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Xin(心)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7초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Hanju Yi Jinsang(寒洲 李震相)'s concept of Li(理) through his viewpoint on the Ido-seol(理到說))

  • 이원준
    • 한국철학논집
    • /
    • 제52호
    • /
    • pp.107-130
    • /
    • 2017
  •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물격설(物格說)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주의 '리(理)'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퇴계 이도설에서 포착되는 퇴계 성리학 체계에서의 '리' 개념이 후대에 전개 심화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무위의 본체인 '리'를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던 이도설에 대해 영남지역의 퇴계 후학들은 대체적으로 자구(字句) 해석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한주 역시 '격물(格物)' '물격(物格)'에서의 '격(格)'을 '구(究)'의 의미로 풀이한 것에 기반하여 이도(理到)의 서술어인 '도(到)'를 '진(盡)'의 의미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퇴계가 '리(理)의 자도(自到)'를 승인하면서 체인하였던 '리'의 '체용(體用)'과 '활물'적 특성을 퇴계 성리학의 종지(宗旨)로 보았으며, 이는 그의 인식방법론으로 대표되는 삼간법(三看法)을 설명하는 곳에서 나타난다. 한주 이전의 학자들은 자구의 의미를 수정하는 데에서 더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이도설 해석을 통해서 학문적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한주는 리(理)에 대한 활간(活看)이 부족할 경우 '심(心)'과 '리(理)'의 관계를 곡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리일분수(理一分殊)의 관점에 기반하여 퇴계 이도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리(物理)를 본구한 '심'의 주류변화(周流變化)와 '리'의 작용성을 등치시켜 '리'의 '분수' 적 측면을 아우르면서 '심'이 만물의 '리'를 통섭한다는 '리일'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명대(明代) 유의(儒醫) 이천(李梴)의 도교(道敎)이해 (A research of Ruyi(儒醫), Li-Chan(李梴)'s viewpoint on Taoism)

  • 성호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81-290
    • /
    • 2013
  • Objective : The medicine originated from Taoist tradition which identifies itself with medicine, making a harmonic combination between taoist theory of life fostering(養生論) and confucianism was a everlasting task for Ru-Yi, Li-chan who attach great importance to Confucian-medicine. Differing from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precedent medical theorists, made his own confucianism the main theory of medicine. I think we need a rational reflection over these issues and am trying to focus on it. I hereby analyse the Ru-Yi, Li-chan's viewpoint on Taoism since after Ming(明)-dynasty during which his theoretical ideology has bloomed in chinese medicine. Method : I analyze the sentences in Li-Chan's Yisuerumen(Medical beginner's book, 醫學入門) From the perspective of Confucianism and Taoism. Result & Conclusion : Li-Chan understood Taoism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edicine. Thus, He accepted the life-fostering of Taoism from the point of Confucian-moral cultivation. He emphasized the role of the Xin(mind, 心) and he was rejected Taoist mysticism. He interpreted Medical classics-Huangdineijing(黃帝內經)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ucian classics and understanding of each other was similar position. Because he was a Confucian scholar and medical scientists.

愚潭丁時翰心性論淺析 - 以退溪, 栗谷, 愚潭比較為中心 (On Woodam Jeong Si-Han's Xin and Xing Theory)

  • 洪軍
    • 한국철학논집
    • /
    • 제27호
    • /
    • pp.447-468
    • /
    • 2009
  • 愚潭丁時翰(1625-1707)是朝鮮朝中期退溪學派的主要代表人物之一, 他一生隱居求志躬行心得為後世儒者所敬仰。 作為近畿主理論學者他同李玄逸(1627-1704, 字翼升, 號葛庵)一起, 對退溪的四七理論作了積極維護和系統闡述。 本文從比較的角度, 對愚潭的理氣說, 四端七情說, 人心道心說進行了簡要論述。 儘管他在理氣關係及四七理論的解釋上有些折衷退溪與栗谷思想之傾向, 但是從四七說以及對理氣關係的主僕, 上下位關係的解釋中我們還是可以看出其基於退溪的尊理貶氣, 理氣互發之義上的為學特色。 在人心道心說方面的特點在於, 其對朱子所講的實然之"心"的重視。

호굉(胡宏)의 본성(性) 개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u Hong's concept of "Xing")

  • 성광동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233-258
    • /
    • 2014
  • 이 글은 호굉의 사유 중 본성[성(性)] 개념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호굉의 철학적 구도는 성본론(性本論)으로 지칭되며, 그가 제시한 본성 개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굉은 본성이 전체 세계의 근본이면서 구체적인 개별 사물과 관련된다고 봄으로써 본체론 측면에서 본성 개념을 구성하였다. 즉 본성은 전체 세계의 근본인 체(體)이면서 개별 사물들의 고유성으로 실현된다는 것이다. 또한 호굉은 본체론적 측면의 본성이 마음, 감정, 욕구 등 다양한 심성적 측면으로 전개된다고 보았다. 둘째, 호굉은 미발을 본성으로, 이발을 마음으로 규정하여 본성과 마음의 이상적인 관계를 '성체심용(性體心用)' 구도로 보았다. 그는 미발의 본성의 차원에서는 성인과 일반 사람들의 상태가 같지만 이발의 차원에서는 마음의 역량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고 보았다. 오직 성인만 마음이 적연부동하여 현실에서 그 관계를 실현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호굉은 일반 사람들이 그 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본성의 온전한 실현인 인(仁)이라는 마음의 현상을 따르도록 함으로써, 마음에 본성을 완성한다는 수양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호굉은 본체론적 측면에서 본성 개념을 사유하면서 기존 관념과 달리 본성의 의미를 파악하였다. 그는 성선(性善)을 극도의 찬미를 나타내는 감탄사로 읽는데, 이는 본성이 선악의 상대적 개념을 초월해 있으며 전체 세계를 긍정하는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또한 호굉에 따르면, 본성은 호오(好惡)의 지향성을 함축하고 있으며 사물들은 이를 통해 자기와 다른 대상과의 관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때 윤리적 가치 판단의 선악 개념이 발생한다.

"의관(醫貫).현원부론(玄元膚論)"에 대한 번역 연구 (The Study of Translating "Yiguan.Xuanyuanfulun")

  • 김진호;박해모;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9-116
    • /
    • 2012
  • Objective : Zhao Xian-Ke(趙獻可) was a doctor in the Ming(明) Dynasty. His representing book is "Yiguan(醫貫)". It is considered as a requirement to study the Mingmen academy(命門學說). "Xuanyuanfulun(玄元膚論)", volume I of "Yiguan" intensively mentions his medical viewpoint. The study investigates Zhao's medical perspectives by studying "Xuanyuanfulun". Method : "Xuanyuanfulun" is translated. "Yiguan" published by Chinese Medicine(中國中醫藥) Publish was used as basis. "Yiguan" published by Xuexiao(學苑) Publish was used for reference. I checked and researched for several parts shown in "Suwen(素問)" and "Lingshu(靈樞)". I researched for 'Master(主)' of a human being. Result : 1. 'Master' of a human being is intangible Huo(火) in Mingmen. 2. It may be hard for me to assent to the opinion of Zhao Xian-Ke that the inferior twelve organs should be regarded as inferior eleven organs naturally. 3. Yinyang(陰陽) is to relatively cope with a situation and its wonders are within Wu(無). 4.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Yang, Huo and Qi(氣). 5. The study separates the date (year, month, date and time) into yin and yang and the causes of an illness are found based on the concept and its treatment shall be performed. 6. Among Wuxing(五行), Shui(水) and Huo are especially important. 7. There are intangible Shenshui(腎水) and intangible Xianghuo(相火) separately from the Shui and huo of Xinshen(心腎). Conclusion : The medical philosophy of Zhao Xian-Ke has been deeper. In addition, it will provide much help while understanding volumes 2 - 6 of "Yiguan" and apply to the clinical tests. I think it is not the problem, which is the right meaning of 'Master' in the "Xin is monarch of the organs" of "Suwen Linglanmidianlun(靈蘭秘典論)" or 'Master' that concerned by Zhao Xian-Ke, but it is just the different sight of the human being.

『三指禪』卷一을 通한 周學霆의 醫學思想에 關한 硏究

  • 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5-85
    • /
    • 2000
  • Following is the result through translating. studying, and analyzing 『San Zhi Shan(三指禪)』, the book worked by Zhou Xue Ting(周學霆). 1. The chapter of 『Mai Xue Yuan Liu(脈學源流)』 explains thc Xiang Shu Xue(象數學) viewpoint, the part that pulse is based on Lu guan(律管). 2. The chapter of 『Liu Bu Mai Jie(六部脈解)』 explains that emphasizing Shen(神) through understanding the shape of pulse(脈象)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cating the area of thc shape of pulse(脈象). 3. The chapter of 『Zuo Xin Tan Zhong Can Dan Shen Xiao Chang You Fei Xiang Zhong Pi Wei Ming Da Chang Bian($좌심단중간담신소장{\cdot}우폐흉중비위명대장판$)』exhibits the different view about the position of pulse from Li Shi Zhen(李時珍)'s. the chapter in which Zhou(周) arranges Heart{\cdot}Small\;Intestine{\cdot}Liver{\cdot}Gall\;Bladder{\cdot}Kidneys{\cdot}and$ Bladcler($心{\cdot}小腸{\cdot}肝{\cdot}膽{\cdot}腎{\cdot}膀胱$) in left hand and $Lungs{\cdot}Large{\cdot}Intestine{\cdot}Spleen{\cdot}Stomach{\cdot}Kidney{\cdot}and$ The gate of Vitality($肺{\cdot}大腸{\cdot}脾{\cdot}胃{\cdot}腎{\cdot}命門$) in right hand. From the above results, I'm sure that 『San Zhi Shan(三指禪)』which has headed down to descendants as the special book about the study of pulse has developed the theory of pulse. Therefore I expect that the more profound study about this will be going on.

송대 "중화(中和)" 사상에 관한 일고찰 - 사마광(司馬光)과 한유(韓維)의 서신 교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heory of "zhong-hua" in the Sung dynasty)

  • 임명희
    • 한국철학논집
    • /
    • 제38호
    • /
    • pp.251-273
    • /
    • 2013
  • 본 논문은 중화(中和) 사상을 둘러싼 북송대 사마광과 한유의 심성 논쟁을 다룬 것이다. 사마광과 한유의 서신 교환은 당시 유가(儒家) 진영의 대표적 지식인과 불가(佛家)에 심취해 있던 지식인 사이에 진행된 심성 논쟁이라는 점에서 송대 심성론 발전에 미친 다양한 사상적 원류에 관한 논의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자의 서신 교환 내용은 훗날 정주학의 심성론이 당시 어떠한 사상적 배경 아래 구체화될 수 있었는지, 어떠한 이론적 진보를 이루어냈으며, 그 사상사적 의의는 무엇인지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는 데 중요한 단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삼지선(三指禪)" 권일(卷一)을 통(通)한 주학정(周學霆)의 의학사상(醫學思想)에 관(關)한 연구(硏究)

  • 박현국;김기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6-95
    • /
    • 2000
  • Following is the result through translating. studying, and analyzing San Zhi Shan(三指禪), the book worked by Zhou Xue Ting(周學霆). 1. The chapter of Mai Xue Yuan Liu(脈學源流) explains the Xiang Shu Xue(象數學) viewpoint, the part that pulse is based on Lu guan(律管). 2. The chapter of Liu Bu Mai Jie(六部脈解) explains that emphasizing Shen(神) through understanding the shape of pulse(脈象) is more important than the locating the area of the shape of pulse(脈象). 3. The chapter of Zuo Xin Tan Zhong Can Dan Shen Xiao Chang You Fei Xiang Zhong Pi Wei Ming Da Chang Bian(左心膽中肝膽腎小腸 右肺胸中脾胃命大腸辨) exhibits the different view about the position of pulse from Li Shi Zhen(李時珍)'s. the chapter in which Zhou(周) arranges Heart{\cdot}Small\;Intestine{\cdot}Liver{\cdot}Gall\;Bladder{\cdot}Kidneys{\cdot}and$ Bladcler(心 小腸 肝 膽 腎 膀胱) in left hand and $Lungs{\cdot}Large{\cdot}Intestine{\cdot}Spleen{\cdot}Stomach{\cdot}Kidney{\cdot}and$ The gate of Vitality(肺 大腸 脾 胃 腎 命門) in right hand. From the above results, I'm sure that San Zhi Shan(三指禪)which has headed down to descendants as the special book about the study of pulse has developed the theory of pulse. Therefore I expect that the more profound study about this will be going on.

  • PDF

심포(心包), 삼조(三焦), 명문(命門)에 대한 연구 (Study On Shimpo, Samcho and Myoungmoon In Oriental Medicine)

  • 송지청;권강범;이수엽;이헌재;류도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62-369
    • /
    • 2007
  • Opinions about Simpo[心包:Xinbao], Samcho[三焦:Sanjiao] and Myoungmoon[命門:Mingmen] are controversial from begin of Oriental medicine [醫東學]. In this study I first will focus on each opinion about 3 things above that many doctors had mentioned before and find out the meanings that those doctors had tired to explain. Secondly I will try to consider the meanings of Shimpo Samcho and Myoungmoon themselves. Thirdly I will explain that the relations between Shimpo, Samcho and Myoungmoon by theories of Organs[臟腑]and Meridians[經絡]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the substantial meanings through those works that I mentioned above. Finally I could have conclusions about Shimpo, Samcho and Myoungmoon. Shimpo is a intermediation between Shim[心:Xin] and Shin[腎:Shen] at the point of Shimshinsanggyo[心腎相交:Xinshenxiangjiao] and Myoungmoon is a intermediation also as same as Shimp although shimpo is based on Shim and Myoungmoon is based on Shin. sanghwa[相火:Xianghuo] is related to Shimpo and Myoungmoon at the view of the naming structure of Meridians. Each Shimpo and Myoungmoon has the meaning of Sanghwa. Samcho is suppose to be tube structure and have a pair with Sanghwa because of position in the naming structure of Meridians so it contains Sanghwa as a pathway of Sanghwa.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 변천과정과 '경(敬)'공부론(工夫論)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the Theory of Jing(敬))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48호
    • /
    • pp.225-252
    • /
    • 2012
  • 본 논문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후대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주자(朱子)는 중화구설(中和舊說)의 단계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로 내려오는 이동(李?)의 학설을 무시하고, 장식(張?)을 만나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을 따르게 된다. 그는 이동(李?)으로부터 수양법(修養法)을 배웠지만 장식(張?)과 만나 토론하면서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의 방법론(方法論)에 매료되게 된다. 이는 미발(未發)은 없고 모든 것이 발(發)한 이발(已發)의 때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중화신설(中和新說)의 단계에서는 중화구설(中和舊說) 때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미발(未發)의 때를 중시하게 된다. 심(心) 성(性) 정(情)의 관계도 심통성정(心統性情)이라는 것으로 적립하게 된다. 또한 호굉(胡宏)의 '선찰식후함양(先察識後涵養)'으로부터 벗어나 '경(敬)'의 수양법(修養法)을 내세운다. 이러한 수양(修養) 방법은 호상학파(湖湘學派)의 이발(已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에서 도남학파(道南學派)의 미발(未發)위주의 수양법(修養法)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완벽해 보이는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조선(朝鮮)에 들어와서 16세기 율곡(栗谷)과 우계(牛溪)의 논쟁을 통해, 17세기 우암(尤庵)과 우헌(寓軒)의 논쟁을 통해, 18세기 남당(南塘)과 외암(巍巖)의 호락논쟁(湖洛論爭)을 통해 다시 논의된다.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논쟁을 겪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주자(朱子)의 중화설(中和說)이 미비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벌어진 논쟁이다.