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 Sang

검색결과 1,685건 처리시간 0.03초

이상(李箱)의 초기시에 나타난 한국근대 건축의 '근대성'탐구 (A Study on the Modernity of Korean Architecture appeared in Yi Sang's Early Poems)

  • 정인하
    • 건축역사연구
    • /
    • 제8권1호
    • /
    • pp.63-80
    • /
    • 1999
  • Poet, Yi-sang, born in 1910, originally studied architecture in Kyeong Sung High Technical School. He also experienced an architectural practice in Chosun Chongdokbu (the Government office of Japanese empire in Korea) during 4 years. After resigned the post of architectural engineer in 1933, he became a man of letters. Until his death in 1937, he published the writings hard to understand, which remind us of the works of western avant-garde. Because of the peculiarity and difficulty of his poem and novels, he becomes the object of studies by many critics and historians of literature. And he is estimated as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modernism. This study tries to related Yi-sang's early poems to architectural discourse for the search of 'modernity' of Korean modern architecture. His early poems, which is published in from 1931 to 1933, are worthy of notice because they contained a acute shock derived from radically changed spacial structure, the absolute emptiness of the individual happened in the 1930's Seoul. They also show a different attitude from the writings of Park Dongjin and Park Kilryong, the architects contemporary with Yi-Sang. Compared with their writings, Yi sang's early poems had an insight into the totality of modern culture like western avant-gardes. Therefore Yi-sang's early poems can give us a good bas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of Korean architecture.

  • PDF

영상매체에 형상화 된 시인 '이상' 표상 연구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Yi Sang Representation in Media -Focusing on the cinema and the drama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9-36
    • /
    • 2019
  • 이상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매체 및 장르의 특성에 따라 시인 이상의 표상과 그의 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며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시인 이상의 표상이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된 양상을 검토하였으며, 각 텍스트들에서 시인 이상이 표상화되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과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에서는 이상의 시를 사건의 단서가 숨겨진 퍼즐로 활용하고 있다. 이 영화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의 '천재' 표상을 활용하여 이상의 비밀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이 영화는 추리스릴러라는 장르의 관습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상을 표상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은 시인 이상을 내면에 열정을 지닌 청년으로 새로이 표상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냉소적인 태도 또한 민족과 시대를 향한 애정의 이면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표상의 방식은 '이상'이라는 문학가의 대중적 인식과 새로운 표상화 시도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언어의 자의성과 이상의 ″상″ 이미지 (The Arbitrary Nature of Language and the Image of ′Sang′ (Box))

  • 오정란
    • 인문언어
    • /
    • 제1권1호
    • /
    • pp.159-183
    • /
    • 2001
  • This paper surveys the meaning of the pen name ′Yi Sang(李箱)′ in the light of the arbitariness of language and the relationship among names, observing in three ways how the images of ′Sang′ (Box) appear differently in his works. In Particular, we look into (1) the relationship between a box and its inner boxes, (2) the divisional relationship in the box,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x and an outer box. In Yi Sang′s work, image (1) gives shap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himself and his ancestors who are responsible for his present existence. Image (2) gives shape to two internally divided Yi Sangs, and is symbolized as a mirror that reflects two selves. Image (3) gives shape to a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in the closed world and other people and/or a bigger outside world. All these symbolic relationships are fully represented in his work "Nalgae" (The Wing)". What is interesting is that Yi Sang has already employed these box images in his earlier poetry "Geonchuk-muhan-yukmyeon-gaucho" (Infinite Architectural Hexagon). furthermore, by visualizing his name as a sqaure($\square$), he means to suggest the intentional image of his pen name as a ′box′.

  • PDF

지각설(知覺說)을 중심으로 본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의 성리학(性理學) - 심즉리설(心卽理說) 성립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 (Lee, Jin sang' Neo-Confucianism in the viewpoint of Perception in Toegye School)

  • 김낙진
    • 동양고전연구
    • /
    • 제36호
    • /
    • pp.229-264
    • /
    • 2009
  • 본고는 이진상의 특색 있는 이론인 심즉리설의 연원을 지각론의 전개과정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황과 이이 이후 양대 학파로 분기된 조선유학계는 상호 비판과 영향 수수를 통해 발전하여 왔고, 조선후기의 논쟁적 주제 중의 하나가 지각론이었다. 주자학의 일반적인 지각론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시작한 것은 호락의 학자들로부터 비롯되었다. 이들은 심합이기와 심시기라는 이이의 심론 중 후자에 비중을 두어 자신들의 학문적 정체성을 가다듬었다. 이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는 가운데 퇴계학파에 속한 대산학맥의 학자들은 이주기자설에 의하여 이기를 새롭게 해석하고, 지각론에도 이를 적용하여 퇴계학적인 지각 이론을 새롭게 만들어 내었다.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호락의 심시기설에 대한 비판정신을 바탕으로, 대산학파의 새로운 이기론과 지각론을 세밀하게 가다듬고 과감한 이론적 비약을 통해 만들어진 이론이었다. 그는 이를 통해 인간의 본심, 즉 리(理)를 지각할 수 있는 근본적 가능성의 기반을 찾고자 하였던 것인데, 성선론의 논리적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호복고 독해 연구(1) (A Study of the 'Hobokko' (I))

  • 박춘순
    • 복식
    • /
    • 제58권7호
    • /
    • pp.60-75
    • /
    • 2008
  • A history of Chinese Costume is that of the accept and the struggle between the 'Shen- Yi' of Han(漢) race and 'Ho-Bok' of foreign races. There are the 'Shen-Yi Ko' and the 'Ho-Bok Ko' in their representative documentary. They are quite significant materials for the researchers of the Oriental costume. The purpose of this study about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hen-Yi Ko' and the 'Ho-Bok Ko' give a guidance to Chinese costume's researcher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Shen-Yi', having made a dress joined an upper to the low clothing together(上衣下裳) and deeply covered the parts of all the bodies, was named, had appeared the Spring-Autumn & warring state period(春秋戰國時代) and later the former Han Dynasty(前漢). Not only everyone in spite of men and women, without distinction of rank, high and low alike but also even the court dress(朝服) and from latter Han Dynasty(後漢) only the housewives could have worn it. The 'Shen- Yi Ko' disappeared its records and remains and at present nothing leave behind. The 'Ho-Bok' is a costume of the nomadic horse-riding people among the foreign races, then influenced upon the Chinese costume. The style of the Chinese costume consists of 'Yi Sang'(衣裳) and the 'Ho-bok' of foreign races, 'Yi Ko'(衣袴). The 'Yi Ko'((衣袴), derived from the King Muryoung of Cho Dynasty, had greatly been changed the chinese men's clothing and After that 'Ko Sup'(袴褶). The Chinese have enjoyably and familiarly the accepted 'Ho Bok' for a long time.

이상' 시의 타이포그라피적 해석 (a typographic study on Yi Sang's poetry)

  • 안상수
    • 디자인학연구
    • /
    • 제9권
    • /
    • pp.601-616
    • /
    • 1994
  • 전위시인 이상은 회화적, 건축 적 영감으로 시를 썼으며, 그의 시 세계에 타이포그리피적 표현을 구사하여 그만의 예술적 창의력을 분출하였다. 그는 문학적 언어에만 묶여 있던 언어를 해방시켜 시각적 영상언어로 승화시켰고, 그가 창조해낸 기호로 유희하며, 현실과 전총에 대해 도전했고, 질서에 대한 모험적인 싸움을 즐겼다. 각고의 과정을 통해 토해 낸 그의 타이포그라피적 결과들은 결국 우리 현대 타이포그라피 역사를 1930년대로 한층 길게 늘여 놓았다. 그의 시에 나타나는 타이포그라피는 활자적 표현 기술로서 본다면 미숙함도 있겠으나 일관된 실험정신으로 고루한 관습을 깬 것은 한글 타이포그라피에 뚜렷한 현대성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를 두어, 이제 늦었더라도 그를 한국 현대 타이포그라피의 보배로운 존재로서 새로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 PDF

홍의약침의 단독사용으로 호전된 여성의 배뇨장애 환자 5례에 대한 보고 (Clinical Study for Five Cases of Women with Urinary Disturbance by HongYi Pharmacopuncture as a Single Therapy)

  • 한상겸;장세란;김동철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3-2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reports the effects of HongYi (Formica yessensis) pharmacopuncture on the women voiding dysfunction patients. Methods: The women patients who complain of voiding dysfunction were treated with HongYi pharmacopuncture for ten times. We measured the 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for five times and analyzed. Results: After treatment with HongYi pharmacopuncture for ten times, the IPSS was improved in all of the patients. Complaints of voiding dysfunction was reduced and other symptoms also improved. Conclusions: HongYi pharmacopuncture is effective on women patients complaining of urinary disturbance.

번적과 익적의 역사 (History of Fan Ji and Yi Ji)

  • 홍성사;홍영희;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4
    • /
    • 2005
  • 중국 산학에서는 구장산술의 제곱근과 세제곱근의 해법을 일반화하여 고헌이 도입한 증승개방법을 통하여 다항방정식의 해의 근사값을 구한다. 이 때 도구로 사용되는 조립제법에서 음수와 그 연산을 정확히 사용하지 않아서 번적, 익적이라는 개념이 나타나는데, 이는 조선 산학에도 그대로 사용되었다. 먼저 중국과 조선에서 번적, 익확에 대한 역사를 조사하고, 19세기 중엽에 조선 산학자 남병길과 이상혁이 번적과 익적에 대한 충분조건을 얻어내고 이를 증명한 사실을 밝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