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score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5초

Local-food-based complementary feeding for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ges 6-36 months in rural areas of Indonesia

  • Susanto, Tantut;Syahrul, Syahrul;Sulistyorini, Lantin;Rondhianto, Rondhianto;Yudisianto, Alfi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0호
    • /
    • pp.320-32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 pilot project of the Nursing Feeding Center "Posyandu Plus" (NFCPP) through local food-based complementary feeding (LFCF) program designed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aged 6-36 month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Indonesia. Methods: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109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from 6 rural areas. The NFCPP was conducted for 9 weeks, comprising 2 weeks of preintervention, 6 weeks of intervention, and one week of postintervention. The LFCF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sets of recipes to be made by mothers and given to their children 4 times daily over 6 weeks. The weight-for-age z score (WAZ), height-for-age z score (HAZ), weight-for-height z score (WHZ), and body mass index-for-age z score (BAZ) were calculated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Anthro Plus version 1.0.3. Results: LFCF interv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HZ, WAZ, and BAZ scores but decreased HAZ scores (P<0.001). Average scores of WHZ ($0.96{\pm}0.97$) and WAZ ($0.45{\pm}0.72$) increased; BAZ increased ($1.12{\pm}0.93$) after 6 weeks of LFCF. WAZ scores postintervention were 50.5% of normal, and WHZ scores were 77.1% of normal. However, the HAZ score decreased by $0.53{\pm}0.52$, which indicated 57.8% had short stature. Conclusion: The NFCPP program with LFCF intervention can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in rural areas. It should be implemented as a sustained program for better provision of complementary feeding during the period of lactation using local food made available at community health centers.

미숙아의 성장과 관련 요인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the growth of preterm infants)

  • 전지수;서원희;정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5호
    • /
    • pp.572-586
    • /
    • 2022
  • 본 연구는 미숙아의 체중을 추적 조사하여 성장곡선 체중 z-score 값으로 성장 상태를 확인하고 관련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이다. 출생 체중, 재태연령, 출생 시 NICU에서의 의료적 처치 (CPR, 산소치료, 위장관 삽관), NICU 입원 기간 및 퇴원연령, 수유 문제, 일일 추정 수유량이 체중 성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출생 체중과 연령이 적은 그룹이 유의하게 초기 성장 정도가 더 낮았으나 교정연령 3개월 이후부터 12개월까지의 체중에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연령-체중 z-score가 평균 이하인 그룹이 출생 체중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보아 장기적인 성장에 출생체중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NICU에서 의료적 처치를 받고 NICU 입원 기간이 긴 경우 성장곡선의 50 백분율 이하로 성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퇴원 후 2개월간 수유과정 중 문제가 없으며 더 많은 양을 섭취한 그룹이 성장곡선에서 더 상위에 있었으며 더 잘 자랐다. 또한 NICU 퇴원 후 가정에서 자녀가 초기보다 하향 성장을 하고 있을 때, 외부의 도움 및 커뮤니티 케어를 필요로 하므로 미숙아 성장 지원을 위하여 커뮤니티 케어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숙아의 출생 체중 및 연령, NICU에서의 처치는 초기의 체중 성장에 영향을 끼치며, 재태연령 40주 이후의 성장 증진과 성장지연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올바른 섭취를 통한 원활한 영양공급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미숙아 성장 추적은 NICU 퇴원 후에도 지속되어야 하며 성장 증진 관련 변수, 특히 영양 지원에 적극적인 개입과 지지가 필요하다.

Z-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과 조영전후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의 뇌관류 양상의 비교 관찰

  • 최순섭;오종영;남경진;이영일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71-171
    • /
    • 2001
  • 목적: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Z-score를 이용한 관류 영상과 조영전후의 감산에 의한 역동 영상의 관류 양상을 비교 관찰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젊은 환자 1명, Moya moya 환자 1, 중대뇌동맥 폐색 환자 1명, 외상후 증후군 1명, 뇌종양 1예를 대상으로 하여, 뇌의 routine 자기공명 영상과 함께 Gd-DTPA 0.1 mmol/kg를 급속 주사 후 자화율 대조 EPI 영상을 얻었다. 영상 기기는 Magnetom Vision(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이며, EPI 영상 지표들은 TR/TE는 0.8/29 msec, slice 두께 6 mm, slice 수 10, 화소수 128 $\times$ 128, FOV 215 $\times$ 215 mm, 영상획득 1 회, 1회 검사시간 1.32 초, 검사수 30 회로서, 총 검사시간은 40 초였다. 검사 후 영상처리(post processing)는 Magnetom Vision의 VB31D 자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2-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은 조영제 유입전 영상들, 조영제 최대 유입기 영상들, 그리고 조영제 배출기 영상들 4-5 회를 각각 한 군으로 하여, Z-score 1.2에서 2.0 사이에서 여러번 반복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은 조영제 도달 전의 영상으로부터 조영제 유입 후의 영상을 차례로 빼어서 영상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들 영상을 재정리하여 각 단면의 시간 경과에 따른 관류 양상을 연속하여 관찰하였다 두 방법에 의한 영상 재구성은 각각 약 1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 PDF

성폭력 피해 청소년을 위한 바이오피드백 병행 Gross 모델기반 단기 정서조절 간호중재 효과 (The Effects of the Combined Biofeedback and Brief Emotion Regulation Nursing Intervention Based on the Gross Model for Sexually Abused Adolescents)

  • 김지은;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08-62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mbined biofeedback and brief emotion regulation (C-BABER) program for sexually abused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26 sexually abused adolescents from eight Sunflower Centers of South Korea-with 1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3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four sessions of the individual C-BABER program, each lasting 60 minute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xually abused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in traumatic symptoms, including depression (Z = - 2.24, p = .025), dissociation (Z = - 2.21, p = .027), anxiety (Z = - 2.02, p = .044), and posttraumatic stress (Z = - 2.01 p = .045); and impulsivity, including positive urgency (Z = - 3.35, p = .001) and negative urgency (Z = - 2.28, p = .023).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in meta-mood, including emotional attention (Z = - 2.45, p = .014), emotional clarity (Z = - 2.30, p = .021), and emotional repair (Z = - 2.28, p = .022); and emotional regulation modes, including emotional suppression (Z = - 2.65, p = .008) and cognitive reappraisal (Z = - 1.98, p = .047). Regarding bio-atten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identified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bio-attention rate and attention maintenance time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p = .001). Conclusion: The C-BABER program for sexually abused adolescents is effective in decreasing traumatic symptoms and impulsivity, and in improving meta-mood, emotional regulation mode, and bio-attention. Therefore, we recommend providing sexually abused adolescents the C-BABER program to help them regulate their emotions and effectively adapt to their lives.

목이버섯 섭취가 복부비만 여성의 골밀도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on Blood Lipids Profile and Bone Density of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 한정순;김재근;김애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75-1080
    • /
    • 2012
  • 본 연구는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비만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식품소재로 목이버섯을 선정하여 복부 비만이 있는 중년 여성의 골밀도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30~50대의 복부비만 여성 30명에게 4주 동안 대조군은 목이버섯을 섭취시키지 않았고, 실험군은 목이버섯을 식사와 함께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험 전 후 골밀도(T-score, Z-score),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목이버섯 섭취군과 대조군 간에 T-score와 Z-score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이버섯 섭취군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농약 이화학시험 분석기관의 숙련도시험을 통한 정도관리체계 확립 연구 (Establishment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Analytical Laboratory of Pesticide Products by Proficiency Testing)

  • 장희라;박효경;임영주;김광호;김찬섭;김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0-356
    • /
    • 2012
  • 숙련도시험 수행 및 분석법확립은 분석기관의 지속적인 시험결과에 대한 신뢰성 확보 및 시험기관의 분석능력 관리를 위한 정도관리 체계에 포함되는 항목이다. Emamectin benzoate 및 lufenuron 유제 시료에 대한 분석법 검증, 안정성 및 균질성을 확인한 후, 농약 이화학시험 분석기관(33개 기관)을 대상으로 두 약제에 대한 시료를 배포하여 숙련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분석기관의 수행능력을 z값으로 평가하였다. Emamectin benzoate는 참여기관 총 33개 중 이상값은 2개 기관(6.0%), z값이 |Z| > 3.0 및 |Z| < -3.0 범위을 나타내는 부적합은 2개 기관(6.0%) 및 z값이 -2.0 < |Z| -3.0 및 2.0 < |Z| < 3.0 범위인 검토대상은 3기관(9.0%)이었고, lufenuron에 대한 z값의 범위가 검토대상인 기관은 3개(9.0%)였다. 본 연구는 국내 농약 이화학시험 분석기관에 적합한 정도관리 체계 마련을 위하여 숙련도 시험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다양한 농약제품에 대한 숙련도시험을 수행하여 보완이 필요하다.

이중에너지 X-ray 흡수법을 적용한 근위 대퇴골 및 요추부 골밀도 검사의 상관관계 분석 (The Correlation Analysis of BMD in Proximal Femur and Spine with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한만석;조동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65-16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외래환자의 골밀도 검사를 통해 대퇴골 및 요추부에서 정확한 검사를 얻을 수 없을 경우 두 부위간의 골밀도 검사 수치간의 상관관계를 밝혀 검사 결과를 유추하는 데 목적이 있다. C대학교 부속병원을 내원한 환자 62명을 그룹1(40세 미만, 21명), 그룹2(40세 이상~60세 미만, 21명), 그룹3(60세 이상, 20명)으로 세 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의 T-score와 Z-score를 조사하여 평균값과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두 부위의 검사 수치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연령이 높아질수록 T-score가 낮아지고 있고 60세이상 고령자의 경우 골 감소증이 발생하였다. 둘째, 세 그룹으로 비교를 통해 골밀도 검사에서 대퇴골과 요추부 두 부분에 대한 Z-score와 T-score의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골밀도값의 결과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관관계를 통해 어느 한 부위의 결과로서 다른 부위의 결과를 유추할 수 있는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골다공증 환자의 처치 및 예후를 결정할 수 있는 보조적인 인자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증후군 환아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Alendronate의 치료 효과 (Therapeutic Efficacy of Alendronate for Glucocorticoid Induced Metabolic Bone Disease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 이지은;이현옥;백경훈;이숙향;진동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1호
    • /
    • pp.33-42
    • /
    • 2004
  • 목 적 :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장기투여에 따른 대사성 골질환은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저자들은 성인에서의 스테로이드 유발성 골다공증 치료에 유효한 bisphosphonate(alendronate)를 투여하여 소아 신증후군에서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 대한 치료효과에 대해 전향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신증후군 이환 기간이 2년된 5-8세의 환자 58명에게 DEXA로 골밀도를 측정하여 요추 골밀도가 Z-score -1 이하인 환아 30명(51.7%)을 대상으로 선정한 후 이들을 alendronate 주 1회 투여군, calcitriol 투여군, 약제 비투여군등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1년간 연구하였다. 치료 6개월, 1년에 요추 L1-L4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치료 전과 치료 1년 후 생화학적 검사를 측정하였다. 각 군간 평균 연령, 기저 요추 골밀도, 스테로이드 축적량, 골밀도% 변화율, 요추 골밀도 Z-score를 측정 분석하였다. 결 과 : 총 30명 환자에서 기본 요추 골밀도 측정시 환아의 나이는 $7.4{\pm}1.7$세였고 신증후군 이환기간은 $2.2{\pm}1.2$년이었다. Z-score로 진단된 골밀도 감소증은 23명(76.7%), 골다공증은 7명(23.3%)이었다. 각 생화학적 변수들은 치료 전후로 차이가 없었으며, 군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빈번 재발형 신증후군과 스테로이드 의존형 신증후군은 22명(73.3%)으로 드문 재발형 신증후군 8명(26.6%)에 비해 대사성 골질환의 빈도가 높았다. 골밀도 변화율은 alendronate 군에서 치료 1년에 8.56%였고, calcitriol군은 5.79% 증가를 보였으며, 비투여군은 1.9%증가를 보였다. Z-socre 변화는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에서만 호전되었고, 비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골밀도 증가율은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0002), alendronate 군과 비투여군, calcitriol 군과 비투여군 간에 있었고(P<0.05), alendronate 군과 calcitriol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lendronate 투여시 약복용을 중단할 만큼의 심각한 부작용은 발현되지 않았다. 결 론 : 소아 신증후군 환자에서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투여해야 하는 경우 대사성 골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정기적인 골밀도 측정이 필요하며, 그 평가 도구로는 요추 골밀도 Z-score가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증후군 환아의 스테로이드 유발 대사성 골질환에서 alendronate 주 1회 경구투여는 요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치료법이었다.

  • PDF

Importance of pulmonary valve morphology for pulmonary valve preservation in tetralogy of Fallot surgery: comparison of the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 Choi, Su Jin;Kwon, Jung Eun;Roh, Da Eun;Hyun, Myung Chul;Jung, Han Na;Lee, Young Ok;Cho, Joon Yong;Kim, Yeo Hya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5호
    • /
    • pp.189-194
    • /
    • 2020
  • Background: The decision to use transannular patching (TAP) during tetralogy of Fallot (TOF) repair depends on the pulmonary valve annulus size; the z score of the pulmonary annulus is the most commonly used predictor. However, definitive results are not obtained with z scores as different z score data sets are used for different parameters.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chocardiographic and other key factors that warranted a change in the surgical method during TOF surgery. Methods: Sixty-two patients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a pulmonary valve (PV) preservation group and a TAP group. Their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sults: The z score for PV annulus (PVA), ratio of the PVA to aortic annulus size, and ratio of PVA to descending aorta (DAO) siz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V preservation and TAP groups (-1.72±1.52 vs. -3.07±1.94, P=0.004; 0.62±0.12 vs. 0.50±0.14, P=0.002; and 1.32±0.32 vs. 1.07±0.36, P=0.008, respectively). For TAP repair, the PVA z score had a sensitivity of 65.4% and specificity of 73.1%, ratio of PVA to aortic annulus size had a sensitivity of 73.1% and specificity of 65.4%, and ratio of PVA to DAO size had a sensitivity of 69.2% and specificity of 57.7%. The TAP group showed more monocuspid PVs (P=0.011), while the PV preservation group showed more tricuspid PVs (P=0.027). Commissurotomy was more frequently performed in the PV preservation group than in the TAP group (P=0.001). Of patients with commissurotomy, 58% showed a PV z score<-2. Conclusion: Although various echocardiographic parameters may serve as predictors for determining surgical methods for TOF patients, the PV morphology and tissue characteristic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e Cyclosporine-A Treatment does not have Harmful Effect on the Linear Growth of Pediatric Patients with Steroid-dependent and Steroid-resistant Nephrotic Syndrome

  • Lee, Sang Soo;Kim, Ji Hoon;Kim, Chung Ho;Cho, Byoung-Soo;Kim, Deog Yoon;Hong, Il Ki;Suh, Jin-So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2호
    • /
    • pp.45-4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yclosporine-A (CsA) on linear growth in pediatric patients with steroid-dependent (SDNS) or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Methods: Thirty-five pediatric patients with SDNS or SRNS undergoing glucocorticoid (GC) and/or CsA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even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GC alone and 18 were treated with GC and CsA. The cumulative doses of GC and CsA were quantified (mg/kg/day). Linear growth during 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Z-score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height according to the follow-up period (${\Delta}$ height Z score/year). The associations between linear growth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The linear growth of patients i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262). The ${\Delta}$ height Z score/yea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umulative doses of CsA,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umulative dose of GC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Z score for height at the time of diagnosis. Conclusion: In children with SDNS or SRNS undergoing GC therapy, added CsA treatment may not have harmful effects on linear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