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rsinia spp. Colifor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최근 5년간 서울시내 약수터에서 분리한 여시니아속균의 균종별 분포 및 생화학적 성상 조사 (Characteristics on Yersinia spp. from Spring water in Seoul on recent 5 years)

  • 함희진;안미진;김정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12-418
    • /
    • 1998
  • It was perfomed to investigate for Yersinia species from 2,841 spring waters in Seoul, from 1994 to 1998. Of them, Yersinia spp. were isolated 86 isolated (3.3%). Of 86, sixty two isolates(71.1%) were Yesinia enterocolitica, followed by Y. aldovae (11 strains), Y. pseudotuberculosis (5 strains), Y. frederiksenii (3 strains), unclassified Yersinia spp. (5 strains). Yersinia spp. were highest isolated from Nowon-Gu (22 samples asd Bukhan Mountain Park isolated(18 samples). We tested 1.186 samples for SPC and colifrom from 1996 to 1998. of these tests, the positive rate of coliform was 23.6%, SPC, 9.1%, and either coliform of SPC positive 27.1%. The positive rates of coliform and SPC were decreased 26.7%, 12.7% in 1996, 25.8%, 6.3% in 1997 and 18.1%, 7.6% in 1998 , rerspectively. Of Y. enterocolitica, 78% was resistant to ampicillin and carbenicillin. In the case of Y. aldovae, only 3 of 11 isolated were resistant to carbenicillin. Y. pseudotuberculosis were resistant to colistin. Also Y. frederiksenii to carbenicillin. There were many spring waters of Y. enterocolitical isolated from Nowon-Gu and Buk-han Mountain Park. So, it needs to clean the environment of those regions.

  • PDF

광주지역 먹는물 공동시설의 미생물 특성 및 분포조사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Public Drinking Water Facilities in Gwangju City)

  • 박주현;김선정;이윤국;김난희;강유미;배석진;김종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2-19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indicator bacteria in drinking spring water samples in Gwangju City and to identify their genus using the VITEK-II system. Methods: The subjects were ten drinking spring water sites in Gwangju. Samples of spring water were taken every month from September 2019 to August 2020. We analyzed for the indicator bacteria Yersinia and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pring water. Res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n indicator bacteria, general bacteria in st1-st7 with sterilization facilities in the spring and summer were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0-2 CFU/mL and 0-12 CFU/mL. In st9, where a sterilization facility was not installed, the most general bacteria were detected (160 CFU/mL).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showed unsatisfied rates of 16.7 and 11.1% in spring and 14.7 and 11.8% in summer, respectively. The unsatisfied rates of total coliform for the designated and non-designated spring water facilities were 3.8 and 47.1%, respectively, and for the fecal coliform group they were 2.5 and 35.3%. The differenc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terilization facility. Yersinia spp. was not detected in all drinking spring water. Forty-one strains in 25 species were isolated from ten sites. The results classified as major dominant species are Pseudomonas spp. 14.6%, Pantoea spp. 9.8%, Serratia spp. 9.8%, Acinetobacter spp. 9.8%, Citrobacter spp. 7.3%, Bordetella spp. 7.3%, Delftia spp. 4.9%, and Enterobacter spp. 4.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that various species derived from fecal pollution and artificial pollutants were detected in the non-specified public spring water facilities that many people use, the facilities need institutional complements such as continuous management or complete shutdowns.

Microbial Evaluation of Commercially Packed Kimchi Products

  • Kwon, Eun-A;Kim, Myung-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15-620
    • /
    • 2007
  • Commercially packed kimchi products from 6 different manufacturers, which are exported overseas as well as sold domestically,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microorganism distributions and presence of pathogenic bacteria. All samples showed decreasing pH levels (from 5.7-6.2 to 3.9-4.3) and increasing titratable acidities (from 0.3-0.4 to 0.8-1.2%) during 15 days of storage at $4^{\circ}C$. Total bacterial counts ranged from $2.1{\times}10^5-1.9{\times}10^6\;CFU/mL$ in the initial kimchi samples, and then increased to $1.1{\times}10^8-1.8{\times}10^9\;CFU/mL$. The coliform numbers decreased from approximately $2.5{\times}10^2-1.7{\times}10^4\;CFU/mL$ to zero. Major foodborne pathogens such a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Yersinia enterocolitica, and Shigell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However, 2 out of the 6 samples carried E. coli, emphasizing the need for improved hygiene practice. Interestingly, Hafnia alvei, belonging to the Enterobacteriaceae family, was isolated in all of the samples. Further study is needed on this newly reported bacterium in kimchi.

울산지역 재래시장 및 대형 할인점 유통 반찬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ide Dishes sold at Traditional Market and Super Market in Ulsan)

  • 최정환;박주영;임은경;최명규;김종수;최길배;정수근;함유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7-9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의 재래시장 및 대형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즉석 반찬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여 이들 반찬류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재래시장(2곳), 대형할인점(2곳) 총 4곳에서 구입한 반찬류 4종 20품목 200건에 대해 위생지표세균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과 식중독 원인균인 $Salmonella$ spp., $Shig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Yersinia$ $enterocolitica$,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Camphylobacter$ $jejuni$, Pathogenic $E.$ $coli$를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의 평균 검출량 (범위)는 재래시장이 4.75 log CFU/g (1.60~6.92 log CFU/g), 대형할인점이 4.62 log CFU/g(2.00~6.46 log CFU/g) 수준으로 구입 장소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대장균군의 검출건수(검출률)는 재래시장이 총 64건(64%) 으로, 젓갈류와 절임류가 각각 20건(80%), 조림류 13건(52%), 생채류 11건(44%)의 순을 나타내었다. 대형할인점은 66건(66%)이 검출되었고, 젓갈류와 조림류 19건(76%), 절임류 18건(72%), 생채류 10건(40%)의 순을 보여 재래시장과 마찬가지로 생채류가 낮은 검출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평균 검출량은 재래시장과 대형할인점 모두 생채류가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장균은 재래시장에서 오징어젓갈 (젓갈류) 1건, 된장콩잎 (절임류) 2건, 깻잎장아찌 (절임류) 1건 등 4건(4%)에서 검출되었고, 생채류와 조림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대형할인점은 생마늘쫑 (생채류) 1건, 고들빼기 (절임류) 1건, 된장콩잎 (절임류) 2건, 깻잎장아찌 (절임류) 2건 등 6건(6%)에서 검출되었고, 젓갈류와 조림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균 검사결과, $B.$ $cereus$$L.$ $monocytogenes$는 재래시장에서 각각 1건(생채류 1건, 젓갈류 1건)이, $B.$ $cereus$는 대형할인점에서 4건(생채류 1건, 절임류 1건, 조림류 2건)이 확인되었으며 $Salmonella$ spp., $Shig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Y.$ $enterocolitica$, Pathogenic $E.$ $coli$, $C.$ $jejuni$ 등 나머지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반찬류의 안전성은 위생지표세균 측면에서는 절임류, 젓갈류, 조림류가 (특히 절임류), 식중독균 측면에서는 생채류와 젓갈류가, 그리고 대형할인점이 재래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이에 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시판 반찬류의 미생물적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조단계, 유통단계, 판매단계에 이르기까지 안전을 위한 총체적인 관리방안의 수립과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비가열 섭취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 정승혜;허명제;주정화;김경애;오성숙;고종명;김용희;임정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0-257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잎채소의 미생물 오염을 평가하는 것이다. 신선한 채소에서 미생물 오염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 및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Escherichia coli, Eschey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와 같은 식중독균을 검사하였다. 또한 총호기성균수와 대장균군수를 일반 소비자들에 의해 행해지는 수돗물 세척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세척전후로 검사하였다. 깻잎, 미나리, 배추, 부추, 상추, 쑥갓, 참나물, 치커리의 8종류의 야채 124건을 인천 도매시장에서 채취하였다 야채 각각에 대해 총호기성균의 평균은 $2.2\times10^6\;CFU/g$부터 $6.0\times10^7\;CFU/g$이고, 총대장균군은 $4.1\times10^5\;CFU/g$부터 $9.8\times10^6\;CFU/g$으로 나타났다. 두가지 모두 3월부터 9월의 기간 중 여름철에 최고수치를 보였다. 수돗물로 세척한 후 감소율은 총호기성균은 81.0%이고 대장균군은 82.5%이었다. 식중독균은 Staphylococcus aureus 8.1%, Bacillus cereus 14.5%, Clostridium perfringens 5.6%, Escherichia coli 18.5%로 검출되었다. 이 중에서 11가지 검체에서는 두가지 균이 검출되었다. 각각의 야채에 대해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최고 검출율과 최저 검출율이 0.0% 에서 22.2%, Bacillus cereus가 0.0%에서 29.4%, Clostridium perfringens는 0.0%에서 23.1%, Escherichia coli는 0.0%에서 35.0%로 검출되었다.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Campylobacter jejuni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신선한 야채에서의 병원체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충남지역 지하수에서 분리한 총대장균군 양성시료 중 수인성 병원균의 분석 (Analysis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among Total Coliform Positive Samples in the Groundwater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유정호;왕창근;신인철;김동욱;박귀성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9-195
    • /
    • 2016
  • Objectives: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groundwater, it was confirmed whether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in groundwater samples tested positive for total coliforms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region. Methods: Total colony count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process mandated by the drinking water quality testing standards of Korea. DNA was extracted from the samples, tested positive for total coliforms, and then subjected to real-time PCR to detect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Results: A total of 115 samples were inadequate for drinking water. Thirty-one cases (27%) showed positive for fecal coliforms and nine cases (7.8%) showed total colony counts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s. Twenty-seven cases (23.5%) showed three items (total colony count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Using the real-time PCR method, waterborne pathogens were detected in 57 cases (49.6%) in 115 samples. Seventy-eight cases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cluding duplications): 27 cases of pathogenic E. coli (EPEC (19), ETEC (5), EHEC (1), EAEC (1) and EIEC (1)); 45 of Bacillus cereus; two of Yersinia spp.; two of Salmonella spp.; one of Staphylococcus aureus; one of Clostridium perfringens. Conclusion: The real-time PCR method can offer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this assay could b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ulture methods and can further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groundwater.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Kimchi and Its Ingredients

  • Lee, Ji-Hyun;Ha, Ji-Hyoung;Lee, Hae-Won;Lee, Jae Yong;Hwang, Ye-Seul;Lee, Hee Min;Kim, Sung Hyun;Kim, Su-Ji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4-10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김치 제조시 철저한 재료 세척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더불어 비가열 식품인 김치의 위생 안전성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내에서 유통되는 김치 원 부재료 200건의 세척 전과 후의 비교분석과 시판 김치 100건에 대하여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 및 대장균군을 모니터링 하였으며, 병원성 미생물 9종(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정성 정량, Staphylococcus aureus,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Campylobacter jejuni/coli, Yersinia enterocolitica, Salmonella spp., Vibrio parahaemolyticus, Listeria monocytogenes 정성)을 분석 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김치 원 부재료 및 완제품에서 일반세균은 1.4~9.0 log CFU/g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원 부재료 중 생강에서 8.8 log CFU/g, 완제품 중 총각김치에서 9.0 log CFU/g으로 일반세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장균군은 0.5~7.3 log CFU/g으로 확인되었으며, 생강에서 7.3 log CFU/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병원성 미생물 9종의 분석결과,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나머지 8종의 식중독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김치 원 부재료들의 세척공정 후 미생물 수는 일반세균수 0.2~3.2 log CFU/g, 대장균군 0.3~2.7 log CFU/g, Bacillus cereus 1.0~3.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김치 원 부재료의 세척 공정으로 미생물 오염도를 감소 시켰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김치 완제품의 위생 및 저장성 증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약수터 음용도구의 Bacillus cereus 분포 및 독소 특성 (Prevalence and Toxi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Drinking Cups in Spring)

  • 조아현;최하나;허단비;권순목;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56
    • /
    • 2017
  • 본 연구는 약수와 약수터 음용도구의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및 식중독세균 오염도를 평가하여 약수와 음용도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약수터 10곳의 약수와 약수터에 비치되어 있는 음용도구 34건을 실험대상으로 하였다. 약수의 경우 일반세균수는 평균 1.8 log CFU/mL 검출되었고 음용도구의 경우 평균 $4.7log\;CFU/100cm^2$ 검출되었다. 위생지표미생물인 대장균군의 경우 약수는 평균 1.2 log CFU/mL 검출되었고 음용도구는 평균 $1.7log\;CFU/100cm^2$ 검출되었다. B. cereus, S. aureus,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 V. parahaemolyticus, Y. enterocolitica를 실험한 결과 약수와 음용도구에서 Y. enterocolitica 등 6종의 식중독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B. cereus는 음용 도구 34건 중 5건 (14.7%) 검출되었다. 약수터 음용도구에서 분리된 B. cereus의 주요 설사독소 유전자는 nheA와 entFM로 나타났다. B. cereus 5균주는 모두 NHE 설사 독소를 생산하였으나 HBL은 2균주에서만 검출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결과 oxacillin 등 ${\beta}-lactam$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었다. 약수터 음용도구의 미생물 오염도와 분리된 B. cereus의 독소 유전자 및 독소 단백질 생산능을 분석한 결과 약수터에 비치된 음용도구에 의한 식중독 위험성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다중이 사용하는 약수터 음용도구의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하며 위생관리가 곤란할 경우 개인 컵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음용도구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의 미생물 품질분석과 위해세균 모니터링 (Microbiological Quality and Potential Pathogen Monitoring for Powdered Infant Formulas from the Local Market)

  • 황지연;이지연;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55-561
    • /
    • 2008
  •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고 있는 영유아용 분말 조제분유 99제품을 수집하여 일반세균, 대장균군, FAO/WHO Category A, B, C 위해세균 분류에 따른 오염현황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총 99개의 제품 중 92개의 제품에서 검출(93%)되었으며 $1.83{\pm}0.68\;Log\;CFU/g$의 분포를 보였다. 최고 $4.5\;Log\;CFU/g$가 검출된 한 제품을 제외하고는 조제분유의 총균수의 기준규격에 적합하였다. 대장균군은 조제분유 대장균군의 기준규격이 음성인 것에 비해 99개의 제품 중 12개의 제품에서 검출(12%)되었으며 $1.26{\pm}1.03\;\log\;MPN/g$의 분포를 보였다. 대장균은 한 제품에서 0.48 log MPN/g으로 검출되었다. Category A 세균인 Salmonella와 En. sakazakii의 오염도 분석 결과 총 99개의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Category B group인 세균 중에서 장내세균은 99개의 제품 중 25개의 제품에서 검출(25%)되었고 오염수준은 $0.83{\pm}1.37\;\log\;MPN/g$으로 나타났다. 검출된 Category B group 세균들로는 Escherichia vulneris, Es. hermannii, Pantoea spp., Citrobacter koseri, Klebsiella pneumoniae, Enterobacter cloaceae 등이었다. Category C세균의 오염은 Bacillus cereus가 조제분유 99개의 제품 중에서 29개의 제품이 검출(29%)되어 비교적 높은 오염도를 보였지만 오염수준은 $0.69{\pm}0.32\;\log\;MPN/g$으로서 B. cereus의 국내 기준규격에 모두 적합하였다. 그 외의 Category C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국내 유통 조제분유의 주요 위해세균의 대한 미생물 오염정도가 낮아 미생물 기준 규격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Category B의 장내세균은 높은 검출율을 보였고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균들이 확인되어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비살균식품인 조제분유의 특성상 잠재적인 위해세균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그에 대한 안전성 확보에 능동적 자세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