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gdeok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초

계절 아리마 모형을 이용한 관광객 예측 -경북 영덕지역을 대상으로- (Forecasting of Yeongdeok Tourist by Seasonal ARIMA Model)

  • 손은호;박덕병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2호
    • /
    • pp.301-320
    • /
    • 2012
  • The study uses a seasonal ARIMA model to forecast the number of tourists of Yeongdeok in an uni-variable time series. The monthly data for time series were collected ranging from 2006 to 2011 with some variation between on-season and off-season tourists in Yeongdeok county. A total of 72 observat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orecast multiplicative seasonal ARIMA(1,0,0)$(0,1,1)_{12}$ model was found the most appropriate on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tourists was 10,974 thousands in 2012 and 13,465 thousands in 2013, It was suggested that the grasping forecast model is very important in respect of how experts in tourism development in Yeongdeok county, policy makers or planners would establish strategies to allocate service in Yeongdeok tourist destination and provide tourism facilities efficiently.

한반도 동남부 백악기 경상분지 내 영덕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Yeongdeok Fault in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SE Korea)

  • 서경한;하상민;이성준;강희철;손문
    • 암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71-193
    • /
    • 2019
  • 이번 연구는 영덕군 일원의 상세 지표조사를 통해 양산단층의 가지단층인 영덕단층의 내부 구조와 기하를 파악하고, 주변 퇴적층의 자세, 단층의 운동학적 자료와 단층암의 자기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영덕단층의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음영기복도에서 총 40 km의 연장을 보이는 영덕단층은 트라이아스기 영덕화강암, 백악기 퇴적암과 화산암을 절단하며 약 8.1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를 보인다. 주로 북북서 내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는 영덕단층은 영덕읍 화천리 이북에서 하나의 단층선으로 달리지만, 화천리 이남에서는 두 조의 단층대로 분기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들 두 조의 단층 중 서편의 것은 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과 북북서 방향의 단층분절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되는 반면, 동편의 것은 북북서 방향의 하나의 단층으로 연장되다가 영덕군 강구면에서 양산단층과 합쳐진다. 영덕단층은 대부분 지점에서 $65^{\circ}$ 이상의 고경사로 동쪽으로 경사하며, 2~15 m 폭의 단층핵과 최대 180 m 폭의 단층손상대를 가진다. 단층핵은 퇴적암류, 화산암류, 화강암 등 여러 모암으로부터 유래된 단층암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모암에 따라 뚜렷한 변형의 차이를 보인다. 화강암에서 유래된 단층핵은 주로 단층각력으로 구성되며, 10 cm 이내 폭의 단층비지대에 전단변형이 집중된다. 반면, 퇴적암에서 유래된 단층핵은 화강암의 것에 비해 두꺼우며 단층비지대와 각력대가 교호하거나 렌즈상의 모암을 단층비지대가 에워싸며 발달한다. 단층대와 인접한 퇴적층의 자세는 주 단층면과 가까워지면 단층면의 자세와 유사하게 고각으로 경동된다. 단층활면 및 전단단열에서 관찰된 운동 자료와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결과는 영덕단층이 북서-남동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북동-남서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으며,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 특성이 우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얻어진 영덕단층의 운동사를 기존 양산단층의 운동사와 비교해본 결과, 두 단층의 주향이 다소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악기 말의 북서-남동 방향 최대수평응력과 고제3기의 북동-남서 방향 최대수평응력 하에서 각각 좌수향과 우수향 주향이동의 동일한 감각으로 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의 스위트/슈퍼스위트 분류 (Granite Suite and Supersuite for the Triassic Granites in South Korea)

  • 좌용주;김종선;김건기
    • 암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6-236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화강암 스위트와 슈퍼스위트의 개념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을 대상으로 시공간적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화강암체들을 계층적으로 구분하였다. 옥천대(서부 영남육괴)의 트라이아스기 화강암 중에서 백록화강암과 점촌화강암은 하나의 백록 스위트로 지정되며, 청산 화강암은 청산스위트로 지정된다. 이 두 스위트는 근원물질의 유사성과 기재적 및 지구화학적 상이성 등으로부터 하나의 슈퍼스위트, 즉 백록 슈퍼스위트로 묶을 수 있다. 경상분지의 트라이아스기 화강암인 영덕화강암, 영해화강암, 청송화강암은 각각 독립적인 영덕 스위트, 영해 스위트, 청송 스위트로 지정된다. 이 세 스위트는 근원물질의 유사성과 기재적 및 지구화학적 상이성 등으로부터 하나의 슈퍼스위트, 즉 영덕 슈퍼스위트로 묶을 수 있다. 서부 영남육괴의 백록 슈퍼스위트와 경상분지의 영덕 슈퍼스위트는 Nd-Sr 동위원소 특징에서 아주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두 슈퍼스위트를 만든 화강암질 마그마의 근원물질이 서로 달랐음을 지시한다. 백록 슈퍼스위트는 그 근원물질이 영남육괴를 이루는 지각물질들 사이의 혼합으로 설명되는 반면, 영덕 슈퍼스위트의 근원물질은 결핍된 맨틀과 영남육괴 지각물질의 혼합으로 설명된다. 동시기 화성활동의 산물인 백록 슈퍼스위트와 영덕 슈퍼스위트에서 화강암질 마그마의 근원물질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마그마 생성의 장소가 지체구조적으로 상이하였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영덕군 병곡면의 단층 노두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ult Site at Byeonggok-myeon, Yeongdeok-gun, South Korea)

  • 신원정;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3-83
    • /
    • 2021
  •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Yangsan Fault, an active fault zone, has developed. Many earthquakes occur around these faults, and the possibility of earthquakes occurring along the branch faults is being discussed. On the other hand, the Yeongdeok Fault is reported in Yeongdeok-gun, which is the northern part of the Yangsan fault. In this study, goemorphic characteristics of a set faults found on the outcrop of the gentle slope of the coast of Byeonggok-myeon were analyzed and granulometric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s and other materials, including fault gouges were analyzed. The outcrop of Byeonggok-myeon is the part of the fault cor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ses fault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Mesozoic bedrock and the tertiary sedimentary layer of red sand-supported clasts are covered in several sedimentary units. The faults were normal fault sets, and a number of vertical cracks were developed, and glossy surfaces were observed in the fault area. It appears that these faults have occurred after alluvial deposition had been formed. In the case of samples from fault gouges, there were differences in particle siz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rom the surrounding area.

Uncertainty Analysis of Flash-flood Predic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GcIUH in the Yeongdeok Basin, Korea

  • Choi, Hyun;Chung, Yong-Hyun;Yoon, Hong-Jo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884-887
    • /
    • 2006
  • This paper focuses on minimizing flood damage in the Yeongdeok basin of South Korea by establishing a flood prediction model based on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remote sensing, and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cIUH) techniques. The GIS database for flash flood prediction was created using data from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soil maps, and Landsat satellite imagery. Flood prediction was based on the peak discharge calculated at the sub-basin scale using hydrogeomorphologic techniques and the threshold runoff value. Using the developed flash flood prediction model, rainfall conditions with the potential to cause flooding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cumulative rainfall for 20 minutes, considering rainfall duration, peak discharge, and flooding in the Yeongdeok basin.

  • PDF

경북 동부지역 소와 돼지에서의 톡소포자충 항체 조사 (Prevalence of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in cattle and pigs reared in eastern areas of Gyeongbuk province)

  • 서민구;장영술;이은미;박노찬;곽동미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1-13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TG) in cattle and pigs reared in eastern areas of Gyeongbuk province by ELISA. Among 368 sera collected from 119 cattle farms, 76 (20.7%) sera from 34 (28.6%) farms had antibodies to TG. Fifty (27.2%) out of 184 cattle in Uljin-gun and 26 (14.1%) out of 184 cattle in Yeongdeok-gun were positive. Pyeonghae (50.0%) in Uljin-gun and Dalsan (33.3%) in Yeongdeok-gun had the highest TG antibodies in cattle compared to other areas. Prevalence of TG antibodies in cattle was increased with age. Among 368 sera collected from 43 pig farms, 62 (16.8%) sera from 16 (37.2%) farms had antibodies to TG. Forty (21.7%) out of 184 pigs in Uljin-gun and 22 (12.0%) out of 184 pigs in Yeongdeok-gun were positive. Uljin and Puk (40.0%) in Uljin-gun and Yeonghae (33.3%) in Yeongdeok-gun had the highest TG antibodies in pigs compared to other areas. Prevalence of TG antibodies in sows was higher than that in fattening pigs. Seasonally, prevalence of TG antibodies in pigs was highest in summer (23.4%) and lowest in winter (12.5%). Based on these observations, data indicate that infection by the protozoan parasite TG is widely prevalent in cattle and pigs reared in eastern areas of Gyeongbuk province.

영덕 일대의 해성단구와 해면변동단구의 대비와 편년 (Correlation and Chronology of the Marine Terraces and Thalassostatic Terraces in the Yeongdeok Coast, South Eastern Korean Peninsula)

  • 최성길;장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1-96
    • /
    • 2019
  • The Yeongdeok 53m marine terrace (Y53mT), Y43mT, Y33mT, Y24mT, Y19mT and Y11mT distributed along the Yeongdeok coast,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re well compared with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f the high terrace 1 (ℓHT1 ; 51m of the relative heights from the river floor), high terrace 2 (ℓHT2 ; 43m), middle terrace 1 (ℓMT1 ; 32m), middle terrace 2 (ℓMT2 ; 25m), lower terrace 1 (ℓLT1 ; 18m) and lower terrace 2 (ℓLT2 ; 10m) respectively, developed along the lower reaches of the Chucksan-cheon and Obo-cheon rivers,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paleosols (red soils) between the above marine and thalassostatic terraces. Using the Y19mT of the MIS 5e as the key surface, we propose that the terraces of the Y53mT and ℓHT1, Y43mT and ℓHT2, T33mT and ℓMT1, Y24mT and ℓMT2, Y19mT and ℓLT1, and Y11mT and ℓLT2 have been formed at the MIS 11, 9, 7e and 7a (or 7a), 5e and 5a respectively. The red soils have been developed at the Y19mT and ℓLT1 and above them, but not on the Y11mT and ℓLT2 surfaces.

영덕단층 북부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Northern Part of Yeongdeok Fault)

  • 김광연;하상민;이성준;임보성;김민철;손문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55-72
    • /
    • 2023
  • 이번 연구는 영덕단층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세 지표지질조사에서 수집된 다양한 구조요소들의 기하와 운동학적 자료 그리고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영덕단층의 내부구조 그리고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덕단층은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와 기성면 방율리까지 연장되며, 4.6-5.0 km (평균 4.77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로 고원생대부터 중생대에 이르는 다양한 암종을 절단하거나 암상경계를 이룬다. 영덕단층은 4개의 기하학적 분절로 구분되며, 대부분 노두에서 남-북 내지 북북서 주향에 54° 이상 고각으로 동쪽으로 경사지고 있으나 북쪽으로 갈수록 서쪽으로 54°-82° 경사지는 노두가 증가한다. 영덕단층은 모암의 암종에 따라 0.3-15 m 범위의 다양한 폭을 가진 단층핵과 단층대 내부구조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모암의 연성도, 구성광물, 입자크기, 이방성과 같은 물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한 고응력장 및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덕단층은 (1) 백악기말~신생대초에 북서-남동 최대수평응력(σHmax)과 북동-남서 최소수평응력(σHmin) 하에서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2) 신생대 고진기에 북동-남서 최대수평응력과 북서-남동 최소수평응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이중 고진기에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이후 지각변형은 미미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예천TMA내 경량항공기 비행경로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the Flight Route of Light Sport Aircraft in Yecheon TMA)

  • 신대원;신홍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40
    • /
    • 2010
  •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 Sport Aircraft(LSA) in Korea, and reconstructed the flight route for Light Sport Aircraft in Yecheon TMA. Amended flight routes are LS095(Danyang Airpark $\Leftrightarrow$ Yeongju Airpark), LS096(Andong Airpark $\Leftrightarrow$ Yeongju Airpark), LS098(Yeongdeok Airpark $\Leftrightarrow$ Yeongju Airpark) and LS099(Yeongdeok Airpark $\Leftrightarrow$ Andong Air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