 '통증조절 후 통증이 감소했다', '통증을 호소할 때 의료진이 관심을 가져주었다', '의사나 간호사가 신속하게 통증조절을 해주었다' '의사를 신뢰하기 때문' 이었다. 4) 암성통증관리의 만족 또는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만족 집단과 불만족 집단의 통증정도 및 일상생활에 지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두 그룹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통증관리에 대한 환자의 염려 항목 중 '훌륭한 환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 자이다'에 있어서 만족 집단의 평균점수가 불만족 집단의 평균점수보다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선행연구들에 비해 암환자의 통증관리에 대한 만족도는 증가하였으나 아직도 30%정도의 대상자는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의 통증 관리에 대한 만족도 향상을 위해 통증관련 약물,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방법 및 환자들의 통증과 관련된 잘못된 지식을 개선하는 내용이 포함된 환자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 지구조 판별도에서 지판이 침강 섭입하는 지판 경계부(destructive plate margin) 중 화산호의 조구적 영역에 도시된다. 본역의 화산암을 생성시킨 마그마는 $Al_2O_3$와 CaO 함량의 관계도, mode에서 나타나는 사장석 반정, 분화가 진행될수록 부의 Eu 이상이 증가하는 것 등에서 사장석의 분별이 우세한 분별결정작용을 거쳤음을 알 수 있다. 안산암질암을 관입한 중상 암맥에서 측정한 암석 년령은 $97.0{\pm}6.8~94.5{\pm}6.6$, 데사이트질암은 $68.9{\pm}4.8,\61.5{\pm}4.9~60.7{\pm}4.

  • PDF

근해안강망어업경영의 원가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t state of the stow net Fishery)

  • 박정호
    • 수산경영론집
    • /
    • 제9권2호
    • /
    • pp.59-89
    • /
    • 1978
  • The analyzed results of the actual state of stow net fishery based on the cost expended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interests, the total cost of this fishery comes to ₩38,010,653 and in this account, the production cost comes to ₩35,477,198(93.3%), the material cost, 14,567,239(38.3%), the labour cost, 12,740,274(33.5%), the expenses, ₩8,169,685(21.5%), the commision and administration expenses, 2,533,455(6.7%). The expenses for this fishery are paid out as production costs, and the expenses for sale and administration expenses are the lowest of them, and the 93% of expenses are paid out as production costs. The ratio of cost element to 100% is as follow. The wages, 28.4%, fuel, 15.2%, repair, 11.6%, deprecation, 9.5%, fishing gear, 8.7%, ice, 6.1%, container(box for fish), 5.2% administration expenses, 5.2%, food, 3.5%, ship grar, 3.2%, public welfare, 1.7%, commision for sale, 1.5%, insurance for crew, 0.2%, taxes, 0.2%. This fishery is managed with the larger fishing boat than it was and so, it demands better crews with higher wages. In the former fishery, the search for fishing ground is very difficult with long navigation and great fuel consumption. when the weak fishing gears are used, the expenses for their repair and for their gears are greatly paid out. The unit costs of catches to each box come to ₩2.807(₩187 each kg). As the ratio of cost of sales comes to 86.7%and the ratio of interests comes to ₩5,850,812(13.3%), and so the net profit comes to 13.3% of total profits. According to above the ratio of cost of sales is shown as a universal validity, Asthe total expenses comes to 86.7% to the money on sales in the break-even point, the break-even point comes to ₩26,209,168 Accordingly for the profit control the account of production should be raised, and by the saving method of expenditure the break-even point should be brought down for the development of total profits.

  • PDF

한강 하구 해역에서 개량안강망 및 해선망으로 어획된 수산생물의 계절별 종 조성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by the stow nets and the stow net on boat fisheries in the Han River Estuary, Korea)

  • 오택윤;이재봉;서영일;이종희;최정화;김정윤;이동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52-468
    • /
    • 2012
  • 한강 하구 해역에서 2010년 4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출현한 생물은 5 분류군 61과 126종이었다. 갑각류는 18과 34종, 두족류는 3과 5종, 어류는 35과 79종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외 종단위로 분류되지 않은 자포동물류인 해파리류와 포유류에 속하는 상괭이가 출현하였다. 한강 하구 해역의 출현종의 대부분은 어류와 갑각류로 구성되었다. 연구기간동안 주된 우점 종은 그라비새우, 꽃게, 밀새우, 갯가재 등이었으며, 어류로는 웅어와 싱어이었다. 우점한 6종에 대한 체장조성 및 평균체장을 살펴보면, 하나 이상의 체장모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 이상의 모드를 가지는 것은 한강 해역에 출현하는 종들이 일정시기 또는 일생동안 한강 하구 해역에서 서식하며, 산란장 또는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한강 하구 해역중 강과 가장 가까운 정점인 더리미에서는 민물어류가 출현하였으며, 홍수 등 담수의 대량 방류 시기와 조사 시기가 일치하는 경우에 민물어류가 하구 해역에서 채집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도별 정점별 종조성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조성은 조사시기별 정점별 차이를 나타내었다.

한국 근해 복수어구 및 다종어업 자원 평가모델 연구 II. 복수어구에 의한 단일 어종 자원의 이용 (A Study on the Multi-gear and Multi-species Fisheries Assessment Models in Korean Waters II. Single-species by Multiple Fisheries)

  • 서영일;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9-364
    • /
    • 2001
  • 복수어구에 의한 단일 어종 자원의 평가모델은 단일 어종에 대한 복수어구의 어획노력량이 다르므로 어업별 어획노력량을 하나의 노력단위로 표준화하여, Fox (1970)에 의한 잉여생산량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최대지속적생산량, 최대경제적생산량 및 적정어획 노력량의 값을 추정하였다. 여기서는 참조기에 대한 대형기선저인 망쌍끌이어업과 근해안강망어업에 대해 적용하였고, 이 두 어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순이익을 추정하였다. 참조기에 대한 어업별 순이익의 변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어업의 경제성은 근해안강망어업이 대형기선저인망쌍끌이어업 보다 더 나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두 어업의 순이익을 같게 하기 위해서는 대형기 선저인망쌍끌이어업의 노력량을 현재보다 증가시키고 근해안강망 어업의 노력량은 낮춰야 한다.

  • PDF

서해 영광 연안 수산자원 II. Otter Trawl 어획자원의 종조성 (Fishery Resources off Youngkwang II. Species Composition of Catch by a Otter Trawl)

  • 황선도;임양재;송홍인;최용석;문형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39-748
    • /
    • 1998
  • 1995년 5월, 9월, 11월에 영광군 연안에서 오터트롤로 채집한 수산생물의 종조성을 파악하고, 같은 시기에 주목망에서 채집된 부영생물과 비교하여 영광 근해 수산자원의 특성을 구명하였다. 영광군 연안에서 조사기간 동안 총 73종의 수산생물이 출현하였으며, 이중어류 $63\%$, 두족류 $5\%$, 복족류 $3\%$, 게류 $14\%$, 새우류 $14\%$이었다. 개체수에서 민태 (Johnius grypotus), 그라비새우(Palaemon gravieri), 마루자주새우 (Crangon hakodatei), 참서대 (Cynoglossus joyneri), 눈강달이 (Collichthys niveatus)가 전체의 $64.4\%$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같은 시기에 같은 정점에서 채집한 주목망에 의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주목망에는 부영생물이, 오터트롤에는 저서수산생물이 우세하여 채집방법에 따른 종조성의 차이를 보였다.

  • PDF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낭장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Winged Stow Nets on Anchors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309-319
    • /
    • 1998
  • 경남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조업중인 낭장망에 의해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서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1년간 매달 어류를 채집하였다.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56종이었다. 멸치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붕장어, 갈치, 밴댕이, 청멸이 많이 어획되었다. 이들 6어종은 채집된 어류 총 개체수의 93.9%와 총 어획량의 73.8%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의 대부분은 10cm 이하의 작은 체장을 지닌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로 구성되어 있었다. 낭장망에 의한 어확물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다. 채집어종수는 봄과 가을에,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은 봄에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겨울에는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여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 시기에 멸치가 총 개체수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낮과 밤의 어획량을 비교한 결과, 밤 동안에 더 많은 어종수 및 생체량이 채집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