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oungsan river

Search Result 18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수온에 따른 영산강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Water Temperature and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 Youngsan River, Korea)

  • 정은정;나정은;김규만;심성순;이학영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56-63
    • /
    • 2010
  • 영산강의 7 조사지점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양상을 수온과 관련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 상지역에서 1년간의 조사를 통해 동정된 식물플랑크톤은 녹조류가 48속의 123종(46%), 규조류가 27속의 89종(34%) 그리고 남조류가 12속의 25종(9%) 등으로 총 265종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구분은 Fenchel (1987)이 제시한 2~20 ${\mu}m$m의 미소식물플랑크톤, 20~200${\mu}m$의 소형식물플랑크톤, 200 이상의 중형식물플랑크톤으로 하여 각각의 크기그룹의 분포양상을 조사한 결과 클로로필 a의 농도는 미소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으로 미소식물플랑크톤이 중요한 구성원임을 알 수 있었고, 수온과의 상관성 분석에서 모든 크기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가 수온과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미소식물플랑크톤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도를 보여주었다. 소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이 낮은 시기에 개체수가 많았으며 중형식물플랑크톤은 수온과 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언 담수방류와 영산강 하구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환경인자의 장기변동 (Long-term Change of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Environmental Factors and Freshwater Discharge in Youngsan Estuary)

  • 윤보배;이어진;강태안;신용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05-214
    • /
    • 2013
  • 영산강 하구에서 담수 유입이 부유생태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장기자료(1999~2008년)인 클로로필 a와 수질 항목들에 대한 계절적, 공간적 변화와 장기변동 추세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름철 (8월) 영산강 방조제 인접정점의 염분은 조사기간 중 가장 낮은 분포를 보였고, 영양염류와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영산강 담수유입의 지시인자인 표-저층의 염분차 (${\Delta}salinity$)와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유의한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나, 지난 10년동안 담수 방류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영양염류, 클로로필 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영산강 하구 해역 영양염의 공급원이 담수유입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발달에 따른 점오염원 증가 등의 추가적인 요인이 존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영산강 하구 주변 해역의 부영양화 방지를 위해서는 영산강 방조제의 방류와 연관한 수질개선방안 마련과 더불어 인근 지역의 점 오염원 파악 및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산강 하구역 주변해역의 난자치어 분포 (Distribution of Fish Eggs, Larvae and Juveniles around the Youngsan River Estuary)

  • 김진구;최정일;장대수;나종태;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6-494
    • /
    • 2003
  •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s and its relation to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alpha$) around the Youngsan River Estuary of Mokpo, south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bimonthly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1. Unidentified fish eggs were most abundant $1,345\;eggs/100m^3$ in August, while eggs of Engraulis japonicus were most abundant $63\;eggs/100m^3$ in June. A total of forty specie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belonging to the twenty families under six orders were caught, with six gobiids, four icefishes, four croakers and three herrings being represented. Fish larvae and juveniles peaked $17,757\;inds./100m^3$ in August, which consisted of $91.02\%$ of gobiids, $3.69\%$ of gunnels and $3.67\%$ of icefishes, and they were most abundant $7,467\;Inds./100m^3$ at St. 7.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individuals of fish larvae and juveniles showed that six month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t the dissimilarity 70, the first was composed of June and August and the second was February and December and April and October were not clustered with any other months. In August when species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eight station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t the dissimilarity 70, the first was composed of St. 1, 3, 4, 5 and 8 and the second was St. 6, 7 and 2. As a result from correspondence analysis, there is no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with a density of fish eggs and larvae, but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a density of fish eggs and $chlorophyll\;\alpha.$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Plant Resources of wetlands in Youngsan River Streams of Downtow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조원철;최현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28
    • /
    • 2009
  •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의 관속식물은 91과 265속 386종 49변종 및 2품종으로 총 4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은 16분류군, 부엽식물은 10분류군, 침수식물은 10분류군, 부유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습생식물은 14분류군으로 총 53분류군이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자라풀, 가시연꽃, 낙지다리, 왕벚나무, 좀어리연꽃 등 5분류군이었다. 특정식물종 I급종은 10분류군, II급종 2분류군, III급종 2분류군, IV급종 3분류군 그리고 V급종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44속 59종 3변종으로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9%였다. 환경부 생태계 교란종은 돼지풀, 물참새피 및 도깨비가지 등이었다.

  • PDF

서남부지역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 (A Practical Research for More Efficient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 김현영;서영제;최용선;문종원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9-286
    • /
    • 1998
  •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s situated in an unbalance of water supply and demand relating to the Keum, Mankyung, Dongjin and Youngsan River and their estuary reservoirs. For example, the Keum River estuary reservoir is discharging the larger amount of yearly runoff into the sea due to the small storage capacity, while Saemankeum estuary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has the smaller runoff amount comparing with its storage capacity, And the downstream area of the Youngsan River, such as Youngkwang, Youngam are deficient in water due in larger demand and smaller supp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unbalanced water supply and demand and also to improve the water use efficiency, the Hierarchical Operation Model for Multi-reservoir System(HOMM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multi-reservoir operation assuming that the above reservoirs were linked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2,148MCM of annual additional water requirement for agricultural and rural water demands are required in this region at 2011 of target year, and these demands can be resolved by diverting and reusing 1,913MCM of the released water from the estuary reservoirs into the sea.

  • PDF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영산강하구역 유기물 기원 추정 연구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delta}^{13}C$, ${\delta}^{15}N$))

  • 이연정;정병관;신용식;김성환;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175-184
    • /
    • 2013
  • 본 연구는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몽탄대교에서 영산강 하구둑에 이르는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연 6회에 걸쳐 수 층 부유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비교하였다.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강우를 통한 외부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암모니아성 질소 및 규산염의 유입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 11월과 8월에 정점 별 유기물의 기원이 크게 차이 났으며, 안정동위원소 비 값을 이용하여 주요 유입원 추정이 가능하였다. 11월에 모든 정점에서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가 무거운 값을 보였고, 인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입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정점에 비해 영산강 하구둑에서 모든 조사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기물 유입이 다른 정점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은 입자성유기물의 기원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산강 하구의 박테리아 분포 및 식물플랑크톤과의 관계 (Bacterial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 with Phytoplankton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 김세희;신용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3-62
    • /
    • 2019
  • 해양 종속영양 박테리아는 수생태계에서 미소생물환의 주요 구성원으로 유기물의 분해 등 생지화학적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양 생태계의 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박테리아의 변동에 대한 연구 조사가 중요하다. 본 연구는 방조제 건설로 변형된 영산강 하구 해수역을 대상으로 박테리아와 환경인자들의 월 변동 양상을 조사하였고, 박테리아 변동의 주요인자인 식물플랑크톤(chlorophyll-a)과의 상관성을 크기별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산강 하구의 박테리아는 저층보다 표층에서 높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개체수가 높았다. 그리고 방조제에 가까울수록 개체수가 증가하였으며, 방조제와 가장 인접한 정점에서 2018년 8월, 9월 그리고 2019년 6월에 최대치로 증가하였다. 박테리아의 개체수가 높았던 정점과 시기에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도 증가하면서 통계분석결과에서도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크기별로도 모두 유사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 기원의 유기물이 박테리아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크기별로 그 영향의 차이가 없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수온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박테리아의 계절 분포는 박테리아의 성장에 대한 수온의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라 볼 수 있다. 그 외에 간헐적인 담수 유입을 통한 영양염 공급과 박테리아의 개체수 변동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특정시기에 성층이 거의 없는 조건에서 용존산소가 고갈되는 빈산소층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식물플랑크톤 기원 유기물 공급과 박테리아의 분해로 인한 산소 소모의 결과로 추정된다.

친환경 소하천의 수리적 안정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aulic Stable Analysis of The Natural Small River)

  • 김태경;이경훈;선병진;최천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3호
    • /
    • pp.187-194
    • /
    • 2007
  • It started road constructions around river in 1990s. These maintenances concentrate on city river. Because river lives no living things and men don't come near there. But in spite of these river environment go to rack, river maintenances still keep on using preexistence method since 1990s. Only a part of city river environment maintenances consider environmental ability of passive river, river maintenance of a purpose of flood control still don't consider in the concrete. Because propulsion device that consider environment ability of passive river and possible application techniques don't complete. In accordance, A natural river maintenance needs absolutly a series of river projects. Because a natural river maintenance prevents a damage of environment ability. This study is to assume the flood really happened and to carry out the flood damage simulation needed in overflow simulation about the inundated zone. Also, This study examine unstable part about the hydraulic characteristic as velocities, stream power, shear, hydraulic depth, flow area in basin. And this study applied the HEC-RAS(river analysis system) model to predict flood overflow in youngsan river basin. Project flood is used the return period 100 year and inputed data that was calculated in intensity figures of illumination.

돌말(Epilithic Diatom) 지수를 이용한 국내 주요 하천(금강, 영산강, 섬진강)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Biological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in Major River Systems (Geum, Youngsan, Seomjin River), Korea)

  • 황순진;김난영;원두희;안광국;이재관;김창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84-79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biological river water quality by using epilithic diatoms at 40 selected sites in Geum, Youngsan, and Seomjin River systems. The sampling and analyses were performed during three seasons including January, April and June in 2005. Various water quality parameters also were analyzed. We attempted to classify the water quality condition by epilithic diatom indices (DAIpo and TDI) with the results of corresponding analyses of various chemical water quality parameters. A five class system was delivered to describe the water quality condition ranged from "very good" to "very poor." We also proposed a way of classifying water quality condition by combining two diatom indices of DAIpo and TDI. Our results showed that biomass of epilithic diatoms varied not only seasonally but spatially; it was not likely that winter diatoms represent average water quality condition, due to high concentration of nutrients. Water quality status assessed by diatom indices was generally worse than that assessed by BOD, indicating that BOD standard likely underestimates the biological condition of the water body. Importantly, nutrient-based diatom index (TDI) generally overestimated organic matter-based index (DAIpo) at most study sites, indicating that diatoms in studied rivers were likely more affected by nutrients than organic matter. Thus, management strategy to improve river water quality in Korea is suggested to emphasize more on the nutrients than organic matters.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chlorophyll a) 및 수질 동향 (Trend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in Estuarine River Systems)

  • 이창희;조기안;송은숙;신용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2호통권112호
    • /
    • pp.160-180
    • /
    • 2005
  •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클로로릴 a)과 수질의 장기적 자료 (환경부수질측정망)를 분석하여 국내 하구역 (섬진강, 한강, 아산호 (만), 영산강, 금강, 낙동강)의 일차생산자와 수질의 추세 (trend)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에 대한 문헌이나 보고서 검토도 이루어졌다. 국내에서 하구언이 없는 유일한 하구인 섬진강은 다른 전형적인 하구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은 강 상류지역으로의 담수유입이 많은 여름이 지난 가을철에 중염지역 (5 ${\sim}$ 15 psu)에서 높았고 질산과 규산염은 강 배출량 (담수유입)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형태를 띠었다. 한강에서는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영양염의 농도가 하류지역에서 높았다. 계절적으로는 봄철에 높은 농도를 보였는데 이에 반해 영산강은 봄철에 상류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체량과 영양염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산호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은 본 연구의 조사 하구역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대부분의 영양염이 상류쪽에서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은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이 겨울철에 높았고 하류보다 상류지역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국내 하구역의 수질에서는 총질소와 총인이 대부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들이 하구역의 수질관리 측면에서 내포하는 의미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