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rn-dyed woven fabric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Color Prediction of Yarn-dyed Woven Fabrics -Model Evaluation-

  • Chae, Youngjoo;Xin, John;Hua, Tao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47-354
    • /
    • 2014
  • The color appearance of a yarn-dyed woven fabric depends on the color of the yarn as well as on the weave structure. Predicting the final color appearance or formulating the recipe is a difficult task, considering the interference of colored yarns and structure variations. In a modern fabric design process, the intended color appearance is attained through a digital color methodology based on numerous color data and color mixing recipes (i.e., color prediction models, accumulated in CAD systems). For successful color reproduction, accurate color prediction models should be devised and equipped for the systems. In this study, the final colors of yarn-dyed woven fabrics were predicted using six geometric-color mixing models (i.e., simple K/S model, log K/S model, D-G model, S-N model, modified S-N model, and W-O model). The color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color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various color models used for different weave structures. The log K/S model, D-G model, and W-O model were found to be more accurate in color prediction of the woven fabrics used. Among these three models, the W-O model was found to be the best one as it gave the least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colors.

직물을 구성하는 실의 시각적 혼색 효과 (Visual Color Mixing Effect of Yarns in Textile Fabrics)

  • 채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73-383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dividual yarn colors on the perception of overall colors of yarn-dyed woven fabrics. The way the colors of yarn-dyed woven fabrics are perceived is known as visual color mixing: when the different colored yarns juxtaposed on the fabric surface are observed from some distance away, they are visually mixed in our eyes and perceived as a solid color. However, we can still see individual yarn colors that make the fabrics look obviously different from actual solid colors. To quantify this visual color mixing effect, twenty-one sateen fabrics were produced in a wide range of colors using cyan, magenta, and yellow yarns, and the colors were measured instrumentally. The obtained colorimetric values were converted into solid color images on a CRT monitor. Then, the physical fabrics were scanned, and the scanned images were displayed on the monitor with solid color images in pairs for visual color difference evaluation. The woven and solid colors in each pair were of physically identical color; however, the visual color difference was as large as $4.81{\Delta}{E^*}_{ab}$ on average. A visual color difference model was proposed by considering this parametric effect of individual yarn colors.

Kubelka-Munk이론에 기반한 사염직물의 최적화된 구조-색채모델링 (Optimized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 채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03-515
    • /
    • 2018
  • In this researc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d colorimetrical modeling of yarn-dyed woven fabrics was conducted based on the Kubelka-Munk theory (K-M theory) for their accurate color predictions. In the K-M theory for textile color formulation,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s, denoted K and S, respectively, of a colored fabric are represented using those of the individual colorants or color components used. One-hundred forty woven fabric samples were produced in a wide range of structures and colors using red, yellow, green, and blue yarns. Through the optimization of previous two-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by considering the key three-dimensional structural parameters of woven fabrics, three three-dimensional K/S-based color prediction models, that is, linear K/S, linear log K/S, and exponential K/S model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hree-dimensional color prediction models, the color differences,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Delta}E_{CMC(2:1)}$, between the predicted and the measured colors of the samples were calculated as error values and then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two-dimensional models. As a result, three-dimensional models have proved to be of substantially higher predictive accuracy than two-dimensional models in all lightness, chroma, and hue predictions with much lower ${\Delta}L^*$, ${\Delta}C^*$, ${\Delta}h^{\circ}$, and the resultant ${\Delta}E_{CMC(2:1)}$ values.

직기 특성이 PET직물 물성에 미치는 영향(IV) (Effects of Weaving Machine Characteristic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ET Fabrics (IV))

  • 김승진;진영대;강지만;정기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54-61
    • /
    • 2004
  • This research surveys the differences of fabric mechanical properties with the different looms and the fabric positions according to the warp and weft yarn tensions on the Vamatex and Omega-Panter looms respectively. For this purpose, the grey fabrics woven by PET filament using two test looms are dyed and finished. The processing shrinkages are measured on each processes such as dryer, scouring, pre-set, dyeing and final-set using the fabric density and width.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nished fabrics are measured and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warp and weft yarn tensions of the two looms and the fabric positions. In addition, the fabric thickness according to the fabric positions such as right, left selvedges and center of the fabrics is also measured and discuss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matex and Omega-Panter looms.

Goniometric Image Analysis of Observed Color Change in Dyed Trilobal Cross-section Polyester Monofilament Fabrics

  • Lee, Jung-Min;Kim, Jong-Jun;Jeon, Dong-Won;Ahn, Byung-Tae;Choi, Jung-Im
    • 패션비즈니스
    • /
    • 제11권6호
    • /
    • pp.115-124
    • /
    • 2007
  • The cross-section of the polyester filament yarn has been modified to have a variety of shape for aesthetic, added functions and sensitivities, and other purposes. Transparent polyester filament of trilobal cross-section has unique optical properties with high anisotropic reflectivity and transmissivity. The monofilament yarns may be utilized to impart to the fabrics lustrous appearance along with unique color change in case differently dyed yarns are woven together. The color changes of the fabric specimen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observation and lighting conditions were analyzed using a CCD camera and an image analysis software. The changes of color/luster of the fabric specimen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ased on RGB, $L^*a^*b^*,\;L^*C^*h,$ and the color distribution within a three-dimensional color space.

창덕궁 성정각 출토 모담(毛毯) 직물 분석 (A Textile Analysis of Woolen Carpet Excavated from Seongjeonggak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 박성희;이량미;안보연;조미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34
    • /
    • 2021
  • 조선 말기 방한용 깔개인 모담(毛毯)이 창덕궁 성정각의 해체 공사 중 발견되었다. 문헌기록에 비해 현전하는 조선시대 모직물 유물이 많지 않아 유물로서 가치가 높다. 특히 1907년 창덕궁 성정각을 수리한 기록이 있어, 모담은 19세기 말 또는 20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출토 모담은 자적색 계열의 바탕 직물로 위에 황색, 홍색 등으로 선염한 색사를 표면에만 삽입하여 문양을 시문하였다. 모담의 식서부분은 S연의 면사가 확인되었으며, 지경사는 Z연의 황마사, 지위사는 S연의 황마사, 문경사는 S연의 모사를 사용했다. 특히 무늬는 루프파일의 색사로, 색사의 경계면에서 일부 컷 파일이 확인되나 지위사로 고정되어 표면에 거의 드러나지 않는 다. 황마사와 모사를 사용한 것은 18세기 중엽 유럽의 브뤼셀 카펫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모담의 문양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만 문양이 부분적으로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문헌과 회화자료 외에 현미경 분석,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밝히기 위해 색도측정을 토대로 자외-가시광 분광분석을 실시하여 천연 염색한 직물 샘플에 대한 교차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모담의 녹색 모사는 쪽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자적색의 바탕조직은 소목으로 염색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斑布)의 의미와 형식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and Types of Banpo [斑布] during the Joseon Dynasty)

  • 이지원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64-183
    • /
    • 2020
  • 조선시대 직물 문화에 있어, 반포의 역사는 단편적이며 공백이 많다. 문헌 기록이 적은 것이 주요한 이유지만, 현재 그 실체가 명확히 확인되지 않은 점도 크다. 반포는 무명의 한 종류이지만, 현재 전승되고 있는 전통 직물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반포는 얼룩이나 반점을 의미하는 반(斑)자와 직물을 의미하는 포(布)자가 결합한 단어이다. 백색 담론의 경계에서 반포는 연구 주제로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반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 문화의 일부를 복원하는 시도이다. 반포는 단순히 조선시대에 국한되지 않고, 동아시아의 직물 문화와 교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반포의 기록과 의미를 파악하였다. 반포의 기록은 조선 초기 세조, 성종 때 보이며, 반포의 제작과 실제 사용이 확인된다. 반포는 20세기 초까지 유지되었으나 현재는 단절되었다. 반포는 오색으로 면실을 물들여 짜는 사염 직조물로 고대 동남아시아에서 출현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반포와 유사한 형식으로 호, 섬, 침 등의 직물이 있다. 특히 반포와 호의 상관관계는 조선시대 반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고리이다. 둘째, 중국·일본의 문헌 기록과 사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반포의 의미 변화와 전개를 조명하였다. 반포의 등장과 발전은 동아시아에 면화가 도입되는 시기와 맞물려 움직인다. 동아시아에서 면화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고 생산되는 시기인 송말원초 시기에 반포의 의미는 다변화한다. 중국에서는 명대를 기점으로 반포의 명칭이 화포, 기자포, 기자화포 등으로 바뀐다. 일본은 면의 도입이 늦은 만큼 변화된 의미가 수용되었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반포라는 명칭이 보이지 않지만, 같은 형식의 류조 직물이 확인된다. 이 류조는 호, 화포와 같은 개념으로 후대에는 호로 통합된다. 호, 화포, 반포 등과 같은 명칭은 나라마다 쓰임이 다를 뿐 동아시아에서 사염 직조물이라는 형식은 공유되었다. 셋째, 동아시아에서 공유한 반포의 의미를 바탕으로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격자와 줄무늬로 나눌 수 있다. 조선시대 반포의 형식은 최근까지 전승되었지만 단절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반포의 복원과 전승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