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an dynasty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4초

고고관(姑姑冠)에 관한 연구 - "집사(集史)"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o-go-kwan(姑姑冠) -With a Special Reference to "Jip-sa(集史)"-)

  • 김미자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105-115
    • /
    • 2008
  • A Go-go-kwan is a particular hat which has worn by married woman in Mongol and Yuan dynasty in China. It is also widely called as a Boktak in Mongol. The Go-go-kwan, recorded in jip-sa and in the miniature painting of 14th century is the early type of go-go-kwan. Later type can be seen from the relic collections of Gyeonggi Provincial Museum in Korea. The Go-go-kwan is composed with three parts ; feather part, tube part and hat part. Among the feathers, the largest one is as long as four times of the length of the tube and the shortest one is half the length of the tube. The tube is made of light weight wood such as white birch or bamboo, and covered with silk. Some of the hats were made exactly to fit on the head whereas others were designed to wear on the head as like jobawi.

"소문현기원병식(素問玄機原病式)"에 기재된 중풍(中風)의 화열(火熱) 병인론(病因論)에 대한 저체온요법을 통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f HwaYul(火熱) theory on the "SoMunHyunKiWonByungSik(素問玄機原病式)")

  • 최성훈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3-59
    • /
    • 2007
  • In Oriental medicine, different suggestions regarding how cerebrovascular accident(CVA) may develop have been offered by several physicians. In Jin(金)Yuan(元) dynasty, Liu Wan Su(劉完素) asserted that CVA was not developed by external PungSa(風邪) but internal HwaYul, which was noted in the "SoMunHyunKiWonByungSik". To verify experimentally Liu's HwaYul theory in rats, normothermic control group (37$^{circ}C$) and hypothermic test group (32$^{circ}C$) were subjected to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of 1hour. In 7days after MCAO, the rats were sacrified and the volume of infarct and the size of edema were measured. The present finding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ophysiology as to the CVA which is related to the HwaYul theory.

  • PDF

A Study of Design in Rank Badges for Old Chinese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 Park, Kyoung-Sook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Costume Conference
    • /
    • pp.34-34
    • /
    • 2003
  • This report is a study of designs embroidered in rank badges of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uniform in old China. Rank badges, or Bo(補) in Chinese, which are attached to officials' uniform, are embroidered designs on the breast and the back for people to easily discern between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as well as between higher ranking and lower ranking officials. Bo(補) was used for various social stratum including king, queen, king's brothers, prince, and princess. This study, however, is focused on design of Bo(補) attached to the uniform of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This study first started with the origin of Bo(補) design, woven symbols in patches on the breast and the back of Gibsa(集史)'s uniform during the Yuan(元) dynasty. Lastly,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design of Bo(補) for military and civil officials during the Ming(明) and Qing(淸) dynasties.

  • PDF

해경세초해 개관 (Introduction to the Concepts of the Problems in the Sea Mirror)

  • 유인영;고승준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05
  • 하늘을 원으로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원시대의 리치에 의해서 리유와 함께 새로운 네 가지의 법칙으로는 풀지 못하였다. 조선 시대의 남병철은 해경에서의 원측정 문제와 그의 동생인 남병길에 의해서 서문에 쓰여졌다. 이 논문에서는 해경에서의 문제의 개념과 그것의 세 가지 문제를 소개할 것이다.

  • PDF

Study of Cursive Calligraphy of wu zhen(吳鎮)'s Ink bambooo Collection

  • Deng, Zhuoren;Lee, Jae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69-7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mmarize the cursive script of traditional calligraphy and develop further possibilities based on the study of the painting and postscript of Ink bambooo, which was painted by wu zhen(吳鎮) during the Yuan Dynasty. The second section in this paper provides a summary of wu zhen(吳鎮)'s life, in addition to "Ink bambooo" and its painting postscript. The third and fourth sections are focused on analyzing the cursive script in the painting postscript of Ink bambooo, including the left-and-right structure, head prefix symbols, and bottom prefix symbols. The aim of this paper is the study of cursive script, and the theories and methods of the characters proposed by Dr. Cai Yonggui (from Fujian Normal University) and Dr. Liu Dongqin (from Southeast University) will be used to provide a summary. The presen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is designed to develop further possibilities for this type of traditional calligraphy.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에 드러난 혜강(?康)의 은일관(隱逸觀) (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hermit of Ji-kang's letter to Shan Ju-yuan in breaking off relations)

  • 이진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25호
    • /
    • pp.355-379
    • /
    • 2009
  • 현재까지 전해지는 사서(史書)의 평가와 연구 성과에 따르면, 혜강은 위진(魏晋)시기에 한 획을 그은 걸출한 학자이다. 다만 현재 몇몇 연구자들은 혜강이 현실에서 벗어나 사회제도를 부정한 피세주의자로 평가한다. 논자는 바로 이러한 관점이 혜강의 철학을 이해하는 올바른 이해방식인가에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이 다루고자 하는 것은 혜강이 꿈꾸었던 이상과 현실적 삶의 모습이고, 논의는 그가 산도(山濤)에게 보낸 절교서인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를 중심으로 전개한다. 이를 통해 혜강이 현실사회에 대한 기본적 반응 양식, 혼란한 현실에 대한 반성 및 새로운 이상으로의 전환이라는 구도를 통해 그가 추구하고자 했던 인생의 궁극적인 이상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여산거원절교서(與山居源絶交書)"에 드러난 혜강의 인생이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혜강은 본래 소극적이며 직접적인 현실참여를 꿈꾸었지만, 현실에서의 실현불가능을 직시하고 '은일(隱逸)'이라는 새로운 인생이상을 모색한다. 둘째, 중국의 전통적 은일관(隱逸觀)에 따르자면, 혜강은 유도(儒道)은일관에 대한 양가적 입장에서 도가(道家)은일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혜강은 소극적이고 피세적 방식으로 현실의 갖가지 문제에 접근했지, 결코 현실을 저버린 이상주의자는 아니다. 이와 같은 현실사회에 대한 이해와 인생이상은 그의 철학체계에 일관되게 적용되는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斑布)의 의미와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s of Banpo [斑布] during the Joseon Dynasty)

  • 이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64-183
    • /
    • 2020
  • 조선시대 직물 문화에 있어, 반포의 역사는 단편적이며 공백이 많다. 문헌 기록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지만, 현재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점도 크다. 반포는 무명의 한 종류이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직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반포는 얼룩이나 반점을 의미하는 반(斑)자와 직물을 의미하는 포(布)자가 결합한 단어이다. 백색 담론의 경계에서 반포는 연구 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반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 문화의 일부를 복원하는 시도이다. 반포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의 직물 문화와 교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반포의 기록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포의 기록은 조선 초기 세조, 성종 때 보이며, 반포의 제작과 실제 사용이 확인된다. 반포는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반포는 오색으로 면실을 물들여 짜는 사염 직조물로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출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반포와 유사한 형식으로 호, 섬, 침 등의 직물이 있다. 특히 반포와 호의 상관관계는 조선시대 반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둘째, 중국·일본의 문헌 기록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반포의 의미 변화와 전개를 조명하였다. 반포의 등장과 발전은 동아시아에 면화가 도입되는 시기와 맞물려 움직인다. 동아시아에서 면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생산되는 시기인 송말원초 시기에 반포의 의미는 다변화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를 기점으로 반포의 명칭이 화포, 기자포, 기자화포 등으로 바뀐다. 일본은 면의 도입이 늦은 만큼 변화된 의미가 수용되었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반포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같은 형식의 류조 직물이 확인된다. 이 류조는 호, 화포와 같은 개념으로 후대에는 호로 통합된다. 호, 화포, 반포 등과 같은 명칭은 나라마다 쓰임이 다를 뿐 동아시아에서 사염 직조물이라는 형식은 공유되었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반포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격자와 줄무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최근까지 전승되었지만 단절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반포의 복원과 전승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성리학(性理學)과 산수화(山水畵)의 발전에 관한 연구 - 송대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the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ainting in Song Dynasty)

  • 장완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309-336
    • /
    • 2011
  • 본 연구는 성리학과 문화예술이 밀접한 관계에 있다는 데에서 출발하며, 특히 송대에 흥성한 산수화의 발전에 이론적 근거가 되었음을 연구하였다. 성리학은 고대 동양사회의 정치, 경제, 사상, 문화 예술 심지어 생활에 전반에 걸쳐 근간을 이루어 왔던 유학의 새로운 경향이다. 성리학은 중국의 북송(北宋)대 다섯 학자인 주돈이, 소옹, 장재, 정호, 정이가 그 기틀을 새우고 남송(南宋)의 주희가 집대성한 학문이다. 중국의 원(元)나라를 통해 고려후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조선의 건국의 기틀이 되었고, 퇴계 이황, 율곡 이이를 거쳐 '문화 전반'에 미치지 않은 곳이 없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리학과 예술론과 관계하여 격물치지, '리', 우주의식, '생의', '기상', '예'와 '도'의 관계 등이 산수화와 산수화론을 통해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연구하였다. 산수화나 화조화에서도 신유학에서 말하는 천지의 '생의'의 미와 '어진 사람은 만물과 더불어 하나'라는 사상을 화폭에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시와 회화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동양에서는 송대 이전부터도 시와 회화의 관계를 중시했지만, 송에 이르러 시와 회화의 통일을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명나라 때 조성된 졸정원(拙政園)과 같은 강남 정원 문화는 송대 산수화로부터 기인했다. 산수에서 등장하는 산속의 작은 정자나 가옥들이 정원에 옮겨진 것이다. 이는 곽희가 "임천고치"에서 말한 "가볼 수 있고, 바라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닐 수 있고, 살 수 있는 곳"을 화폭 속에 그려야 한다는 것이 명 청대에 이르러서는 현실로 옮겨진 것이다. 또한 현대에 있어서는 환경디자인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연구는 앞으로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디자인 발전 연구, 더 나아가 문화산업의 기초자료로서 복합학문, 학제간 교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금궤요략"의 중요(重要) 주석서(註釋書)에 대한 연구(硏究) (A Literary Study on the Jinguiyaolue)

  • 염용하;하기태;현동환;윤상주;김준기;최달영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9권
    • /
    • pp.165-178
    • /
    • 2000
  • "금궤요략"은 한의학(韓醫學) 최고(最古)의 잡병전문서(雜病專門書)로서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에 대한 주해(註解)나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著者)는 앞으로의 연구(硏究)와 교육(敎育)의 기본자료(基本資料)로 삼기 위하여 본서(本書)의 중요(重要) 주석서(注釋書)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금궤요략"에 대한 최초의 주석(注釋)은 원명간(元明間) 조량인(趙良仁)의 "금궤요략연의"이며, 그 이후 청대(淸代)에는 "금궤옥함경이주", "금궤요략론주", "금궤요략직해", "금궤요략방논본의", "금궤요략심전", "정정금궤요약주" 등(等)이 유명하다. 일본(日本)에서는 "금궤요략주해"을 효시로 "금궤요약방론친주", "장사정경증회", "금궤요략집성", "금궤요략집의", "금궤옥함요약술의" 등의 주본(注本)이 있다.

  • PDF

한.중.일 3국의 圭.笏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uei of the Jade Tablet, Hole of the Ivory Tablet, Ancient Korea and China, Japan)

  • 임명미
    • 복식
    • /
    • 제51권2호
    • /
    • pp.5-25
    • /
    • 2001
  • Jade, which is a kind of stone, with its transparent body, lustrous and bright character, But jade is not the only fair stone. There are three kinds of jade objects 1) tallies used in the court. 2) ceremonial jades. 3) ordinary jade for decoration, for inlaid work and for burial. Among the ceremonial jade, the most important were the "liu jui" and "liu ch′i." The former was supposed to be held by people in the court as symbols of their authority : 1) "then-kuei(鎭圭)" for the emperor. 2) "hang-kuei(恒圭)" for a duke, 3) "hsin-kuei(信圭)" a marquis. 4) "kung-kuei(躬圭)" for an earl, these "kuei" were alike in shape, but differed in size. 4) "ku-pi(穀璧)" for a viscount. 5) "p′u-pi(蒲璧)" for a baron, "pi(璧)" differed in decoration but were alike in shape. "Liu ch′i(六器)" were ceremonial objects used by the emperor in worshipping Heaven, Earth, and the Four Directions : "ts′ang-pi(倉璧)," greenish jade disk, used in worthipping Heaven "huang-tsung(黃琮)," yellow jade cylinder, used in worshipping Earth ; "cuing-kuei,(靑圭)" blue jade tablet. used in worshipping the East : "chih-chang(赤璋)," red jade tablet, used in worshipping the South : "hsuan-huang(玄璜)," black crescent, used in worshipping the North. Five kinds of tallies were "chen-kuei(鎭圭)," "yenkuei(琰圭)," "yuan-kuei(玩圭)," "ku-kuei(穀圭)." They were used to console people during disaster, to subjugate an official who had committed a crime, to reward a prize to an official for his merit or good conduct, to arbitrate disputes between high officials, to marry princess. and to dispatch troops. Since the west wei(西魏), Kuei and Hole were made of Ivory, wood and bamboo, who had ivory for fifth grade and wood and bamboo for under sixth grade. After Eastern Chou, all officials beginning to had kuei hole. symbol of Authority. and his wives. After Dang dynasty, Japan is the same. In korea. After king Bupheung in ancient and South(unification) Silla, North Kingdom Bohai, Koryo, and Chosen dynasty had ceremonial jade, Kuei and Ho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