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ngbok(戎服)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영조대(英祖代) 대사례의(大射禮儀) 참여자의 복식 유형 고증 (A Study on the Daesarye Ceremony Participants' Dress Style in the Yeong-Jo Era)

  • 이은주;박가영
    • 복식
    • /
    • 제57권2호
    • /
    • pp.100-114
    • /
    • 2007
  • This study reports the dress style of Daesarye ceremony participants in the Yeong-Jo Era. The King Yeong-jo attending the archery practice ceremony wears Ikseonkwan(翼善冠), Golryongpo(袞龍袍), Okdae(玉帶), and Heukpihwa(黑皮靴) while royal family members and officers in the ceremony wear Heukdalryeong(黑團領). Each officer in Sangbok(常服) who shoots arrows wears a ring and a wristlet with an archery case on his waist. King's bodyguards wear Yungbok(戎服) or Sangbok(常服). Especially, Muyaebyeolgam(武藝別監) wears Hong-geon(紅巾) and a green Jikryeong(直領). Yujiang-gun(儀位軍) wear Pirip(皮笠) and Hongjuryi(紅紬衣) while Hyeopryeongun(狹輦軍) and Hyeopryeogun(狹輦軍) wear Hong-geon(紅巾), Hongyui((紅衣), Cheonghaengjeon(靑行纏), Hakchang(鶴雲), Hongmokdae(紅木帶), and Unhye(雲鞋). Gyeonmabae(牽馬陪) wear Hwangchorip(黃草笠) and Hwangyui(黃衣). Seupjeongun(拾箭軍) and Hwaekja(獲子) wear Jageon(紫巾), Jayui(紫衣), and Unhye(雲鞋). Jeonak(典樂) wears Mora- bokdu and Noksayui(綠抄衣), while Ak-kong(樂工) wear Hwahwabokdu, Hongjuyui(紅紬衣), Ojeongdae, and Heukpihwa(黑皮靴). Lastly, Hyeopryulrang(協律郎) wears Heukdalryeong(黑團領).

조선 숙종조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상급 관원복식 (High Government Officials' Costumes as Illustrated in Tamna Sullyeokdo at the Era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 장현주;이주영
    • 복식
    • /
    • 제57권3호
    • /
    • pp.108-12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stumes worn by high government officials which are illustrated in Tamna Sullyeokdo at the era of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ellows: 1. Tamna Sullyeokdo showed that Moksa wore an simplified version of Jobok at a congratulatory ceremony. They wore Sibok at such events as examinations, Yeonhyang or Jinsang. Particularly at Yeonhyang, Samo was decorated with some red flowers. The officials wore Yungbok when they were participated in military training, hunting or arrow shooting competitions. They wore Pyeonbok when they go on a trip 2. Pangwan wore Sibok when they took an examination. They wore Yungbok during military training while they wore Pyeonbok during Tamseung. 3. Hyeongam wore Sangbok at a congratulatory ceremony. When they take part in military training, examinations, Yeonhyang or Jinsang, those officials wore Sibok. They also wore Yungbok during military training, Yeonhyang or Jinsang. They wore Jurip decorated with some red flowers during Yeonhyang. And they wore Pyeonbok when they were inspecting military training of Seongjeonggun. 4. Gungwan wore Yungbok at every events. They wore Jurip decorated with Hosu and Jeonrip on their head, and wore Cheolrik during military drills, arrow shooting competitions, examinations, Jinsang, or Tamseung. They wore Jeonip decored with red flowers during Yeonhyang. During regular military trainings, those officials wore Jeonrip decorated with Sangmo on their head and wore Cheolrik and Jeonbok. During Tamseung, they wore Jeonrip decorated with Sangmo on their head and wore Jeonbok with Jungchimak or a set of Jeogori and Baji.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 관직자 복식 고증 (Features of the Costumes of Officials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

  • 이은주;김영선;이경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2호
    • /
    • pp.78-97
    • /
    • 2021
  • 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 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장대 안팎에서 왕 가까이에 위치한 관직자는 모두 34명인데 당상관 27명, 당하관 7명이었다. 34명 관직자의 복식 유형은 모두 3종으로 갑주·융복·군복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갑주 착용자 12명은 모두 당상관이었고, 융복 착용자 5명은 당상관이었으며, 군복 착용자는 당상관 11명과 당하관 6명이었다. 둘째, 갑주의 형태 고증은 말 타기에 적합한 여반 장군의 갑옷 유물과 『무예도보통지』의 갑주 그림을 참조하고, 착용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갑옷의 구성품을 정하였다. 갑주의 구성품은 투구, 갑의, 갑상, 호항, 호액, 비갑에 골미를 추가하였다. 갑주 색상은 <서장대야조도> 갑주에서 가장 표현 빈도가 높은 홍색과 녹색으로 고증하였다. 셋째, 당상 융복의 구성은 호수를 장식한 주립, 남색 철릭, 홍색 광다회, 정,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넷째, 군복 구성은 안을 올린 전립, 동다리, 전복, 요대, 전대,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군복에서 당상과 당하의 직물차이는 문양의 유무에 있었는데 당상관은 운보문 직물을, 당하관은 문양이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당상관은 장식품의 세부 재료에서 옥과 금, 은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무기는 시복, 환도, 등편, 비구와 깍지 등을 갖추었다. 정조대 기록에는 다양한 색의 협수가 보이므로 당상관과 당하관의 동다리와 전복 색상은 다양한 배색으로 고증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식의 시각화 자료로 제시하였다. <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시대와 신분에 따른 형태·색상·재질의 견본, 각 복식과 지물을 패용한 앞·옆·뒤 모습을 제시하고 색상은 RGB와 CMYK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