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su Sea Bay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1초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가스함유 표층퇴적물의 3.5kHz 탄성파 영상 (3.5kHz seismic images of the gas-charged shallow sediment at Kwangyang Bay and the Yeosu Soun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오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239-246
    • /
    • 2000
  • The 3.5kHz sub-bottom profiling was carried out over both Gwangyang Bay and the Yeo Sound . High -resolution digital images of uppermost sediment layers are obtained from the field data which were originally recorded in analog mode. Most prominent feature along the acoustic profiles is the chaotic reflections which imply the presence of shallow gas within the silty sediments. I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the gas-charged sediments are assoicated with the acoustic turbidity of the blanket type. Across the Seomjin Delta in the eastern part of Gwangyang Bay, the gas-charged seismic facies are observed just beneath the sea bottom. In the western Yeoul Sound , the gassy seiments occur widely , whereas it is rare in the eastern counterpart with the <30-m-deep channel. We postulate that this gas was biogenetically produced within the organic-rich deposits.

  • PDF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요식업 유니폼 디자인 개발 -여수, 순천 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Restaurant Uniforms Designed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Focused on Yeosu & Suncheon-City)

  • 나현숙;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2호
    • /
    • pp.119-13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design and develop restaurant uniforms for Yeosu and Suncheon-Cit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situation of restaurant uniform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research on uniform designs. The practical research included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recent uniform designs of 60 spots in both cities and the preferenc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finally suggesting eight restaurant uniform designs and four original samples. It was found that most workers in both cities wore shirts and pants or aprons as uniforms and also that the restaurant uniforms had many problems, such as poor designs, functionality, and the lack of lo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se results, a design concept called 'Colorful Night Sea' was built for Yeosu using a design motive of a Yeosu Expo symbol, a Big-O Show shape, and Dolsan Gat flowers. For Suncheon-city, a design concept called 'A Rural Landscape' was built using a design motive of Nagan Eupseong and a field of reeds in Suncheon Bay. The restaurant uniform items included a top (shirt or blouse), pants, apron, and headdress in both c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elped improve the local image and economic situation, by proposing distinct uniforms designed by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수치실험을 이용한 남해 중부 연안의 하계 수온 분포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Summer Water Temperatures of the Central Coast of the Southern Sea of Korea Using Numerical Experimentation)

  • 최민호;서호산;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3-90
    • /
    • 2017
  • 본 연구는 해수유동모델을 이용하여 하계 한국 남해안 양식장 부근에서 수온의 시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였다. 한국 남해 조류의 흐름은 창조시 서향, 낙조시 동향하며, 쓰시마 난류의 흐름은 50 m보다 깊어지는 외양에서 연안에 비해 강하게 동북향 하였다. 조류, 바람, 쓰시마 난류 및 실시간 수온을 고려한 해수유동에서 하계 수온의 분포는 반폐쇄성 해역에서 $26{\sim}28^{\circ}C$로 높게 나타났으며, 외양으로 갈수록 낮아져 $18{\sim}22^{\circ}C$로 나타났다. 반폐쇄성 내만의 형태를 가지는 해역의 해수교환량을 계산한 결과 광양만 $10,331m^3/sec$, 여수-가막만 $16,935m^3/sec$, 그리고 거제-한산만은 $13,454m^3/sec$로 나타났다. 해수교환량이 적은 해역일수록 수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여수해만 특정해역의 해상교통시스템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posal of the Improved Marine Traffic System for Special Sea Area on Yeosu Bay)

  • 정재용;김철승;정중식;박성현;정대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12
    • /
    • 2005
  • 여수해만의 교통안전특정해역은 1988년에 설정된 이후 선박 입항 척수 및 톤수가 크게 변하는 등 해상교통환경 급격하게 변화된 것에도 불구하고, 통항분리가 되지 않은 채 흘수제약선의 깊은수심항로만 지정되어 있고 흘수제약선 이외의 통항선박들에 대한 항로체계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여수해만 입구의 A, B, C, W 묘박지에서 항로로 진입하는 선박과 조업어선 등의 무질서한 운항으로 통항선박의 안전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수해만 특정해역에 대하여 장래의 교통여건까지 고려하여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등 해양사고 예방을 위한 종합적인 해상교통체계 설정에 목적이 있다.

  • PDF

남해안 상괭이(Finless porpoise)의 분포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Distribution in the South Sea of Korea)

  • 최석관;박겸준;김현우;이영란;박지은;문대연;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65-669
    • /
    • 2010
  • To confirm the distributon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the South Sea of Korea, data on bycatch, stranding, and drifting of finless porpoises from 1999 to 2009 were used and a sight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R/V Tamgu No. 9 and 10 in June and November, 2009 and March, 2010. The total number of bycaught, stranded, and drifting finless porpoises was 607, with position being known for 186 of these. At the center of Yeosu, there were few position data on bycaught, stranded, and drifting finless porpoises, and data could not confirm the distribution of finless porpoises. Thus, there were limits on the usefulness of bycaught, stranded, and drifting data for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finless porpoises. In the three sighting surveys, the sighting rate was highest at 0.231 ind./n.m. in the western South Sea in June, 2009. Sighting rate was less than 0.1 ind./n.m. in November, 2009 and March, 2010. This is likely to be due to seasonal migration in western South Sea. All sighting rates in the eastern South Sea were over 0.13 ind./n.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ighting survey, finless porpoises are distributed around the islands and inner bay along the path of the research vessel in the South Sea. There were numerous finless porpoises in the offshore areas of Mokpo, Yeosu, Tongyeong, Dadaepo, and Gaduk-do.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part of a future abundance assessment of finless porpoise in the South Sea of Korea.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는 해역에서 호우에 의한 담수 유입 범위와 질소, 인의 농도변동 (Horizontal Distributions of Salinity and the Concentrations of DIN and DIP After Heavy Rainfall Events in Area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Occurrence)

  • 이영식;임월애;이삼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1119-1125
    • /
    • 2007
  • We examined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he concentrations of DIN and DIP after heavy rain-fall events in coastal areas of South Korea from Yeoja Bay to Narodo and from Gwangyang Bay to Geomodo to determine whether fresh water actually flows into area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s and to observe its effect on the growth of this organism after heavy rainfall. Following heavy rainfall (155 mm) in the Yeosu and Suncheon regions, the average salinity was 21 and 29 psu at Yeoja Bay and in the coastal waters of Narodo, respectively. After 126 mm of rainfall, the values were 19 and 25 psu in the coastal waters of Yeosu and Geomodo, respectively. This may have been caused by an influx of fresh water, after the rainfall event, into the open sea coastal areas around Narodo and Geomodo from the Dong and Seomjin Rivers, which are about 3540 km away. After the rainfall, the concentrations of $NH_4-N,\;NO_2-N$, and $PO_4-P$ were slightly increased;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NO_3-N$ was greatly increased and diffused throughout the coastal areas of Narodo and Geomodo, which frequently experience C. polykrikoides blooms. The influence of $NH_4-N,\;NO_2-N$, and $PO_4-P$ on the occurrence of C. polykrikoidesred tides in coastal areas around Narodo and Geomodo after heavy rainfall does not appear to be great. Instead, the occurrence C. polykrikoides red tides in the coastal areas of Narodo and Geomodo seems to be facilitated by $NO_3-N$.

2004-2006년 6-10월 동안의 남해중부연안 해역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생태 (Marine Environmen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in Southern Coastal Waters During June to October in 2004-2006)

  • 조은섭;이상용;김상수;최윤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941-957
    • /
    • 2007
  • 이 연구는 남해안 중부해역의 여름철 전 후 단계를 나누어서 6월부터 10월까지의 2004-2006년 장기간 해양환경 모니터링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를 파악함과 아울러, Cochlodinium 적조발생에 관한 해석에 이용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해역은 득량만, 고흥연안, 여자만, 가막만, 광양만, 여수연안, 남해연안으로 총 16개 정점이다. 수온은 $19-29^{\circ}C$ 범위로 여름철 여자만에서 두 정점 모두 가장 높은 $29^{\circ}C,\;27^{\circ}C$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8월을 제외한 6월, 7월, 9월, 10월에는 조사정점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염분도는 7월과 8월에 여자만과 광양만에서 다른 조사해역에 비하여 약 5-6 정도 낮은 25-27를 나타내었다. 클로로필의 경우도 7월과 8월에 각 조사해역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광양만은 최고 5배 정도 많은 $15{\mu}gl^{-1}$까지 보였다. 투명도는 수온, 염분도, 클로로필과 다르게 조사기간 동안 해역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수준인 2-5m 정도로 보여주고 있다. 용존무기질소도 조사해역 중 광양만의 경우 7월과 8월에 가장 높은 $0.53mgl^{-1}$까지 보여 10배 정도까지 차이를 보였으나, 용존무기인 상대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용존무기질소와 클로로필의 관계를 보면 7월에는 임의 상관성을 보여 클로로필의 증가에 따른 용존무기질소가 급속히 소모됨을 알 수 있지만, 8월에는 거의 오히려 양의 상관성을 보여주고 있다. 식물플랑크톤의 평균 세포수는 7월과 8월에 500 cells $ml^{-1}$까지 나타내었고, 대부분 규조류의 비율이 60% 이상 출현되었으나, 8월에 와편모조류의 점유율이 20-30%까지 보였다. 우점종으로는 Skeletonema costatum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전 해역에 걸쳐 가장 많이 출현되었다. 각 해역별에 출현하는 식물 플라크톤의 집괴분석에 따르면 상호 혼잡되어 분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여름철에 가장 큰 해양환경 변화를 보였고, 식물플랑크톤 중 S. costatum은 남해연안의 대표적인 기초생산 종으로 간주된다. 특히 여름철 Cochlodinium 적조는 득량, 가막, 고흥, 여수, 남해해역에서 3년 동안 계속해서 발생된 반면, 여자만과 광양만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뚜렷한 차이점은 용존무기질소 Cochlodinium 적조 형성을 위한 요구량은 수중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기보다는, 미량이라도 충분히 적조를 유발시키고, 외해역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뒷받침을 하고 있다.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최동림;현상민;이태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1호
    • /
    • pp.35-43
    • /
    • 2003
  • 수심도, 표층퇴적물. 그리고 탄성파 자료들을 이용하여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와 후기 제4기 퇴적층의 발달양상을 연구하였다. 최근 30년 동안 광양만의 해안선은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해안지역 매립으로 급격히 변하였으며 광양만 면적은 현재 25%정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광양만내 항로지역의 해저퇴적물 준설로 인해 해저지형이 변화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 서측지역에 뻘질퇴적물이 분포하는 반면, 모래질뻘 퇴적물은 동측지역에 분포한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광양만의 퇴적층은 기반암위에 2개의 퇴적층서, Unit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퇴적층서는 중간반사면(reflector-M)에 의해 부정합적으로 경계된다. 하부의 Unit II층서는 광양만의 수로지역에 집중 분포하며, 저해수면 동안 쌓인 하천기원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상부 Unit I층서는 섬진강하구에서 여수해협을 향해 전진하는 퇴적양상을 보인다. 이 층은 빙기 이후 흘로세 고해수준 동안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특히 천부가스층이 퇴적층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일부지역에서는 준설로 인해 해저면에 노출된다.

라그랑지안 입자확산모델을 이용한 광양만 권역에서의 공기괴 재순환현상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for Recirculation of Air Mass in the Coastal Region Using Lagrangian Particle Dispersion Model)

  • 이화운;이현미;이순환;최현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7-170
    • /
    • 2010
  • Air mass recirculation is a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coastal area as a result of the land-sea breeze circulation. This study simulates the recirculation of air mass over the Gwangyang Bay using WRF-FLEXPART and offers a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 domain size that can reflect recirculation. For this purpose, WRF is set up four nested domains and three cases are selected. Subsequently FLEXPART is operated on the basis of WRF output. During the clear summer days with weak wind speed, particles that emitted from Yeosu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Gwangyang iron works flow into emission sources because of the land-sea breeze. When land-sea breeze is strengthen, the recirculation phenomena appears clearly. However particles aren't recirculated under weak synoptic condition. Also plume trajectory is analyzed and as a consequence, the smallest domain area have to be multiplied by 1.3 to understand recirculated dispersion pattern of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