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guide for teaching student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하브루타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on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하재현;이현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7-34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and self-leadership.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138 nursing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n=70) received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for six week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23 to November 8,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2.0 for the 𝑥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munication competency (t=2.44, p=.016).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t=1.85, p=.067), and self-leadership (t=1.78, p=.077)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education applying Havruta's method is an effective nursing education for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be a guide for nursing professors at the nursing education field when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that apply Habruta's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pply Habruta's teaching method to various nursing majors.

학교수학에서 인수분해의 지도 (Teaching Factorization in School Mathematics)

  • 최상기;이지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1호
    • /
    • pp.81-91
    • /
    • 2009
  • This paper focuses on two problems in the 10th grade mathematics, the rational zero theorem and the content(the integer divisor) of a polynomial Among 13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blem solving, 58 of them (42 %) has used the rational zero theorem for the factorization of polynomials. However, 30 of 58 students (52 %) consider the rational zero theorem is a mathematical fake(false statement) and they only use it to get a correct answer.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in the textbooks in dealing with the content of a polynomial with integer coefficients. Computing the greatest common divisor of polynomials, some textbooks consider the content of polynomials, some do not and others suggest both methods. This also makes students confused. We suggests that a separate section of the rational zero theorem must be included in the text. As for the content of a polynomial, we consider the polynomials are contained in the polynomial ring over the rational numbers. So computing the gcd of polynomials, guide the students to give a monic(or primitive) polynomial as ail answer.

  • PDF

Mathematics Inquiring Based on Pattern Similarity

  • Yanhui X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6권3호
    • /
    • pp.147-166
    • /
    • 2023
  • Mathematics is a science of pattern. Mathematics is a subject of inquiring which aims at discovering the models hidden behind the world. Pattern is abstraction and generalization of the model. Mathematical pattern is a higher level of mathematical model. Mathematics patterns are often hidden in pattern similarity. Creation of mathematics lies largely in discovering the pattern similarity among the various components of mathematics. Inquiring is the core and soul of mathematics teaching. It is very important for students to study mathematics like mathematicians' exploring and discovering mathematics based on pattern similarity. The author describes an example about how to guide students to carry out mathematics inquiring based on pattern similarity in classroom.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서교사 역할 및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Teacher Librarians based on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81-102
    • /
    • 2020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서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의 학생과 교사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사서교사의 역할, 자질, 건강 및 용모, 도서관환경에 대한 평가라는 4개의 프레임과 20개의 하위범주를 토대로 분류한 뒤 하위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의 중심에 존재하는 핵심적 개념은 학생의 경우 '도서관운영'이었으며, 교사의 경우는 '독서교육'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은 학생과 교사의 인식을 형성하는 데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수업 지원', '도서관활용수업 및 협력수업'과 같은 사서교사의 교수협력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높지 않은 데 비해 교사들은 이와 관련한 역할을 비중있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료추천과 안내 활동을 하위개념으로 구성하는 '정보봉사'는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중심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도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서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서는 '전문성 및 전문지식'이 중심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사서교사의 역할 설정, 학생 및 교사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과 인식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자격시험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st System for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Qualification)

  • 민영기;장영희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09-113
    • /
    • 2011
  • This study is suggest the test system for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qualification. And this study is the field-based BIM educational program with the acquisition of the qualifying certificates. Since field-based BIM and Curriculum(of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are highly linked to the actual practical affairs, the learning connected to the practical affairs out of the teaching focused on BIM modeling would satisfy students, and it would make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s which determinate the capability of the practical affairs. Thus teachers should guide students to get the certificates thoroughly, make them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acquisition of the certificates.

기술.가정 교과의 중학교 1학년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의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효과검증: 중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유지혜;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9-98
    • /
    • 2013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기술 가정 교과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을 중심으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수업이 중학생의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2007 개정 교육과정상의 중학교 1학년 12종 교과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과,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중학교 1학년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자신을 통제하고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자율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청소년이 되기 위한 자기관리를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총 7차시의 '청소년의 자기관리' 단원에 관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K중학교 1학년 7개 학급을 대상으로, 통제반 3학급은 설명식 강의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실험반 4학급은 개발된 실천적 문제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하여 진행한 후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의 향상정도를 공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자아효능감, 자아탄력성, 행복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 PDF

창의력 향상을 위한 로봇활용 교수 - 학습모형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Robot - based Teaching-Learning Model for Improving Creativity)

  • 전우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99-105
    • /
    • 2015
  • 현재 로봇은 교육적 목적으로 학교에서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로봇활용교육의 확산과 더불어, 로봇활용교육의 장점은 학생들에게 창의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로봇이 학생들의 수업활동을 위해 매우 유용한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로봇활용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교수-학습 모형은 구성주의 교육철학에 기반을 두어 고안되었고, 6단계(준비, 디자인, 조립, 시범작동, 평가 및 적용 및 확장)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제안하는 모형은 학생들의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디자인되었다. 학생들은 자기주도활동을 해야 하며, 자신의 아이디어에 기초하여 결과물을 제작해야 한다. 교사들은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중재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은 본 모형을 통해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에 참여할 수 있다. 본 모형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은 학생-학생, 학생-교사 및 학생-전문가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본 모형은 협력학습을 통한 문제해결을 권장한다. 교사는 필요한 경우 학생들을 안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모두 주시해야 한다. 셋째, 제안 모형은 학생들에게 동기부여를 학습 활동초기에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모형에서는 학습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까지 투명하게 볼 수 있어 학생들의 수업단계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과정은 최종단계에서 검증할 수 있다.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 지도 방안 (Teaching Method for Functional Thinking by Situation Posing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 나경수;최성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4호
    • /
    • pp.651-674
    • /
    • 2011
  • 함수적 사고는 학교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이고 함수적 사고 지도의 목적은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할 때 초등학교에서 함수적 사고를 지도한다는 것은 함수적 사고의 속성인 지정과 종속의 연관이 내재된 현상을 의미하는 함수적 사고이다. 함수적 사고를 습득했는지에 대한 평가 방법은 함수적 사고의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함수적 사고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는 학생들의 활동이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함수적 속성을 갖는 타 교과의 내용과 관련된 함수적 상황의 형태의 전형적인 예(paradigm)을 제공하고, 적절한 발문을 통해 안내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 교과와 연결된 상황 설정을 통한 함수적 사고의 지도 방안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보다 발전된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도 방안은 함수적 상황의 준비단계, 적용단계, 반성단계의 3단계로 구성되며, 각 단계에서 지도해야 할 방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고등학교 통합교과형 논술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A Study on Realiti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 강버들;박종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110-11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on realities and teachers' perception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Based upon teachers' perception,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 on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measures to promote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n high school as follows. First, focused on realitie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start from the first grade. Second, focused on objective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and assessment be executed to meet students' demand. Third, focused on content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f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essay examination questions and marking exams and essay examination questions is set within range of high school curriculum, it will contribute to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Fourth, focused on method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teachers have to reconsider active perceptions to take a specialized essay training and to reduce a heavy workload to teachers, to develop guide book for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to consult integrated-subject essay class, to develop specialized essay training program liking universities, to construct a specialized classroom for team teaching and debate class, to reduce students per class etc. are required. Fifth, focused on effects of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integrated-subject essay education be executed for all students and in all subjects.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교수-학습 목표 분석 (An Analysis of the Teaching & Learning Objectives of the Environmen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 구수정;김남례;김미화;권현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4권2호
    • /
    • pp.28-3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teaching & learning objectives of Environmen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the teaching & teaming objectives of three Environment textbooks currently use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omain fram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Report of UNESCO(1980). three Environment textbooks and their teacher's guide books are those printed by three companies(A, B, and C) and Joongahng co.. The five objective categories recommended by UNESCO are awareness, knowledge, attitude, skills and participation and six types of skills by National Curriculum Council of England are communication skills, numeracy skills, study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personal and social skill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kills. It is showed that'Human and Environment'domain is emphasized roughly in the awareness and the knowledge section without any statement of the participation section,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s Counter-plan'domain in the knowledge and the skills section, 'Environmental Conservation'domain in the skills and the participation section of objectives. It is revealed that the skills section of the teaching 8t learning objectives is mainly involved in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s Counter-plan'domain and'Environmental Conservation' domai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Environment Curriculum of the 7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nvironment textbooks regarding objectives stated in the sub-domain level, it says those are generally appropriate ones. But some objectives are emphasized weakly or not at all in several sub-domains such as'The living environment to keep','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earth','Making environment pleasant'. It is proposed that the efforts to state objectives in the Environment textbooks evenly are needed to be paid (or the well-balanced teaching & teaming of the Environment subjec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