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am powder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1초

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 이정애;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84-890
    • /
    • 2007
  •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마를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젤리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마 가루 첨가량에 따라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흡광도는 마를 첨가할수록 높아져 투명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젤리의 색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되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매끈한 정도는 대조군이 6.60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 가루 첨가 젤리군에서는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가장 높았으며 깔끔한 맛에서도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이 6.10,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5.70, 마 가루 4 g 첨가 젤리 4.80이 나타났으며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마 가루 2 g 첨가 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마 가루 4 g 첨가 젤리가 높게 나타났다. 마젤리의 이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검사, 기호도 검사결과 마를 이용한 젤리 제조시 마 가루$2{\sim}4$ g 첨가가 가장 적정한 양으로 유도되었다.

건조방법과 첨가물에 따른 마 현탁액의 점도 (Viscosity of Yam Suspension by Drying Methods and Additives)

  • 김인현;손현주;정구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44-447
    • /
    • 2006
  • 마를 냉동건조, 선풍기건조, 열풍건조, 연탄건조한 후 이들의 현탁액과 상징액의 점도와 첨가물에 따른 점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선풍기건조한 마 현탁액(7.5%)의 점도는 43 mPa s로 냉동건조한 것의 58.1 mPa s보다는 낮았지만 시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열풍건조한 것의 17.2 mPa s보다는 높았다. 이는 농가에서 저렴한 방법으로 점성이 상당히 유지되는 건조마를 생산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건조방법 별로 점도차이가 나는 것은 건조 중 점질물의 단백질이 열변성되었기 때문이었다. 마현탁액과 상징액에 설탕을 첨가하면 점도가 상승하였으나 소금의 첨가로는 별 영향이 없었다. 구연산은 0.5% 첨가하였을 때 점도가 감소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Spray-Dried Yttrium Aluminum Garnet Powder

  • Sim, S.M.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1권1호
    • /
    • pp.35-39
    • /
    • 1995
  • Yttrium aluminum garnet(YAG) powders were synthesized by spray-drying of the hydroxides coprecipitated from a mixture of aqueous solutions of $Al(NO_3)_3.9H_2O \;and\; Y(NO_3)_3.6H_2O$ Phase formation in the powders during heat treatments and their sintering charact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powder obtained by washing the hydroxides before spray-drying, a metastable yttrium aluminum hexagonal (YAH) phase was first crystallized and then transformed into YAG as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formation of YAH was attributed to a deviation in compositions of the particles from the starting composition of YAG. However, the powder prepared without washing step contained a stable yttrium aluminum monoclinic(YAM) phase in addition to YAG due to a large deviation from the starting composition. A powder compact of a single phase YAG was pressureless-sintered for 4 hrs at $1700^{\circ}C$ and the density was 93% of the theoretical density.

  • PDF

마 분말을 첨가한 약과의 제조와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made with Yam (Dioscorea batatas Decne) Powder)

  • 이정호;김종성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6-68
    • /
    • 2014
  • 마 분말을 첨가한 약과를 제조한 후, 관능평가와 기호도를 종합한 결과, 마 분말을 15% 첨가한 약과에서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어 마 분말을 wheat flour 함량에 대한 15%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품질과 기호성, 기능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cinnamon powder와 peanut powder, coffee powder을 첨가하여 맛, 향, 색상, 조직감을 향상시켰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와 적색도(a)도 증가하였다. 황색도(b)는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저장 3일까지는 감소하였다가 저장 9일부터는 증가하였다. 경도와 점착성, 씹힙성은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우수하게 나타난 것은 마 분말 첨가로 인하여 부드러움성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유지흡수율은 무첨가 약과에서 낮게 측정되었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에서 평균 산가는 1.57, 과산화물가 19.04로 측정되어 한국식품공업협회(식품공전 2004)의 산가 기준치 3.0 이하, 과산화물가 기준치 40.0이하보다 낮게 측정되어 마가 첨가된 약과는 $30^{\circ}C$ 상온에서 최소 15일까지 안전하게 유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 분말 15% 첨가약과의 수분함량은 $12.55{\pm}0.08%$, 조회분은 $0.71{\pm}0.01%$, 조지방은 $6.11{\pm}0.06%$, 조단백질은 $15.97{\pm}1.40%$, 탄수화물은 $64.66{\pm}0.09%$로 분석되었다. 마 분말 약과는 인체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이 추가되었고, 일반약과보다 산패의 진행이 늦으며, Puff Pastry 형태로 제조하기 때문에 식감성이 일반약과보다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Dioscorea)의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및 그 작용기전 (Effects of Yam on Lowering Cholesterol Level and Its Mechanism)

  • 권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6호
    • /
    • pp.637-643
    • /
    • 1999
  • The effects of yam(Dioscorea) on lowering cholesterol level and its mechanism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liver lipids, and the excretions of fecal neutral sterol and bile acid were measured in male Sprague-Dawley rats. Five Groups of 8 rats were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1% cholesterol, 10% lard ; control), hypercholesterolemic diet plus 15% or 30% dried yam powder prepared by either hot-air(15HY, 30HY) or freeze dry(15FY, 30FY) for 4wk. Plasma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cholesterol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lower(28%, p<0.05), buy HMG-CoA reductase activity was higher in 30FY(230%, p<0.05) than in control.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cal neutral sterols were observed among groups, the yam-fed rats apparently had less bacterial degradation of cholesterol as indicated by a significantly greater of fecal cholesterol to coprostanol than in controls. Total fecal bile acid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rats fed yam(15HY : 5 folds, 15FY ; 12,30HY ; 12, 20FY ; 22) than in controls. The ratio of secondary to primary bile acids was almost 8 times lower in 30FY than in control. These data indicate that yam lowers cholesterol both in plasma and in liver through increasing fecal bile acid excretion as well as HMG-CoA reductase activity. Freeze-dried yam, which possesses viscosity, was more effective in cholesterol-lowering action than hot-air dried one.

  • PDF

Effect of Chinese Yam on Benzo[a]pyrene Hydroxylase Activities in Rats Fed Dietary Benzo[a]pyrene

  • Kwon, Chong -Suk;Chung, Koo -M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93-196
    • /
    • 1999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am on the activity of benzo[a]pyrene hydroxylase(BPH), the key enzyme associated wit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metabolism, rats were fed a fiber free diet for 7 days, whereupon they were switched to experimental diets for another 7 days. Diets contained benzo[a] pyrene(BP, 400 mg/kg diet) and 25% or 50% yam powder (freezer dried and hot air dried ). Diets containing pectin and cellulose were compared with diets containing yam. BPH activities were assessed in the liver, lung, kidney,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of rats. BP induced BPH activities in various tissues ; 8 fold in liver, 28 in lung and stomach , and 32 in large intestine. The addition of yam significantly lowered BPH activity in liver, lung and stomach and hot air dried yam was nmor eeffectivie than freeze dried yams. These data suggested that yam containing diet may influence carcinogen metabolism in liver and extrahepatic target tissues by altering activities of BPH and may reduce exposure of these tissues to dietary carcinogens.

  • PDF

마분말 첨가 쿠키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ookie Preparation by Addition of Yam Powder)

  • 주나미;이선미;정희선;박상현;송윤희;신지훈;정현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57
    • /
    • 2008
  • 마분말 첨가 쿠키의 가장 우수한 배합조건을 설정하고자 중심합성계획법에 의해 마분말, 설탕, 버터의 함량을 달리한 시료를 제조하여 마분말 첨가 쿠키의 관능적 평가와 물리적 특성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분석하여 마분말 첨가 쿠키 제조 조건을 최적화하고자 하였다. 물리적 특성의 Color Value에서 마분말 함량이 많을수록 명도는 낮아졌고, 적색도(Color Value a)는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 퍼짐성은 설탕과 버터의 함량이 함께 증가하면 퍼짐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마분말, 설탕, 버터 세요인 모두 경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설탕과 버터의 함량이 적당할 때는 마분 말이 경도의 증가요인은 되지 않았다. 관능항목에서는 마분말 함량이 중심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며 색과 향은 기호도가 낮지는 않았고 부드러움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마분말, 설탕보다는 버터에 더 민감하였고,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배합비의 영향은 마분말, 설탕, 버터 모두 영향이 있었다. 마분말 첨가 쿠키의 관능적 최적점을 결정하기 위해 관능평가 항목 중 유의적이었던 색, 향, 부드러움,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마분말과 설탕, 마분말과 버터, 설탕과 버터의 등고선 그래프를 교집합 형태로 유의적으로 나타난 관능항목을 모두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비율은 마분말 37.35g, 설탕 50.75g, 버터 78.40g으로 마분말 첨가 쿠키의 최적점을 구할 수 있었다. 마분말, 버터는 중심점에 매우 근접한 값이며 설탕은 중심점보다 낮은 값으로 부드럽고 담백한 마분말 첨가 쿠키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밀가루 대체인 마분말을 첨가하여도 쿠키의 품질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마분말을 쿠키의 밀가루대체로서 이용하여 쿠키의 독특한 향과 기능적인 면에서나 품질, 건강지향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형태의 식품을 개발하여 마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r sulfate 혼합처리의 경우 공히 균생장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효과적인 감자흑각병의 방제를 위하여 약제의 단일 사용보다는 혼합 사용하는 경우 더 높은 방제효과와 낮은 저항성균 유발효과가 있다는 것 을 보여주고 있다.ials. Once $NiO_x$ was formed, it was not removed in wet etching process and easily diffused into sidewall materials, which could lead to bridge effect of gate-source/drain.울국(麴)과 밀가루국(麴) 사이에 차(差)가 별(別)로 없었다.果)에서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咸)하는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C_{18:2}$산(酸), $C_{16:0}$산(酸)의 순(順)으로 그 함량(含最)이 맞은데 비(比)하여 각획분(各劃分)의 지질(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C_{16:0}$산(酸), $C_{18:2}$산(酸)의 순(順)으로 그 함량(含量)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결건조후(凍結乾燥後) 저장(貯藏)하는 동안에$C_{18:2}$산(酸), $C_{18:3}$산(酸)의 함량(含量)이 계속(繼續) 감소(減少)하고 있었다. 5. 4-monomethylsterol fraction에는 cycloartenol(20.6%)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함량(含量)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그 외(外) cyclolaudenol, cycloeucalenol 및 citrostadienol 등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6. 4-desmethylsterol fraction에 는 sitosterol (74.6%)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국내산 자주색 참마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Purple Yam (Dioscorea alata L.) Extract)

  • 김현정;김명현;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8-27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Korean purple yam (Dioscorea alata) as proximate composition, ma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freeze-dried purple yam powder,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the highest at 86.67%, and in minerals, potassium showed the highest content at 1,765.69 mg/100 g. To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y of purple yam, distilled water and 70% ethanol were used as extraction solvents. The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1.3~1.6 times higher in 70% ethanol extract, than in the distilled water extract. As a result of ORAC,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e 70%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e distilled water extract in all results. As a result of freeze-drying purple yam and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by extraction solvents, it is concluded that purple yam can contribute to the food industry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health functional material.

마 분말이 첨가된 즉석 누룽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Nuroong-gi to which Dioscorea japonica powder was added)

  • 이현석;권기현;김병삼;김종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80-685
    • /
    • 2009
  • 마 분말을 첨가한 누룽지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마 분말 무 첨가 2, 4, 6, 8% 첨가하여 처리조건에 따라 제조한 누룽지를 평가 비교하였다. 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된 누룽지는 색도측정, 물 결합능력, 점도측정, 침전물 생성량 및 탁도 측정, 총당측정, 환원당측정, 관능평가를 분석한 결과 색도는 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명도(L)는 낮게 나타내었다. 적색도(a)와 황색도(b)에서는 마 분말 첨가량에 따라 명도(L)와는 다르게 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a)와 황색도(b)의 차이가 증가하였다. 마 분말의 첨가량 따른 누룽지의 물 결합능력은 6.02~6.78로 큰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쌀가루의 물 결합능력과 비교하였을 때는 물 결합능력이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점도는 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누룽지의 점도가 높아졌다. 침전물 생성량은 온도에 따라서 추출한 침전물이 마 분말의 첨가량에 상관없이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침전물이 증가하였다. 탁도에서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마 분말이 첨가된 즉석 누룽지의 품질특성 685 총당과 환원당은 마 분말의 첨가량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 마 분말 첨가량 큰 누룽지가 색과 향에서 좋았으며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마 분말 2%첨가된 누룽지가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마 분말 2%첨가된 누룽지가 표면의 식감이 좋아지고 누룽지 고유의 향을 증가하며 먹을 때 고소한 맛을 느끼는 장점을 가질 것이라 판단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마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Yam by Various Drying Methods)

  • 이부용;김현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877-88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생마의 적정 건조방법을 알아 보고자 동결건조, 냉풍건조 및 열풍건조 방법으로 마를 건조시 각 건조 방법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고, 3가지 건조 방법에 따른 마의 식품학적 품질 특성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 건조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동결건조시 $40^{\circ}C$ 이하로 가열하면서 건조 시키면 건조후 마고유의 색, 향, 맛과 점질성이 생마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열풍건조나 냉풍건조의 경우 건조후 마의 색이 연한 백색이나 미색을 나타내지 않고 갈변되었다. 향이나 맛의 경우 냉풍건조시는 마 고유의 향이나 맛이 감소되었으며 열풍건조에서는 마 고유의 향이나 맛이 감소되었을 뿐 만 아니라 가열취나 구수한 맛도 나타났다. $40^{\circ}C$ 동결건조 마는 생마와 유사한 0.0160 Pa.s의 겉보기 점도를 나타내었으나 열풍건조와 냉풍건조는 생마의 반 이하 수준으로 점도가 감소하여 점질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생마의 식품학적 주요 특성인 점질성, 색, 마 고유의 향과 맛을 유지하며 분산성과 용해성을 높이는 건조 방법으로는 동결건조가 가장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분말화시 분말의 용도에 적합한 용해성 및 분산성 같은 물성이 높게 나타나는 적정 입자 크기는 $40{\sim}60{\;}mesh$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