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hwa min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7초

On the Occurrences of Pyrrhotite from the Yeonhwa 1 Mine, Korea

  • Chung, Jae-Il;Lee, Young-Up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6-45
    • /
    • 2003
  • This study is made fo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zinc deposition from the mineralogy of pyrrhotite at the Yeonhwa 1 Mine, Korea. The pyrrhotite of the Yeonhwa 1 mine is divided two species; the pynhotites I and II. The pyrrhotite I that represents the product in Stage II mineralization is characterized by hexagonal pyrrhotite occurring as the mechanical mixtures of hexagonal and monoclinic phases with various proportion. These mixtures might be formed from 'primary' hexagonal pyrrhotite by the subsequent retrograde reaction and/or by the influence of later mineralization in Stage III. Whereas the pyrrhotite II crystallized out in later Mineralization Stage III (hydrothermal stage) is always monoclinic variant with ferromagnetic properties; no two phase mixtures have been recognized.

연화 및 장군 연-아연 광상의 Pb 동위원소 조성 및 Pb의 근원: 선캠브리아 기저 지각 및 중생대 화성암의 역할 (Pb Isotopic Composition of Yeonhwa and Janggun Pb-Zn Ore Deposits and Origin of Pb: Role of Precambrian Crustal Basement and Mesozoic Igneous Rocks)

  • 박계헌;장호완
    • 암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1-148
    • /
    • 2005
  • 연화, 장군 및 울진 Pb-Zn 광상에서 산출되는 납의 근원을 규명하기 위하여 방연석과 황철석 등의 황화광물과 주변의 석회암, 관입암 및 기반암 등에 대해 납 동위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206}Pb/^{204}Pb-^{207}Pb/^{204}Pb$ 그림에서 연화광산의 방연석들은 비교적 잘 정의되는 정(+)의 기울기를 갖는 직선 배열을 보이며, 한반도 선캠브리아 기저지각과 유사한 변화를 보인다. 울진광산의 방연석, 장군석회암 및 주변의 기저암체 역시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을 따른다. 그러나 연화광산에 비해 $^{206}Pb/^{204}Pb$값이 낮은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은 연화광산의 변화경향으로부터 $^{207}Pb/^{204}Pb$ 값이 낮은 쪽으로 벗어난다. 경상분지 내에서 산출되는 중생대 화성암 및 광상들이 한반도의 기저암체들에 비해 훨씬 낮은 $^{207}Pb/^{204}Pb$ 값을 가지는 것을 참조할 때, 장군광산의 광석광물들이 보이는 변화는 기저암체의 오래된 지각물질로부터 용출된 납과 중생대 화성암들이 갖고 있던 보다 맨틀성분이 많이 포함된 납의 혼합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선캠브리아 기저지각의 변화경향을 비교적 잘 따르는 연화광산과 울진광산의 광석들에 포함된 납은 대부분 오래된 기저암체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이나, 기저암체의 변화구역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고려할 때 중성대 화성암 기원의 납이 일정비율로 포함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연화광산(蓮花鑛山)의 지질광상(地質鑛床) (Geology and Ore Deposits of Yeonhwa Mine)

  • 한갑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2권3호
    • /
    • pp.47-57
    • /
    • 1969
  • The Yeonhwa Lead and Zinc Mine is located in northern part of Kyeongsang-Buk-Do, Korea, and is economically most important mine because it produces most part of the output of lead and zinc minerals in the country. Ore deposits of the mine are localized in the Pungchon Formation and several limestone seams of upper Myobong Formation in Cambrian Age. Ore solution ascended along the fractures of N-S, NE-SW or NW-SE trends and along slate and limestone boundary, and then replaced selectively limestone to make ore bodies. Skarn minerals are consisted of hedenbergite, diopside, and main sulfide mineral orebodies are composed of galena, zincblende, pyrrhotite, pyrite and a minor amounts of arsenopyrite and chalcopyrite. Metal ratio, ${\rho}_{Pb}={\frac{Pb(%)}{Pb(%)+Zn(%)}}{\times}100$, illustrates the zona I arrangements of some ore bodies. It will be inferred the flow trending of ore solution and the process reaction with adjacent country rocks. The sub-divided formations of the Pungchon limestone and Myobong slate are very useful as a criteria for detecting probable ore location. Rhodochrosite veins are good evidence for searching of ore location, especially on Pb-rich ore bodies.

  • PDF

제이연화광산(第二蓮花鑛山)의 지질광상(地質鑛床)에 대(對)하여 (Geologic Report of the Second Yeonhwa Mine, Kangwon Province, Korea)

  • 한갑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5권4호
    • /
    • pp.211-217
    • /
    • 1972
  • The Second Yeon Hwa Mine which belongs to a so called Lead-Zines Belt Area in the central east Korea is located at about 10 km northeast of the Seogpo railway station on Yeongdong Line. The exploitation of the mine started in June, 1969 and furnished the machinary ore dressing plant in November, 1971. The current monthly production of rude ore is 15,000 meteric ton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lead-zinc-copper deposits of the Second Yeonhwa mine are summerized as follows: (1) main ore deposits of the mine are localized in the Pungchon Limestion formation of Cambrian age, (2) related ingneous rock with ore deposits is granite porphyry, which distributed in NS and $N50^{\circ}W$ trend, (3) ore solution ascended along the $N50^{\circ}W$ trend which represents folding axis and fault plane and mineralized selectively in the limestone formation. (4) high grade ore deposits are localized in concave and convex boundaries of granite porphyry, and hanging walls of shale bed ($P_2S$ shale bed) in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and (5) skarn minerals are consisted of garnet, hedenbergite, diopside, and sulfide minerals are composed of zincblenede, galena, phyrhotite, pyrite and some amount of chalcopyrite and arsenopyrite.

  • PDF

제 1 연화광산에서 산출되는 Ag-Sb계의 광물 (Ag-Sb Minerals from the Yeonhwa 1 Mine)

  • 정재일;김형수;전서령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41-146
    • /
    • 1991
  • Minerals of system Ag-Sb have been found in iead-zinc (-silver) ores from the Dongjeom and the Taebaeg ore deposits, which were formed at later stage of the Yeonhwa 1 mine mineralization. The Ag-Sb minerals are intergrown intimately with galena, pyrargyrite and alabandite. Their chemical compositions as determined by electron microprobe analyser show that they are ch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content of S, up to 5.89 atomic percent. Also the composition of the minerals may be separated into two: Ag3.89 Sb1.00-Ag7.19 Sb1.00 and Ag2.96 Sb1.00-Ag4.00 Sb1.00.

  • PDF

태백산지구(太白山地區)의 금속광상(金屬鑛床)에 대(對)한 유황(硫黃) 및 탄소안정동위체(炭素安定同位體)에 관(關)한 연구(硏究) (Sulfur and Carbon Isotope Studies of Principal Metallic Deposits in the Metallogenic Province of the Taebaeg Mt. Region, Korea)

  • 이문성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3호
    • /
    • pp.247-251
    • /
    • 1985
  • The sulfide and carbonate mineral samples for sulfur and carbon isotope studies were collected from Sangdong, Geodo, Yeonhwa, Shinyemi and Janggun mines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Metallogenetic Province of the Taebaeg Mt. Region. The ${\delta}S^{34}$ values of molybdenite, pyrite, arsenopyrite, pyrrhotite, chalcopyrite, sphalerite and galena from the above mines are similar and within the range of +1.66 to +6.77‰ with the exception of chalcopyrite from Geodo mine ranging from -1.58 to 1.96‰, while the sulfide minerals are dominated by positive values between +3.05 and +5.08‰. It is suggested that the major sulfur source is genetically related to the Cretaceous granitic activity. The average ${\delta}C^{13}$ values of calcite from limestone, calcite from calcite vein in ore bodies and granite, and rhodochrosite from ore bodies are -0.60‰, -2.69‰ and -6.00‰, respectively. The data on carbon isotope compositions indicate that the calcite from limestone originated in marine environment, the rhodochrosite in hydrothermal solution, and calcite from calcite vein and granite in the mixing condition of marine and hydrothermal waters. The temperatures of mineralization by the sulfur isotopic composition coexisting pyrite-pyrrhotite from Yeonhwa No.1, sphalerite-galena from Weolam and Dong-jeom of Yeonhwa No.1 mine, sphalerite-galena and pyrite-galena from Janggun mine were $273^{\circ}C$, $460{\sim}511^{\circ}C$, $561{\sim}690^{\circ}C$, $341^{\circ}C$ and $375^{\circ}C$, respectively.

  • PDF

석회석을 활용한 광미와 폐석의 Cd, Cu, Pb 및 Zn의 제거

  • 지한구;정명채;정문영;최연왕;이문현;이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0-23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stabilized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cluding Cd, Cu, Pb and Zn using slaked lime. Tailings from the Janggun Pb-Zn mine, the second Yeonhwa Pb-Zn mine, the Jisi Au-Ag mine and the Sangdong W mine were sampled and measured heavy metal concentrations contents using AAS as various extraction methods. During 156 hours, column test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tabilization by slaked lime. The result shows that $Ca(OH)_2$ has a good efficiency in heavy metal stabilization, especially at the Jisi mine with stabilized efficiencies of 97%(Cd), 99%(Cu), 86%(Pb) and 99%(Zn), respectively.

  • PDF

제 1 연화광산에서 산출되는 황석석의 산출상태와 생성환경 (Mode of Occurrences and Depositional Conditions of Stannite from the Yeonhwa 1 Mine)

  • 정재일
    • 자원환경지질
    • /
    • 제26권3호
    • /
    • pp.279-287
    • /
    • 1993
  • 제 1 연화 광산에서 산출되는 황석석은 생성 시기를 기준으로 하면 비교적 이른 시기 (Stage I)에 산출된 황석석 I (Stannite I)과 늦은 시기 (Stage II)의 황석석 II (Stannite Il)로 나눌 수 있으며 산출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섬아연석과 밀접히 공생하는 황석석 1 (Stannite 1)과 방연석과 밀접히 공생하는 황석석 2 (Stannite 2)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황석석 1은 황석석 I이 황석석 2는 황석석 II가 우세한 경향이 있다. 황석석-섬아연석 지질온도계를 이용하면 생성 온도는 $280{\sim}350^{\circ}C$ 이며 유황의 분압은 $10^{-11}{\sim}10^{-8}$ atm.으로 추정된다.

  • PDF

강원도 폐금속광산지역의 광미와 주변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오염도 평가 (Assessment of Pollution Level and Contamination Status on Mine Tailings and Soil in the Vicinity of Disused Metal Mines in Kangwon Province)

  • 김정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26-6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내 4개의 폐금속광산에서 발생되는 광미와 주변 토양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광미와 주변 토양의 오염정도는 총 중금속농도 기준으로 원동>제2연화>신예미${\fallingdotseq}$상동 순이었으며, 이들 광미는 배경토양 및 Kloke 값보다 각각 $1.2{\sim}78.2$$1.1{\sim}80.6$배가 높은 농도로서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고 있었다. 광미내 대다수 중금속의 화합물형태는 잔류성이 대부분이었다. 비잔류형태 화합물에서는 상당부분이 환원성과 산화성이어서 장기간에 걸쳐 산화환경조건에 따라 중금속이 유출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제2연화의 Cd은 교환성과 탄산염 화합물이 쉽게 유출되어 단기간에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토양오염기준치의 초과여부 검토결과 많은 시료에서 토양환경보전법의 우려기준 및 대책기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처리대책이 필요하였다. PI에 의한 오염도평가에서는 4개의 광산지역 모두 1.0 이상보다 훨씬 높아 오염정도가 심각하였으며 복원시 최우선 광산은 원동이었다. 또한, DI에 의한 복원수준정도 평가결과에서 원동광산은 단기간에 유출 가능한 교환성부터, 나머지 광산은 중 장기간에 걸쳐 유출되는 환원성부터 우선적으로 제거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제 1 연화광산에서 산출되는 프라이버자이트 (Freibergite from the Yeonhwa 1 Mine)

  • 정재일;이영엽;이광식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1-90
    • /
    • 1994
  • 연화 광산 동점 및 묘봉 광체에서 산출되는 프라이버자이트는 후기 광화 시기에 방연석, 피라지라이트, 황철석, 자철석, 알라반다이트, 함망간, 자철석, 섬아연석, 황선석, 석영 등과 밀접하게 공존하고 있다. 화학조성을 보면 Ag가 최고 40.5 wt%까지 높은 함량을 보이고, Zn은 극소량 또는 microprobe의 측정 한계 이하이다. 어떤 입자들에서 Pb가 최고 1.70 wt% 함유되어 있다. 연화 프라이브자이트의 화학 조성상의 다소 고유한 특성은 Me12Sb4S13을 기준으로 할 때 S가 부족하고 Sb가 많이 포함되는 점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