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K-209 mulberry leav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YK-209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소장의 이당류분해 효소 활성과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Disaccharidase Activites of Small Intestine and Blood Glucose-Lowering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유수경;김미지;김진원;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71-1077
    • /
    • 2002
  •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쥐의 혈당강하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코져 정상군(normal group)과 STZ 유발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 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 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 대조군(DM group),0.1% 뽕잎 공급군(DM-0.1Y group),0.2%뽕잎 공급군(DM-0.2Y group) 및 0.4% 뽕잎 공급군(DM-0.1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시켰다. 3주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YK-209 뽕잎 시료의 기능성 성분 함량은 DNJ(1-deoxynoijirimycin), rutin GABA(${\gamma}$-aminobutyric) 및 vitamin C는 1.93 mg/g,2,97 mg/g, 2.36 mg/g, 1.3 mg/g이었으며 청일 뽕잎에 비해 각 1.3배, 1.4배, 1.3배, 1.6배 높았다. 체중증가는 당뇨유발 후 모든 당뇨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당뇨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소장의 길이는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당수준은 YK-209 뽕잎 공급 군에서 비공급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소장 점막중의 maltase, sucrase 및 lactase 활성은 DM군의 소장 proximal 부분에서 증가되었으나 뽕잎 첨가군의 proximal 부분에서는 모두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뽕잎은 STZ 유발 당뇨쥐 소장의 proximal 부분의 이당류 분해효소 활성을 억제시켜 혈당 상승을 완하시킴을 알 수 있다.

뽕잎 품종별 기능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ves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채주영;이준영;황인승;황보득;최필환;이완주;김진원;김선여;최상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21
    • /
    • 2003
  • 본 연구는 뽕잎을 이용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의 제조에 적합한 뽕잎 품종을 선별하고자 품종별(YK-209, Cheong il, Yongchon and Kaeryang), 산지별(영천 및 상주), 부위별(상위, 중위 및 하위엽) 및 생육시기별(5월, 6월 및 8월)에 따른 뽕잎의 기능성 지표물질인 DNJ, GABA및 flavonoid의 함량을 HPLC로 정량하였다. 4가지 뽕잎 중 YK-209 뽕잎의 기 능성 물질 (DNJ, GABA 및 flavono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YK-209 뽕잎으로부터 분리된 4가지 flavonoid 중 rutin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isoquercitrin>kaempferol-3-Ο-rutinoside>astragalin 순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3가지 뽕잎에서는isoquercitr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rutin이 차지 하였으나 품종별, 산지별, 부위별 및 성장시기별에 따라 flavonoid구성성분의 함량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영천지역에서 수확한 YK-209뽕잎의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상주에서 수확한 뽕잎보다 그 함량이 높았다. 한편, YK-209 뽕잎의 부위 중 상위엽이 중위 및 하위엽보다 3가지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끝으로YK-209뽕잎의 성장시기 중 5월에 수확한 것이 6월 및 8월에 수확한 뽕잎보다 기능성물질의 함량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3가지 기능성 성분함량이 높은 YK-209 뽕잎(용천뽕과 개량뽕을 교배하여 얻은 것)의 5월산 상위엽을 향후 뽕잎의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제조용 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에서의 HMG-Coa Reductase 활성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HMG-CoA Reductase and Lipid Composition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홍정희;이순재;박모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26-833
    • /
    • 2002
  • 본 연구는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100$\pm$10 우의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군(DM group), 0.1% YK-209 뽕잎 식이군(DM-0.1Y group),0.2% YK-209 뽕잎 식이군(DM-0.2Y group) 및 0.4% YK-209 뽕잎 식이군(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 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여 혈액 및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대사 개선능에 대해 관찰하였다 YK-209 뽕잎중의 flavonoid 함량을 조사한 결과 rutin은 4.19 mg/g, iso-quercitrin은 2.01 mg/g, kaempferol-3-O-ru-tinose은 1.64 mg/B, 및 astragalin은 0.36 mg/g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8.19 mg/g 으로 청일 뽕잎보다 그 함량들이 높았다. 혈청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이 105% 높았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LDL-cholesterol함량은 정 상군에 비해 DM군은 증가되었으며, YK-209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cholesterol 함량은 정상 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나 YK-209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동맥경화 지수(AI)는 DM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았으나 U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총지질 함량과 중성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며 YK-209 뽕잎을 공급한 군에서 DM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160%증가되었으나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정 상군에 비 해 DM군이 43% 감소되었으나 D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YK-209 뽕잎은 STZ유발 당뇨쥐의 간조직의 HMG-CoA reductase활성의 조절 및 혈액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유수경;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65-1070
    • /
    • 2002
  • YK 209 뽕잎이 STZ 유발 당뇨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코져 하였다. Sprague Dawley 흰쥐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STZ 유발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대조군(DM group),0.1% 뽕잎 공급군(DM-0.IY group), 0.2% 뽕잎 공급군(DM-0.2Y group) 및 0.4% 뽕잎 공급군 (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였다. 단위체중당 간무게는 정상군에 비해 당뇨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뽕잎 비공급 당뇨군(DM group)에 비해 뽕잎공급군들은 감소되었다. 간조직중의 SOD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당뇨유발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뽕잎공급으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SHpx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7.3%저하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지질과산화가는 정상군에 비해 DM군은 144%증가되었으나 DM-0.1Y,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리포푸신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100%증가되었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 중의 superoxide radical(O$_2$ )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는 81% 증가되었으나 DM-0.1Y군과 DM-0.4Y군은 정상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YK-209 뽕잎은 항산화계를 강화시켜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감소시키므로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가 있었다.

Variation of Mineral Compositions in the Regional, Varietal, and Seasonal Mulberry Leaves

  • Kim, Iksoo;Lee, Heui-Sam;Kim, Jin-Won;Yang, Bo-Kyung;Ahn, Mi-Young;Kim, Doh-Hoon;Ryu, Ka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1호
    • /
    • pp.27-3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neral content in the regional, varietal and seasonal mulberry leaves. On average, mulberry leaf samples contained minerals in the order of potassiumi phosphorus, calcium, magnesium, iron and so on (2.494 g/100 g, 2.255 g/100 g, 1.835 g/100 g, 0.627 g/100 g, 0.0245 g/100 g DW, respectively). Calcium content was 19-fold and 4-fold higher than that of green tea and spinach,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mulberry loaves appear to be a calcium-rich food source. In the comparison of geographic samples of Cheongilppong variety, calcium bevel was highest in Youngchun sample (2.477 g/100 g) and highest potassium level in Suwon sample (2.962 g/100 g). In the geographic samples of YK209 variety, Jinju-City sample was highest in calcium content (1.509 g/100 g). Among wild mulberry loaves collected from Cheju Island and Tsushima, potassium level was highest in Bongge-dong, Cheiu City (3.865 g/100 g) and calcium level in Mitshshima Town, Tsushima (2.948 g/100 g). In the comparison of varietal samples collected in Suwon at the mulberry field of Dept. of Sericulture & entomology, Shinkwangppong variety was highest in the potassium levels although Keryangppong and Shinkwangppong were higher in calcium revel. In the comparison of seasonal samples of Cheongilppong, there was a rough trend of increase in some minerals up to July (e.g., calcium rind )potassium). Finding of the highest calc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the wild mulberry (3.865 g/100 g and 2.948 g/100 g, respectively) rather than in the cultivated ones warrant that more focus should be paid to wild mulberry leaves to utilize their minerals effciently.

  • PDF

Regional and Varietal Variation of 1-Deoxynojirimycin (DNJ) Content in the Mulberry Leaves

  • Kim, Iksoo;Kim, Jin-Won;Lee, Heui-Sam;Ha, Nam-Kyu;Ryu, Ka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41-14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s any content variation in 1-deoxynojirimycin (DNJ) among regional and varietal mulberry leaves. HPLC analysis was performed for 22 samples collected from several localities in Korea and Tsushima Islands Japan. The high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Youngchun City, Kyungsangbuk Province (1,882.7 $\mu\textrm{g}$/g DW), whereas low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Jiniu City, Kyungsangnam Province (395.65 $\mu\textrm{g}$/g DW). In the comparison of regional samples of Kaeryangppong variety,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Woniu City (1,460.1) > Boungun (999.85) > Hweongsung-gun (939.12) > Cheongju City (688.78). In case of Cheongilppong,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Youngchun City (1.882.8) > Sanchung-gun (1,125.3) > Sunchon City (649.17) > Byunsan-myon (441.54) > Jinju City (395.65). Average content of regional samples was higher in Kaeryangppong (1,021.7 $\mu\textrm{g}$/g DW) than that of Cheongilppong (898.87 $\mu\textrm{g}$/g DW). Average DNJ content of the wild mulberry loaves collected from Cheju Island and Tsushima Island (1,012.9$\mu\textrm{g}$/g DW) was high enough to reach to that of the regional Kaeryangppong samples. In the comparison among varietal samples collected in Suwon, the highest DNJ content was observed in YK209 (768.16 $\mu\textrm{g}$/g DW), amongst overall low DNJ content of the varietal samples. Considering a few pieces of information from our data, DNJ content appears not to be influenced solely by annual temperature of the planted area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