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onnaterre) and bigeye tuna, Tunnus obesus (Lowe) in relation to oceanic conditions such as thermal structure produced during El Nino/La Nina episod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data sets for the catches and efforts from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and for the oceanographic observations from the NOAA during 1982-2002 in the tropical Pacific. The high density of fishing ground appeared in the western Pacific ($5^{\circ}N-5^{\circ}S,\;160^{\circ}E-180^{\circ}W$) for yellowfin tuna and in the eastern Pacific ($5^{\circ}N-15^{\circ}S,\;130^{\circ}W-100^{\circ}W$) for bigeye tuna. yellowfin and bigeye tuna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110-250 m layer and 245-312 m layer, respectively, in the western Pacific. However, in the eastern Pacific, they were mostly caught at the 116-161 m and 205-276 m layer for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respectively. It can be suggested that bigeye tuna be distributed in the deepest layer among tunas and show a vertical size stratification. It was observed that during the El Nino events the main fishing ground of yellowfin tuna shifted from the western Pacific toward the eastern Pacific. In the eastern Pacific which showed a higher density of bigeye tuna, the vulnerability of bigeye tuna caught by deep longline increased during the El Nino events due to deepening of thermocline layer and a more intensively distribution of the fish schools in the lower layer of thermocline during the El Nino events.
Yellowfin and bigeye tunas have been targeting and the most important species for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Indian Ocean.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fishing efficiency of the regular and the deep longlines and the vortical distribution of tunas, and the weight composition by fishing depth based on the data from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from 1973 to 1980 and from 1984 to 1986 in the Indian Ocean. It was found that the deep longline gear on bigeye tun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regular longline gear on yellowfin tuna in the whole Indian Ocean. Yellowfin tuna and billfishes were chiefly distributed at the shallow layer and bigeye at the deep layer. The weight composition of yellowfin and bigeye tunas by depth showed that the deeper the depth, the larger the bigeye distributed.
A preliminary study on species composition of a Korean purse seine catch landed at cannery was conducted in April 2011. In the cannery, all tuna catch are sliding through a sorting grid panel that filters and drops fish in the buckets by size class (above 9kg, 3.4-9kg, 1.8-3.4kg, 1.4-1.8kg and below 1.4kg). In cannery processing, species sorting was made for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only from catches greater than 3.4kg during filtering but not for bigeye tuna because of difficulties in species identification between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under frozen state. As no species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catch groups less than 3.4kg in the cannery process, this study focused on sorting out skipjack tuna and yellowfin tuna from these groups and then identifying bigeye tuna from all size groups of yellowfin tuna. Using the mixture rate of species obtained from the samples taken, species composition of the landed catch was estimated. As results, cannery research showed 95% for skipjack tuna, 3% for yellowfin tuna and 2% for bigeye tuna in species composition, while vessel logbook data represented 96%, 3% and 1% for skipjack tuna, yellowfin tuna and bigeye tuna,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bigeye tuna identified in the cannery was slightly higher than shown in logbook data by 1%.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의 종류와 섭이 습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부 열대 태평양에서 연승어업으로 어획된 이들 다랑어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눈다랑어와 황다랑어의 먹이는 주로 어류, 두족류, 갑각류이었다. 이들 두 종의 다랑어에서 동정된 먹이생물의 총 종수는 어류가 15종, 갑각류 6종 그리고 두족류가 1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먹이는 샛비늘치류인 Myctophum sp였다. 황다랑어와 눈다랑어의 먹이를 분석해본 결과 먹이의 종류에 있어서는 두 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것으로 보아 같은 해역에 서식하는 다랑어류는 먹이 습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먹이 가운데 몇몇 종 (Myctophidae, Alepisauridae, Oplophoridae, Gammaridae, and Onychoteuthidae)의 경우 그 중요도에 있어서 두 다랑어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We conducted experiments to compare the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between circle hooks and straight shank hook in the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at the eastern and central Pacific Ocean from 2005 to 2007. We analyzed difference of fork length, survival and hooking location between a circle hook and a straight shank hook for both tunas,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fork length size of yellowfin tuna caught on the two type of hook but bigeye tuna was significant. In case of survival,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hook type, but the difference of hooking location was significant for both species. We also analyzed to find determinants of both tunas catch rate us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s) which were used latitude, longitude, year, month, depth, hook type, bait type and so on as independent variables. Spatial factors, latitude and longitude, and temporal factors, year and month, affected catch rate of bigeye tuna and yellowfin tuna. And also, depth such as a marine environment factor was influenced on catch rate.
This study standardized catch per unit effort(CPUE) of the Korean longline fishery, which has been used to assess the status of stock as an index of abundance, for bigeye and yellowfin tunas in the Indian Ocean. The Generalized Linear Model(GLM) was used to analyze the fishery data, which were catch in number and effort data collected each month from 1971 to 2007 by $5\;{\times}\;5$ degree of latitude and longitude. Explanatory variables for the GLM analysis were year, month, fishing area, number of hooks between floats(HBF), and environment factors. The HBF was divided into three classes while the area was divided into eight subareas. Although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southern oscillation index(SOI) were considered as environmental factors, only SST was used to build a model based on statistical significance. Standardized CPUE for yellowfin tuna showed a declining trend, while nominal CPUE for the speci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species and the distribution of horizontal mean temperature at the Jepth of 10m and of vertical temperture sections in the different fishing grounds, using the date of catches in 1980, showing a relative good ones during six years from 1975 to 1980, and of oceanographic observations. Yellowfin and bigeye are mainly caught in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s including equatorial upwelling region in 5$^{\circ}$N to 5$^{\circ}$S, and albacore is mainly caught in Subtropical region in 20$^{\circ}$5 to 40$^{\circ}$5. The good fishing grounds of yellowfin and bigeye are made in the depth layer of 100 m to 250 m and temperature of 15$^{\circ}$C to 26$^{\circ}$C having a smooth gradient of thermocline in the Central Pacific between 180$^{\circ}$ and 1500W. But albacore is caught well in which the temperature of thermocline ranges from 100e to 25$^{\circ}$C and its gradient very smoothly. Approaching to the American Continent, the catches of yellowfin and big eye decrease because the thermocline becomes shallower and steeper at Eastern Pacific Region between 1500 and 800W.
한국 다랭이 선망어선의 유목군 조업 비율은 최근 까지 점차 감소 추세에 있으며 $1990\~1995$년간의 유목군 어획 비율은 전체 어획량의 $34.6\%$로 선망어업 초기와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낮았다. 어획 어종의 조성에서는 유목군 및 부상군 조업에서 다같이 가다랭이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고 그 다음 황다랭이 그리고 소량의 눈다랭이가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어획 비율은 부상군 조업이 유목군 조업보다 높았다. 승선 조사 시의 유목군 조업의 어획 어종의 조성은 가다랭이 $60\%$, 황다랭이 $38\%$, 눈다랭이 $2\%$로 조업 실적 자료보다 가다랭이는 낮았고 황다랭이는 높았다. 유목군 조업에서 혼획된 종은 모두 11종이었으며 그중 상어류가 전 투망 시에 어획되었고 yellowtail kingfish가 마리수로는 가장 많이 어획되었다. 황다랭이의 체장 조성을 비교하였을 때 소형 황다랭이는 주로 유목 주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orean distant water tuna longline fishery commenced in 1966 in the Atlantic Ocean. Since then, i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isheries of Korea. By early of 1970s, total amount of tuna caught in the Atlantic Ocean was the highest among other Korean distant water tuna fisheries, but has become minor since 1990s. The annual catch of tuna and tuna-like species by Korean tuna longline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was about 1,900 mt in 2013. Bigeye tuna was the predominant species in species composition followed by yellowfin tuna, Albacore tuna, Blue shark and Swordfish. Korean distant water tuna longline fishery have mainly operated in the tropical area of the Atlantic Ocean ($20^{\circ}N{\sim}20^{\circ}S$, $20^{\circ}E{\sim}60^{\circ}W$), fishing ground was almost similar as in the previous years. The length frequency of major species (Bigeye tuna, Yellowfin tuna, Albacore tuna, Blue shark and Swordfish) were estimated. As the result of length (size) frequency data on main species caught by lonline fishery in the Atlantic Ocean, main length intervals of bigeye tuna caught in 2011, 2012 and 2013 were 120~125 cm, 160~165 cm and 130~135 cm, respectively. For yellowfin tuna, those were 125~130 cm, 150~155 cm, 145~150 cm and for albacore, 109 cm, 102 cm, 109 cm and 106 cm respectively. For swordfish caught in 2011, 2012 and 2013, main length intervals were 130~135 cm, 125~135 cm and 125~130 cm, respectively, and for blue shark, 195~200 cm in 2011 and 185~190 cm in 2012, 2013.
This paper described on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of tuna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of eastern fishing ground of Tropical region in the Pacific Ocean. The data of catches and water temperature used in this paper were based log book which # 27 CHENG RONG(Gross tonnage : 399 ton) had been worked eastern fishing ground(Lat : 09$^{\circ}$N- 14$^{\circ}$S, Long : 115$^{\circ}$- 149$^{\circ}$W)from January to October, 1991.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 1.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es and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circ}$- 9$^{\circ}$N, Long 135$^{\circ}$- 139$^{\circ}$W area in the equatorial counter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7.5$^{\circ}C$ to 27.9$^{\circ}C$,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4$^{\circ}$- 9$^{\circ}$S, Long 145$^{\circ}$- 149$^{\circ}$W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water temperature was range of 28.$0^{\circ}C$ to 28.4$^{\circ}C$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Lat 10$^{\circ}$- 14$^{\circ}$S, Long 120$^{\circ}$- 124$^{\circ}$W area in the south equatorial current region where surface temperature was range of 26.5$^{\circ}C$ to 26.9$^{\circ}C$ 2. On the relation between catches and distribution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bigey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0^{\circ}C$ to 12$^{\circ}C$ on depth layer between 300m and 360m, yellowfin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5$^{\circ}C$ to 19$^{\circ}C$ on depth layer between 180m and 280m and albacore tuna was higher catches at the water temperature of 12$^{\circ}C$ to 14$^{\circ}C$ on depth layer between 280m and 310m. Above the result, it seemed that bigeye tuna distributed deeper layer than yellowfin and albacore tuna.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