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rkshire boars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first parity and accumulated second to last parity reproduction traits as selection aids to improve sow lifetime productivity

  • Noppibool, Udomsak;Elzo, Mauricio A.;Koonawootrittriron, Skorn;Suwanasopee, Thanathi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3호
    • /
    • pp.320-327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stimate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in the first parity (NBA1), litter birth weight in the first parity (LTBW1), number of piglets weaned in the first parity (NPW1), litter weaning weight in the first parity (LTWW1), number of piglets born alive from second to last parity (NBA2+), litter birth weight from second to last parity (LTBW2+), number of piglets weaned from second to last parity (NPW2+) and litter weaning weight from second to last parity (LTWW2+), and to identify the percentages of animals (the top 10%, 25%, and 50%) for first parity and sums of second and later parity traits. Methods: The 9,830 records consisted of 2,124 Landrace (L), 724 Yorkshire (Y), 2,650 LY, and 4,332 YL that had their first farrowing between July 1989 and December 2013. The 8-trait animal model included the fixed effects of first farrowing year-season, additive genetic group, heterosis of the sow and the litter, age at first farrowing, and days to weaning (NPW1, LTWW1, NPW2+, and LTWW2+). Random effects were animal and residual. Results: Heritability estimates ranged from $0.08{\pm}0.02$ (NBA1 and NPW1) to $0.29{\pm}0.02$ (NPW2+). Genetic correlations between reproduction traits in the first parity and from second to last parity ranged from $0.17{\pm}0.08$ (LTBW1 and LTBW2+) to $0.67{\pm}0.06$ (LTWW1 and LTWW2+).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reproduction traits in the first parity and from second to last parity were close to zero. Rank correlations between LTWW1 and LTWW2+ estimated breeding value tended to be higher than for other pairs of traits across all replacement percentages. Conclusion: These rank correlations indicated that selecting boars and sows using genetic predictions for first parity reproduction traits would help improve reproduction traits in the second and later parities as well as lifetime productivity in this swine population.

비육돈 사료의 고추냉이 첨가수준별 분뇨의 악취물질 농도 변화 (The Effect of Horseradish Powder Level in Fattening Pig Diet on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from Manure)

  • 이강훈;황옥화;박규현;양승학;송준익;전중환;이준엽;오상집;성하균;최동윤;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41-46
    • /
    • 2012
  • 서양고추냉이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1. 서양고추냉이 분말을 사료에 혼합하여 돼지에 급여한 후 분뇨의 단쇄지방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 사료에 고추냉이를 0.02% 혼합했을 때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이소발레르산, SCFA 및 I-SCFA 농도가 가장 높았다(p<0.05). 2. 페놀과 p-크레졸을 합한 페놀류 농도는 고추냉이를 0.01~0.02%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보다 감소하였다(p<0.05). 인돌과 스카톨을 합한 인돌류 농도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3% 첨가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p<0.05). 3. 따라서 분뇨의 페놀류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2% 이하로 첨가하고, 인돌류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료에 고추냉이를 0.03% 정도 첨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냉이와 버섯폐배지 첨가 비육돈사료가 슬러리의 악취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orseradish Powder and Mushroom waste in Fattening Pig Diet on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from Slurry)

  • 이강훈;황옥화;양승학;박규현;이준엽;전병순;오상집;이상석;유용희;조성백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8권sup호
    • /
    • pp.35-40
    • /
    • 2012
  • 본 연구는 사료에 서양고추냉이 분말 0.03%, 팽이버섯폐배지 0.5% 및 서양고추냉이 분말 0.03%와 팽이버섯폐배지 0.5%의 혼합제를 사료에 각각 첨가한 후 비육돈에 급여하여 분뇨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1. 분뇨의 단쇄지방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 초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및 이성체지방산의 농도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2. 분뇨의 페놀, p-크레졸 및 이들을 합한 페놀류 농도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그러나 인돌 농도는 고추냉이 처리구에서 낮았으며(p<0.05), 스카톨 농도는 대조구와 고추냉이구에서 가장 높았고, 고추냉이와 버섯폐배지의 혼합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버섯폐배지구는 중간이었다(p<0.05). 인돌류 농도는 고추냉이와 버섯폐배지의 혼합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ngissimus Muscle as a Function of the Ultimate pH

  • Cho, Byung-Wook;Oliveros, Maria Cynthia;Park, Kyoung-Mi;Do, Kyoung-Tag;Lee, Ki-Hwan;Seo, Kang-Seok;Choi, Jae-Gwan;Lee, Moon-Jun;Cho, In-Kyung;Choi, Byoung-Chul;Ryu, Kyeong-Se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5-694
    • /
    • 2009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ation in ultimate pH of commercial populations of pure-breed (Landrace, Duroc and Yorkshire) pig's longissimus muscles and their effect on objective meat quality trai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Fifty boars were sampled from 184 pigs, which were reared at three breeding farms and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The selection was determined based on ultimate pH, and animals were segregated into three groups: low pH (pH $\leq$ 5.5, n=13), medium pH (pH 5.5 to 5.6, n=18) and high pH (pH $\geq$ 5.6, n=16). The breeds had no significant effects; however, pigs with a higher ultimate pH had significantly (p<0.05) higher intramuscular fat content, lower level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ower level of lipid oxidation and higher eating quality compared to those with lower ultimate pH. As the ultimate pH increased, the relative proportion of C14:0, C16:0 and C18:1 increased while C18:2n6 and C20:4n6 decreas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economic value of pig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ultimate pH and/or intramuscular fat content. However, these results do not necessarily indicate that a high ultimate pH directly corresponds to high intramuscular fat content and vice vers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for loin muscle area of commercial crossbred pigs

  • Menghao Luan;Donglin Ruan;Yibin Qiu;Yong Ye;Shenping Zhou;Jifei Yang;Ying Sun;Fucai Ma;Zhenfang Wu;Jie Yang;Ming Yang;Enqin Zheng;Gengyuan Cai;Sixiu Huang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6호
    • /
    • pp.861-868
    • /
    • 2023
  • Objective: Loin muscle area (LMA) is an important target trait of pig breeding.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genes associated with LMA in the Duroc×(Landrace×Yorkshire) crossbred pigs (DLY). Methods: A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Illumina 50K chip to map the genetic marker and genes associated with LMA in 511 DLY pigs (255 boars and 256 sows). Results: After quality control, we detected 35,426 SNPs, including six SNP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MA in pigs, with MARC0094338 and ASGA0072817 being the two key SNPs responsible for 1.77% and 2.48% of the phenotypic variance of LMA, respectively.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determined two candidate genes (growth hormone receptor [GHR] and 3-oxoacid Co A-transferase 1 [OXCT1]) that are associated with fat deposition and muscle growth and found further additional genes (MYOCD, ARHGAP44, ELAC2, MAP2K4, FBXO4, FBLL1, RARS1, SLIT3, and RANK3) that are presumed to have an effect on LMA.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mutation that underlies quantitative trait loci associated with LMA and to future pig breeding programs based on marker-assisted selec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identified candidate genes in the physi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LMA regulation.

검정종료돈의 체중변화에 따른 일당중체량, 등지방두께 및 정육율의 반복력과 상관 (Repeatabilities and Correlations among Average Daily Gain, Backfat Thickness and Lean Percent in Swine)

  • 김현철;김병우;송광림;오하식;손창준;하동우;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523-530
    • /
    • 2002
  • 본 연구는 1999년 8월부터 2000년 2월까지 공인 제2종돈능력검정소에서 검정 종료된 Duroc종, Landrace종 및 Yorkshire종에 대하여 체중, 등지방두께, 일당증체량 및 정육율을 측정하여, 동일 개체의 반복측정치 간의 반복력과, 상관 및 순위상관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평균능력은 측정시 체중이 각각 91.0, 114.7, 123.2kg이였으며, 측정시 일령은 각각 142.1, 173.7, 182.5일이였으며, 정육율은 각각 57.9, 56.2, 55.2%였으며, 등지방두께는 각각 1.33, 1.61, 1.63cm였으며, 일당증체량은 각각 946.6, 879.2, 879.4g으로 나타났다. 2. 각 형질의 측정차수간 상관은 정육율의 경우, 1차와 2차, 1차와 3차, 2차와 3차간 각각 0.493, 0.471, 0.619로 나타났고, 등지방두께의 경우, 각각 0.424, 0.424, 0.700으로 나타났으며, 일당증체량의 경우, 각각 0.716, 0.601, 0.861로 모든 형질에서 1차와 2차간, 1차와 3차간 보다는 2차와 3차간에 높게 추정되었다. 3. 각 측정차수의 형질간 상관은 1차 측정의 경우, 정육율과 등지방두께, 정육율과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와 일당증체량이 각각 -0.597, -0.291, 0.303으로 나타났고, 2차 측정의 경우, 각각 -0.667, -0.292, 0.396으로 나타났으며, 3차 측정의 경우, 각각 -0.711, -0.369, 0.409로 정육율과 등지방두께 및 일당증체량은 부의 상관관계에 있으며, 등지방두께와 일당증체량은 정의 상관관계에 있고, 일령이 증가할수록 상관이 높게 추정되었다. 4. 각 형질의 반복력 추정치를 살펴보면, 등지방두께가 0.374, 정육율이 0.428, 일당증체량이 0.673으로 추정되었으며, 일당증체량의 반복력은 상당히 높게 추정되어, 110kg까지 검정의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으나, 등지방두께와 정육율의 추정치는 낮게 추정되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면역거세가 수퇘지의 생리적 변화, 도체 및 육질 특성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munocastration on Physiological Changes, the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Meat Quality in Boars)

  • 김영화;정현정;이성대;지상윤;박준철;문홍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753-760
    • /
    • 2007
  • 본 시험은 돼지에서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에 따른 거세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2원교잡종(Landrace×Yorkshire) 21일령 자돈 45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사육은 출하체중 110kg 도달 때까지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비거세구(NC), 거세구(SC),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구(GA)로 나누어 돈방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여 3회 반복하였다. 거세는 생후 3-4일령의 자돈에서 외과적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는 GnRH antagonist (Improvac, Pfizer Australia)를 시험개시 후 16주와 20주에 각각 두당 2ml씩 2회에 걸쳐 피하주사하였다.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에 따른 생산성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 정육율과 체지방 함량은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에 의해 외과적 거세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육질 특성에서, 육색, pH, 전단력 및 가열 감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중 testosterone 농도는 면역생물학 제제 2차 투여 2주 후에 일반 거세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생식기에서 정소 직경, 무게 및 요도구선 무게는 면역생물학 제제 투여에 의해서 비거세 돼지보다 유의적으로 작았다(P=0.002).따라서 본 시험에 이용한 면역생물학 제제를 투여하였을 때 도체 및 육질에 있어서 일반 거세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외과적 수술에 의한 거세를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의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과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대한 품종(品種)과 환경(環境)의 효과(效果) (Effect of Breed and Environment on Preweaning Body Weight and Postweaning Traits in Swine)

  • 한성욱;상병찬;이한옥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61-67
    • /
    • 1987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1978년(年)부터 1983년(年)까지 국립종축원(國立種畜院)에서 사육(飼育)된 Landrace, Hampshire, Large Yorkshire 및 Duroc 종(種) 54 두(頭)의 종모돈(種牡豚)에서 생산(生産)된 253 두(頭)의 웅돈(雄豚)의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여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과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대한 품종(品種), 종모돈(種牡豚), 산차(産次), 년도(年度) 및 분만월(分娩月)이 미치는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에 대한 품종(品種)의 효과(效果)는 생시체중(生時體重), 21 일령체중(日齡體重) 및 56 일령체중(日齡體重)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P<.01)인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산차(産次)의 효과(效果)는 56 일령체중(日齡體重)에서만 고도(高度) 유의적(有意的)(P<.01)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2.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에서 품종별(品種別)로는 생시체중(生時體重)에서 Duroc 종(種)이 $1.593{\pm}0.001kg$로 가장 무거웠고, 21 일령(日齡) 및 56 일령체중(日齡體重)에서는 Landrace 종(種)이 각각(各各) $6.227{\pm}0.199$$18.590{\pm}0.493kg$로 가장 우수하였다. 3.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대한 품종(品種)의 효과(效果)는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 등지방두께 및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에서 고도(高度)의 유의적(有意的)(P<0.01)인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산차(産次)의 효과(效果)에서는 등지방두께에서만 유의적(有意的)(P<.05)인 차이(差異)가 인정(認定)되었다. 4.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있어서 품종별(品種別)로는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및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에서 Duroc 종(種)이 각각(各各) $876.279{\pm}8.198g$$2.754{\pm}0.198$로 가장 우수하였고, 등지방두께는 Hampshire 종(種)이 $1.969{\pm}0.198cm$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돼지의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과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대한 유전력(遺傳力)과 유전상관(遺傳相關)의 추정(推定) (Estimation of Heritabilities and Genetic Correlations on Preweaning Body Weights and Postweaning Traits in Swine)

  • 한성욱;상병찬;이한옥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51-60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1978년(年)부터 1983년(年)까지 국립종축원(國立種畜院)에서 사육(飼育)된 Landrace, Hampshire, Large Yorkshire 및 Duroc 종(種) 54 두(頭)의 종모돈(種牡豚)에서 생산(生産)된 253 두(頭)의 웅돈(雄豚)의 검정자료(檢定資料)를 이용(利用)하여 이유전(離乳前) 체중(體重)과 이유후(離乳後) 형질(形質)에 대한 유전력(遺傳力)과 유전상관(遺傳相關)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을 추정(推定)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전력(遺傳力) 추정치에 있어서는 이유전체중(離乳前體重)인 생시체중(生時體重), 21 일령체중(日齡體重) 및 56 일령체중(日齡體重)에서 각각(各各) $0.233{\pm}0.160$, $0.485{\pm}0.185$$0.758{\pm}0.214$이었으며, 이유후체중(離乳後體重)인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과요구율(飼科要求率), 등지방(脂肪)두께,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 각각(各各) $0.270{\pm}0.164$, $0.350{\pm}0.174$, $0.272{\pm}0.165$, $0.887{\pm}0.221$$0.565{\pm}0.195$이었다. 2. 유전상관(遺傳相關) 추정치(推定値)에 있어서는 생시체중(生時體重)과 21 일령체중(日齡體重) 및 56 일령체중간(日齡體重間)에 각각(各各) 0.349 및 0.198 이었으며, 21 일령체중(日齡體重)과 56 일령체중간(日齡體重間)에는 0.907이었고, 일당증체중(日當增體重)과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 등지방층(脂肪層)두께,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 각각(各各) -0.552, 0.107, -0.903 및 0.71 이었으며,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과 등지방층(脂肪層)두께,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각각(各各) -0.058, 0.699 및 -0.942이었고, 등지방층(脂肪層)두께와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유전상관(遺傳相關)은 각각(各各) -0.237, -0.025 이었다. 3.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 추정치(推定値)에 있어서는 생시체중(生時體重)과 21 일령체중(日齡體重) 및 56 일령체중간(日齡體重間)에 각각(各各) 0.341, 0.287이었고, 21 일령체중(日齡體重)과 56 일령체중간(日齡體重間)에는 0.893이었으며,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과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 등지방층(脂肪層)두께,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 각각(各各) -0.062, 0.093, -0.651 및 0.540이었고, 사료요구율(飼料要求率)과 등지방층(脂肪層)두께,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은 각각(各各) 0.105, 0.601 및 -0.613이었으며, 등지방층(脂肪層)두께와 90 kg 도달일령(到達日齡) 및 선발지수간(選拔指數間)의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 각각(各各) -0.040, -0.416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