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Yield criteria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35초

U-형 복합보의 춤 변화에 따른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uctural Performance by the Depth Variation of Capacity of U-shaped composite Beam)

  • 하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111-118
    • /
    • 2020
  • 본 연구에 사용된 U-형 복합보는 슬래브는 철근콘크리트구조로 되어 있고, 슬래브를 지지해 주는 보는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구조, 그리고 U-형 강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U-형 복합보는 시공성이 우수하고 낮은 층고와 장경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작물 주차장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시공성 향상을 위해 U-형 복합보 단부는 규격화된 H형강으로 계획하여 기둥에 직접 접합시키고, 강재 물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U-형 복합보의 중간 부분에는 H형강 대신 얇은 강판(t=6)을 사용하여 U자형 형태로 접은 U-형 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U형 강판이 위치하는 복합보 중앙부에는 보의 춤을 작게 계획함으로서 공작물 주차장의 제한 높이에 만족하도록 계획할 수 있다. 낮은 보의 춤은 층고 단축에는 유리하지만 휨성능에는 저해 요인이 되기 때문에 춤 변화에 따른 구조성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U-형 복합보는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구조 및 U-형 강판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일체성 확보가 구조성능을 확보하는데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형 복합보의 춤을 변화에 따른 구조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구조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체는 일반주차장용으로 계획된 실험체를 기준실험체로 하여 춤을 변화시킨 2개의 실험체를 포함하여 총 3개를 계획하였다. 실험결과 춤을 크게 계획한 실험체가 기준실험체보다 항복강도, 최대강도, 에너지 등 구조성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 검·보정 III: 다중 관측 지점 및 변수를 고려한 분석 (SWAT model calibration/validation using SWAT-CUP III: multi-site and multi-variable model analysis)

  • 조영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143-115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SWAT-CUP을 이용한 SWAT 모형의 검·보정 과정에서 다중 관측 지점 및 변수를 고려한 분석의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이의 적용을 위해 용담시험유역에서 장기 관측된 유량, 토양수분량, 그리고 증발산량을 활용한 모의수행 및 유역의 수문 유출특성과 물순환 관점의 물수지를 검토하였다. 모형은 유역 내 다중 관측 자료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순차적 보정 방법과 SWAT-CUP에서의 최적 매개변수 값 산정을 위한 모의 실행 및 반복 횟수 설정(초기 1,000회 모의 실행, 이후 500회 모의 반복), 그리고 전체 및 부분 수행 등을 통해 소유역별 각기 다른 매개변수 값으로 보정하였으며(유역출구 유량 ENS 0.85, R2 0.87, 그리고 PBIAS -7.6%), 이를 유역출구 지점에 대해 순차적이 아닌 일괄 적용한 분석결과(ENS 0.52, R2 0.54, 그리고 PBIAS -22.4%)와 비교하여 그 방법상의 우위를 확인하였다. 총 15개년의 모의 결과로부터 용담댐 유역의 직접유출은 35%, 기저 및 중간유출과 회귀유량을 합한 값은 65%로 전체 유출률은 53%이며, 증발산량은 전체 강우의 39%에 상당하는 양이 발생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소유역별 연간 총 유출량(일평균 21.8 m3/sec) 등을 포함한 물이용 가능 수량은 연간 총 6.96억 m3으로 소유역별로는 약 540 ~ 900 mm로 분석되었다.

겹침이음된 초고강도콘크리트 보의 휨강도에 횡방향보강 요소가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ransverse Reinforcement Elements for Flexural Strength of Lap Spliced Ultra-high-strength Reinforced Concrete Beams)

  • 배백일;최현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35-14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적용된 겹침 이음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초고강도콘크리트 보의 휨성능을 평가하였다. 설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정착 길이 및 겹침이음 길이 산정식에서 겹침이음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횡보강근과 콘크리트 피복 성능의 검토가 수행되었다. 주요 변수는 콘크리트 피복의 구속 성능 증진을 위한 섬유의 혼입과 횡방향철근 배치로 설정하였다. 강섬유가 혼입되었으며 1% 및 2% 부피비로 섬유의 혼입량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피복 성능의 변화를 검토하였으며, 이음 구간 내에 간격 100mm의 D10 스터럽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스터럽으로 구속된 실험체는 주인장철근 방향으로의 수평균열 진전과 함께 급격한 하중저하 현상이 나타났으며, 강섬유로 보강된 실험체의 경우 주인장철근 방향의 균열 확대가 억제되고 급작스러운 하중지지능력의 상실을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 의 혼입률이 적용된 실험체의 주인장철근 위치의 변형률은 항복 변형률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변형률 측정 결과 철근보다는 섬유가 더 콘크리트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isk Factors for COVID-19 Infection Among Healthcare Workers. A First Report From a Liv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Dzinamarira, Tafadzwa;Nkambule, Sphamandla Josias;Hlongwa, Mbuzeleni;Mhango, Malizgani;Iradukunda, Patrick Gad;Chitungo, Itai;Dzobo, Mathias;Mapingure, Munyaradzi Paul;Chingombe, Innocent;Mashora, Moreblessing;Madziva, Roda;Herrera, Helena;Makanda, Pelagia;Atwine, James;Mbunge, Elliot;Musuka, Godfrey;Murewanhema, Grant;Ngara, Bernar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263-268
    • /
    • 2022
  • Health care workers (HCWs) are more than ten times more likely to be infected with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 2019 (COVID-19) than the general population, thus demonstrating the burden of COVID-19 among HCWs. Factors that expose HCWs to a differentially high-risk of COVID-19 acquisition are important to elucidate, enable appropriate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o mitigate against high risk and reduce adverse outcomes from the infection.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o summarize and critically analyze the existing evidence on SARS-CoV-2 risk factors among HCWs. With no geographical limitation, we included studies, in any country, that reported (i) the PCR laboratory diagnosis of COVID-19 as an independent variable (ii) one or more COVID-19 risk factors among HCWs with risk estimates (relative risk, odds ratio, or hazard ratio) (iii) original, quantitative study design, and published in English or Mandarian. Our initial search resulted in 470 articles overall, however, only 10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for this review. Out of the 10 studies included in the review, inadequate/lack of protective personal equipment, performing tracheal intubation, and gender were the most common risk factors of COVID-19. Based on the random effects adjusted pooled relative risk, HCWs who reported the use of protective personal equipment were 29% (95% CI: 16% to 41%) less likely to test positive for COVID-19.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HCWs who performed tracheal intubations were 34% (95% CI: 14% to 57%) more likely to test positive for COVID-19. Interestingly, this study showed that female HCWs are at 11% higher risk (RR 1.11 95% CI 1.01-1.21) of COVID-19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article presents initial findings from a liv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refore, did not yield many studies; however, it revealed a significant insight into better understanding COVID-19 risk factors among HCWs; insights important for devising preventive strategies that protect them from this infection.

소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과 배발생에 황체의 형태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teal Morphology of Donors on the Maturation and Subsequent Development in Vitro of Bovine Immature Oocytes)

  • Kim, B. K.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5-383
    • /
    • 2000
  • 본 연구는 공여난소의 황체 형태가 소 미성숙난자의 체외 성숙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감수분열과 수정란 생산을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공여난소를 황체의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 group 으로 분류하였다. Group 1 ; 최근에 배란한 흔적으로 보이는 혈포가 있는 난소. Group 2 ; 황체는 적색 또는 갈색이며, 혈관이 황체의 가장자리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는 난소. Group 3 ; 황체는 오렌지 또는 황갈색이며, 혈관이 황체의 정상부 까지 분포한 난소. Group 4 ; 황체는 잃은 황색 또는 백색이며, 황체 정상부의 혈관분포가 사라진 난소. 미성숙난자의 체외성숙과 배발생을 위하여 각각 TCM 199과 TLP-PVA을 기본배지로 사용하였다. 각 group에서 채취한 미성숙 난자를 4, 14, 24시간 체외성숙시켰을 때 metaphase I과 metaphase II에 도달한 난자의 비율은 각 group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각 group 에서 metaphaseII난자는 체외성숙 후 14시간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24시간에 성숙이 종료하였다. 체외 배발생 후 2세포기와 8세포기까지의 발생에는 공여난소 황체의 형태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상실배와 배반포로 발생한 수정란의 비율은 group 1과 3에서 채취한 난자에서 group 2와 4에서 채란한 난자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이러한 결과는 공여난소의 번식상태가 체외 수정란생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암시하고 있다.

  • PDF

우리나라에서 Alfalfa 재배기술 향상을 위한 재배연구 Data 분석 (Data Analysis of Alfalfa Cultivation Research to Improve the Cultivation Techniques in the Republic of Korea)

  • 김지융;성경일;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5-102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알팔파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기존에 재배연구에서 수행한 재배기술을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될 연구를 제시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1983~2008년까지 총 270점의 알팔파 재배실험 자료로 재배지역, 재배지, 품종, 파종, 수확횟수, 시비 및 건물수량 등을 수집하였다. 국내 알팔파의 건물수량은 12,536 kg/ha 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알팔파는 대부분 밭에서 재배가 되고 있었는데, 국내 알팔파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척지 및 유휴지를 이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개량할 토지개량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에서 재배한 알팔파는 53개 품종이었으나 기존의 자료에서는 알팔파 품종선발 기준인 Fall dormancy를 고려한 연구는 전무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시비는 각 비료의 성분을 다양한 수준으로 고려하지 않았으며 특히 알팔파 생산량의 증가를 고려할 때 K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알팔파의 수확은 지역에 따라 목초의 생육가능일수가 달라 수확횟수가 달랐으며, 수확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물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수확횟수에 따라 알팔파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적정수준의 수확횟수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낙동강권역의 지하수 산출 유망도 평가 (A Groundwater Potential Map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 유순영;정재훈;박길택;문희선;석희준;김용철;고동찬;고경석;김형찬;문상호;신제현;심병완;최한나;하규철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8권6호
    • /
    • pp.71-89
    • /
    • 2023
  • A groundwater potential map (GPM) was built for the Nakdonggang River Basin based on ten variables, including hydrogeologic unit, fault-line density, depth to groundwater, distance to surface water, lineament density, slope, stream drainage density, soil drainage, land cover, and annual rainfall. To integrate the thematic layers for GPM, the criteria were first weigh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and then overlaid using the Technique for Ordering Preferences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OPSIS) model. Finally, the groundwater potential was categorized into five classes (very high (VH), high (H), moderate (M), low (L), very low (VL)) and verified by examining the specific capacity of individual wells on each class. The wells in the area categorized as VH showed the highest median specific capacity (5.2 m3/day/m), while the wells with specific capacity < 1.39 m3/day/m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categorized as L or VL. The accuracy of GPM generated in the work looked acceptable, although the specific capacity data were not enough to verify GPM in the studied large watershed. To create GPMs for the determination of high-yield well locations, the resolution and reliability of thematic maps should be improved. Criterion values for groundwater potential should be established when machine learning or statistical models are used in the GPM evaluation process.

에탄올 농도별 꼬불염주말의 최적추출조건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Chaetomorpha torta by ethanol concentration and inhibitory effect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 송진의;신태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41-46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꼬불염주말 추출물이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에탄올 농도별 꼬불염주말의 최적추출조건을 찾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항염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꼬불염주말의 최적추출조건 기준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폴리페놀 수율로 하였을 때, 70% 농도의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적합하였다. 둘째, Raw 264.7을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를 진행한 결과, 100 ㎍/mL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의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사이토카인 생성이 농도에 비례하게 감소하였으며, 100 ㎍/mL 농도에서 각각 73.76±2.6%, 84.8±2.42%, 91.91±0.47%를 보여 매우 뛰어난 항염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꼬불염주말 추출물은 항염 특성을 가진 화장품 원료 소재로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녹조류와 관련된 항산화, 항균, 항염 활성 등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면 해양 자원의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가축분뇨 병합처리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 마련 연구(II) - 정밀모니터링 결과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Efficient Bio-gasification Facility of Pig Manure and Food Waste(II): - Results of the Precision Monitoring -)

  • 이동진;문희성;손지환;배지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3호
    • /
    • pp.91-98
    • /
    • 2017
  •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을 병합 소화하는 시설을 대상으로 적정 설계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 정상적으로 운영 중인 9개의 혐기소화시설과 사육돈 종류에 따른 가축분뇨 발생원 (농가) 14곳을 정밀모니터링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삼성분, 영양성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휘발성지방산, 질소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반입되는 유기물의 휘발성고형물 농도는 (Volatile solids, VS) 단독처리시 2.81 %, 음식물류와 병합처리시 5.92 %로 조사되었으며, 유기물분해율은 단독처리 대비 20.5 % 증가된 63.6 %의 제거율을 보였다. 영양물질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메탄수율과 실제 현장에서의 메탄수율을 비교한 결과, VS 기준 실제 메탄수율은 이론값 대비 72 %에 해당하는 $0.36Sm^3CH_4/kgVS$로 실측되었다. 농가발생원의 총고형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자돈 및 이유돈은 5.6 %로 가장 낮았으며 육성돈, 비육돈, 모돈 등은 약 11~13 %로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또한 가축분뇨에는 모래, 가축털 뭉치 등의 이물질이 존재함으로 혐기소화 과정에서 스크리닝 등의 전처리 과정을 사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음폐수와 가축분뇨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운전한 연속식 반응기를 통해 병합처리 효과에 따른 적정 혼합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속식 반응기 실험에서 가축분뇨와 음폐수의 혼합비율을 100:0, 80:20, 40:60, 20:80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을 때, 60:40~40:60의 범위에서 적정 혐기소화 조건 (100 gTS/L 이하, 알칼리도 1 gCaCO3/L 이상, C/N비 12.0~30.0 등)에 부합하는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시설 오이의 관비재배를 위한 토양용액과 엽병즙액중 질산태 농도 기준 설정 (A Criteria on Nitrate Concentration in Soil Solution and Leaf Petiole Juice for Fertiga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 임재현;이인복;김홍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6-325
    • /
    • 2001
  • 비료의 효율적 이용 및 과다 시비에 따른 환경오염을 경감하고자 토양 및 식물체 중 질산이온 분석을 통한 간이진단기술을 검토하였다. 농가현장에서 토양중 질산이온을 추출하기 위한 간이검정방법으로서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채취법과 생토용적추출법은 실험실 분석법인 2M KCl 침출법과 비교하였고, 질산이온 간이측정기구인 compact ion meter, nitrate ion meter, test strip-소형 reflectometer법 등에 의한 질산이온 측정값은 실험실 정밀 측정장비인 IC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토양내 질소수준이 다른 하우스환경 하에서 오이의 재배기간동안 토양용액채취법과 생토용적침출법에 의한 토양중 질산이온농도는 주기적으로 monitoring 하였고, 엽병중 질산이온농도는 엽병 위치별로 분석하였으며, 토양과 식물체중 질산이온 농도들은 오이의 최종 수량과 관련하여 2차 회귀식으로 plotting 하였다. 질산이온 간이측정장비로서는 test strip을 이용한 소형 reflectometer법이 실험실 정밀 분석법인 IC에 의한 측정값과 가장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Porous cup을 이용한 토양용액채취법은 관수후 경과시간, 토양깊이, 점적호스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토양용액중 질산이온 농도의 공간적 변이가 컸으나, 생토용적침출법과 2M KCl 침출법간 질산함량은 높은 상관성이 인정되었다. 엽병즙액중 질산농도의 엽의 위치에 따라 질산농도의 변화가 심하였고, 토양내 질소 수준에 따라 상위엽과 하위엽간 질소 농도의 분포 또한 상이하였다. 토양 및 식물체 엽병중 질산함량과 오이수량간 2차 회귀식으로부터 최고수량과 일치하는 각각의 질산 함량 수준을 검토한 결과, 토양용액채취법은 $400mg\;l^{-1}$ 수준, 생토용적 침출법은 $300mg\;l^{-1}$ 수준, 엽병즙액의 경우는 $1400mg\;l^{-1}$ 수준이었다. 여기서 엽병즙액과 오이수량간 상관성은 pot 시험을 통해 비교하였고, pot 실험결과 $1500mg\;l^{-1}$ 수준의 엽병내 질산농도 수준에서 최고 수량을 보여 하우스 실험결과와 유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