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n-Mn mixture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5초

Mn-Zn Ferrite의 소결조건이 미세조직 및 자기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ntering Conditions on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Mn-Zn Ferrite)

  • 홍순형;변수일;권오종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2
    • /
    • 1979
  • The effects of sintering temperature and sintering atmosphere on magnetic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of Mn-Zn ferrites have been studied. Mixture of 52.8mole% $Fe_2O_3$, 26.4mole% MnO, 15.1mole0% ZnO and 5.7mole% NiO was prepared, and 0.1mole% CaO, 0.02mole% $SiO_2$ were added as minor additives. After calcining and ball milling the powder was granulated for compacting. The specimens were sintered at $1, 250^{\circ}$, $1, 300^{\circ}$and 1, 35$0^{\circ}C$ in the various atmosphere of $N_2$, $N^_2\DIV0.6% O_2$, $N_2+2.7% O_2$, $N_2+4.1% O_2$, $N^2+8.2% O_2$ and air for 3 hours and cooled in $N_2$ atmosphere. The grian growth rate and densities increase as sintering temperature and oxygen content of atmosphere increase.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1, 250^{\circ}C$ the initial permeabilities increase as oxygen content of atmosphere increase. At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1, 300^{\circ}$and $1, 350^{\circ}$ the initial permeabilities show maximum values at $N_2+4.1% O_2$ atmosphere. The secondary peaks of initial permeabilities are observed between 100$^{\circ}$and 20$0^{\circ}C$, and the positions of secondary peaks move to higher temperature as oxygen content of atmosphere increases. Q-factors decrease as sintering temperature increases and oxygen content of atmosphere decreases.

  • PDF

종합미량원소비료(綜合微量元素肥料)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 -I. 원료(原料) 및 제품(製品)의 특성(特性) (Development of Micronutrient Fertilizer -I.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and Products)

  • 임동규;성기석;신제성;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8-94
    • /
    • 1981
  • 국내산광물을 주원료(主原料)로 이용(利用), 용융(熔融)으로 종합미량원소비료(綜合微量元素肥料)를 제조(製造)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원광중 붕사(硼砂), 망간광은 단독으로 용융(熔融) 가능(可能)하였다. 2. 용융온도(熔融溫度)를 낮추는 광물로는 붕사(硼砂)의 효과가 가장 컸다. 3. 원료중(原料中) Ca 및 Mg 함량(含量)이 증가 할수록 제품(製品)의 용융온도(熔融溫度)가 높아졌다. 4. 제조시(製造時) 온도(溫度)를 높일수록 Fe, Zn, Mo의 구용성함량(枸溶性含量)은 증가하였으나 B와 Mn은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5. 제품(製品) 제조시(製造時) 성분손실률(成分損失率)은 B>Zn>Mo 순(順)으로 컸다.

  • PDF

물-다이옥산 혼합용매에서 $N_2O_2$계 거대고리 리간드와 전이금속이온과의 착물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lexation of a Nitrogen-Oxygen Donor Macrocyclic Ligand with Transition Metal Ions in Dioxane-Water Mixed Solvent)

  • 조문환;이상철;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03-508
    • /
    • 1987
  • 3,4 : 9,10-dibenzo-1,12-diaza-5,8-dioxacyclotetradecane $(NenOenH_4)$과 전이금속이온$(Cu^{2+},\;Ni^{2+},\;Co^{2+},\;Zn^{2+},\;Mn^{2+})$과의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50%다이옥산-수용액에서 이온강도를 0.1로 하고, 전위차법적정으로 측정한 결과, 전이금속이온과 리간드가 만드는 착물의 안정도상수의 순서는 Williams-Irving서열과 일치한다.

  • PDF

아크롤레인 선택 산화반응에서 Mo-V-O와 금속산화물의 상간협동 (Phase Cooperation Between Mo-V-O and Metal Oxide in Selective Oxidation of Acrolein)

  • 박대원;나석은;김경훈;이원호;정종식
    • 공업화학
    • /
    • 제5권2호
    • /
    • pp.327-336
    • /
    • 1994
  • 본 연구는 아크롤레인의 선택산화반응에서 Mo-V-O와 금속산화물의 기계적 혼합촉매에 대한 synergy 효과를 고찰한 것으로 금속산화물로는 $SnO_2$, ${\alpha}-Sb_2O_4$, $WO_3$, ${\alpha}-Al_2O_3$, CuO, $MnO_2$, $Cu_2O$, MgO, CoO 그리고 ZnO 등을 사용하였다. $SnO_2$${\alpha}-Sb_2O_4$와 Mo-V-O의 혼합물 촉매는 Mo-V-O보다 높은 전화율과 수율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이들이 산소 빈자리에 해리 홉착된 산소를 형성하여 Mo-V-O에 전달하는 상간협동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Cu_2O$, MgO, CuO, $MnO_2$와 Mo-V-O의 혼합물 촉매의 경우 전화율은 증가하였으나 수율은 감소하였고, CoO와 ZnO는 Mo-V-O의 촉매성능을 억제하였다. 각 금속산화물의 역할이 서로 다른 점을 그들의 산화-환원 특성으로 설명하였다.

  • PDF

Utilization of Dietary Nutrients, Retention and Plasma Level of Certain Minerals in Crossbred Dairy Cows as Influenced by Source of Mineral Supplementation

  • Gowda, N.K.S.;Prasad, C.S.;Ashok, L.B.;Ramana, J.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21-227
    • /
    • 2004
  • Nutrient utilization and plasma level of minerals were studied in lactating crossbred cows fed diet supplemented from different source of minerals. Twelve crossbred cows of first to third lactation during their mid stage of lactation were distributed equally under two groups and were fed concentrate mixture, green fodder (para grass) and finger millet straw as per requirement. Cows in group I were fed concentrate mixture supplemented with 1% mineral mixture whereas cows in group II were not supplemented with mineral mixture in the concentrate mixture but were offered additional quantity of green fodder (1 kg DM/cow/day) to compensate for the requirement of minerals. Balance study conducted towards the end of 120 days of feeding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total dry matter intake in both the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cows in group II offered additional quantity of green fodder consumed significantly (p<0.05) more of green fodder (5.11 vs. 4.51 kg /animal/day) and the cows in group I consumed significantly (p<0.01) more of finger millet straw (1.71 vs. 0.92 kg/animal/day). The digestibility of major nutrients did not differ between the groups except for ether extract which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ows fed additional green fodder. The total daily intake of P, Cu, Fe and C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both the groups whereas significantly higher intakes of Ca, Mg, Zn and Mn were observed in cows supplemented with inorganic source of minerals. However, supplementation through both the sources could meet the mineral requirement in group I and group II. The gut absorption (%) of all the minerals was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except for Mg which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ws supplemented mineral mixture. The net retention of all the minerals was significantly more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inorganic source of minerals. Except for P, Mg and Co the retention as percentage of total intake was comparable for all minerals in both the groups. Irrespective of source of mineral supplementation the average monthly blood plasma mineral levels (Ca, P, Mg, Cu, Zn, Fe)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and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Lower level of Cu observed at the start of the experimental feeding in both the groups increased with the advancement of supplemental feeding. The plasma Zn and Fe content in cows of both the groups did not vary. The blood plasma level of some minerals (Ca, P, Mg and Cu) was significantly higher towards the end of experimental feeding as compared to the initial values due to the reduction in milk yield with advancement of lactation or due to supplemental effect of minerals. It could be concluded that supplementation of minerals through inorganic source is better utilized in terms of retention as compared to green fodder (para grass), which is a moderate source of most nutrients.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 평가 (The Evaluation of Trace Minerals Levels of Pasture Soils and Forages in Jeju)

  • 이종언;박명희;박남건;박형수;오운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36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 자원의 미량광물질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주지역 98 목장에서 187 토양시료(농암갈색 76, 흑색 111) 및 말 농가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탈리안라이그라스 건초, 혼합목초 건초, 수입 알팔파 건초 각 60시료를 채취해서 분석했다. 토양시료는 화학특성(pH,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 함량)과 미량광물질(Cu, Fe, Cd, Zn, Mo, Se, Mn, Cr, Co, Ni) 총 함량 및 가용성 함량이 분석되었고, 조사료 시료는 미량광물질 총 함량이 분석되었다. 토양의 pH는 전체적으로 산성을 띄고 있었다(pH 5.1). 목장 토양 유효인산은 20.5 mg/kg, 치환성 Ca, Mg, K, Na은 각각 2.6, 0.9, 0.5, 0.2 cmol+/kg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목장 토양 미량광물질 중 총 함량이나 가용성 함량 모두에서 검출되지 않은 원소는 없었다. 토양 미량광물질 총 함량에 비해 가용성 함량은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토양 미량광물질 중 Fe 총 함량이 가장 높고, Mn, Ni, Zn 총 함량도 다소 높게 나타났다. 부분적으로 토양 무기물 간 상관이 높았다. 조사료 자원에서 Cr은 검출되지 않았다. 기타 미량광물질 함량은 수입 알팔파 건초와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 모두 일반적인 범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제주지역에서 생산된 건초가 수입 알팔파 건초보다 Mn 함량(105 vs 23 mg/kg)은 높고 Mo 함량(2.7 vs 4.9 mg/kg)은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 목장 토양은 대부분 산성을 나타내고 양분 함량도 낮게 나타나고 있다. 제주지역 목장 토양 및 조사료에서 특정 미량광물질이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가축에게 미량광물질 첨가제의 보충급여는 사양형태나 사료 미량광물질의 함량 및 이용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사람의 백혈구 내에 있는 Elestase: 순수부리, 금속이온의 화학량, 그리고 Chelating 효과에 의한 활성도 조절 (Human Neutrophil Elastase: Rapid Purification, Metal binding Stoichiometry and Modulation of the Activity by Chelating Agents)

  • 강구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123
    • /
    • 1988
  • 사람의 혈액으로부터 Elastase를 분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여 순도 높은 효소를 얻고 이 효소에 의하여 발생되어지는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응용하기 위하여 이 효소의 근본적인 성질규명을 시도하였다. 정제 방법으로는 Sephodex G-75를 이용한 1회의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와 HPLC을 이용한 2회의 코마토그라피를 거치는 2단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때 얻어진 효소는 분자량이 $26,000{\sim}29,700$ 사이에 있는 3개의 다른 분자량을 가진 물질로 확인되었으며, 항체 반응에서 사람의 결구내 Elastase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함유하고 있는 미량의 금속이온을 분석한 결과 정제하는 단계에 따라 Zn 이온의 효소분자에 대한비는 증가하였으며 가장 순수한 분자내의 효소분자와 Zn 이온과의 비는 1 : 2였다. 이 효소는 chelating agent에 의하여 활성도를 잃게 되었으며, 반대로 chelating agents에 의하여 활성도를 잃고 있는 반응 medium에 그 chelaing agents의 농도를 초과하는 2가 이온 즉 Zn 이온, Ca 이온, 그리고 Mn 이온을 넣으면 그 활성도는 원상복귀되나 Mg이온에 의하여는 그 활성도가 원상회복 되지 않았다. 이 모든 성질을 종합하면 사람의 Neutrophil granule에 있는 Elastase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Serine pretense임과 동시에 metalloenzyme으로 제고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나아가서chelating agents에 의하여 이 효소의 활성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은 이 효소에 의하여 일어나는 질병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보여준다.

  • PDF

해양세균 Streptomyces sp. M3로 부터 얻은 재조합 polyG-specific ly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PolyG-Specific Lyase from a Marine Bacterium, Streptomyces sp. M3)

  • 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1582-1588
    • /
    • 2010
  • 전 연구에서 해양세균 Streptomyces sp. M3의 새로운 alginate 분해효소를 signal peptide가 제거된 상태로 클로닝하고 E. coli BL21 (DE3) 균에 형질전환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할 때 IPTG를 첨가하여 M3 alginate 분해효소 단백질을 과발현시키고 Ni-Sepharose 친화력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생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기질특이성을 시험하기 위한 235 nm에서의 흡광도와 TLC 분석 결과로부터 M3 alginate 분해효소가 polyG block에 기질특이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M3 분해효소를 기질과 10분 동안 반응시켰을 때, 최적 pH 및 최적온도는 pH 9 및 $60^{\circ}C$이었다. 1 mM $Ca^{++}$$Mn^{++}$은 alginate 분해활성을 2배 증가시킨 반면 $Hg^{++}$$Zn^{++}$는 분해활성을 완전히 저해하였다. $Mg^{++}$, $Co^{++}$, $Na^+$, $K^+$, 및 $Ba^{++}$은 M3 alginate 분해효소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세라믹 축전물질들의 미량성분 분석방법 (Analytical method of trace elements in ceramic capacitor materials)

  • 최종금;김태현;임흥빈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35-42
    • /
    • 1997
  • Barium titanate 및 PZT와 같은 세라믹 축전물질의 분석을 위해 고압 산분해법을 이용한 시료 전처리 기술을 연구하였다. 질산이나 증류수를 첨가하고 염산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이들 시료의 정량분석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방출분광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Ba, Mn, Zn, Si 등 대부분의 원소들은 염산의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Nb와 Zr은 이에 민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분해시간은 상대적으로 분석 결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Nb의 경우에는 가장 좋은 분석 결과를 얻기 위해 염산과 증류수의 비가 3:1(v / v) 보다는 더 진해야 함을 알았다. 또한 Pb의 분석에 있어서 염산과 질산의 혼산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붉은 염산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 더 좋은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Study on minerals status of dairy cows and their supplementation through area specific mineral mixture in the state of Jharkhand

  • Bhanderi, B.M.;Goswami, Ajay;Garg, M.R.;Samanta, Saikat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8권12호
    • /
    • pp.42.1-42.8
    • /
    • 2016
  • Background: Deficiency of macro and micro-minerals in the ration of dairy cows adversely affects growth, milk production and reproduction efficiency. It is essential to examine mineral concentrations in feeds offered to dairy cows in practical farms. Methods: Two villages from each taluka were selected at random for taking representative samples of feeds, forages and hair. Within the village, help was sought from village milk producers and district animal husbandry officer for identification of 4 to 5 farmers and collection of representative samples. All the samples were processed and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s well as major macro and micro-minerals,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Results: Ca content in wheat straw (0.29%), crushed maize (0.02%) and wheat bran (0.12%) was found to be below the critical level (0.30%). The P content in concentrate ingredients was high (0.26-0.96%), but low in dry roughages (0.06-0.12%). Cereal straws (0.14%) and grains (0.12%) were deficient in Mg. Feeds and forages were found to be adequate in K (1.50%). Cereals straws were found to be deficient in S (0.11%). Greens were good source of Cu (12.02 ppm). Wheat straw was found to be low in Zn (18 ppm), but high in Mn (225 ppm) and Fe (509 ppm). Local grasses and azolla green were found to be rich source of Co (>1.00 ppm). Se (0.63 ppm) was present in appreciable quantities in most of the feedstuffs. Conclusions: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apparent that the feeds and forages available in the state of Jharkhand may not meet the requirements for Ca, P, Mg, Cu, Zn and Co in order to sustain a milk production of ~10 kg/da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se deficient minerals through area specific mineral mixture in the ration of dairy cows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production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